FOREB 2024.11
FOREB
FOREB 새벽의 숲(Foret De L’aube)
가평의 한 구릉지에 4동의 주택을 계획해 농어촌 민박업을 계획한 프로젝트로서, 약 5000제곱미터(1500여 평)의 대지에 토목·건축·인테리어·조경·가구·프로그램 계획까지 진행했다. 아버지가 대지를 마련하고, 아들이 씨앗을 뿌리내리게 하고, 손자가 물과 빛을 주어 열매를 맺게 해 결실을 나누려는 3대에 걸친 긴 여정이다. 수평선, 부유감, 담장, 경계의 구축, 건축의 외부공간, 위요감, 자궁공간, 레벨, 비례, 닫힘과 열림, 양감, 묵직함, 풍경의 편집, 절제, 고요함, 평정, 거닐음(PROMENADE) 등이 설계 과정에서 견지한 개념들이다.
전체 부지를 4단계의 다른 레벨로 조성해, 주변을 둘러싼 붉게 물든 화살나무 물결 너머로 너울거리는 잣나무 숲의 푸른 일렁임을 온 대지에서 누릴 수 있도록, 시선이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계획했다. 동 간에는 프라이버시가 침해되지 않도록 건축의 외부 공간 구성과 조경을 계획했다. 또한 모든 4개의 부지가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도록 소로와 계단 등으로 긴 산책길을 마련했다. 다양한 레벨과 방향, 조경과 질감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통해 자연과 다양한 밀도와 강도로 조우하게 된다. 전체 대지를 향유하는 이들이 깊은 추억의 시간을 만들 수 있기를 바란다.
A동 _ 과거 건물을 리모델링했다. 전체 마스터플랜의 계획에 맞게 수영장을 비롯한 외부 공간과 기존 건축물의 접근 경로(동선)를 새로이 계획했고, 내부 인테리어 전체를 재구성했다. B동과의 시·지각적인 분리를 위해 경계에 자작나무 숲을 구성했다. 또 도로 및 인접대지와의 분리를 위해 옹벽과 담장을 계획했다.
B동 _ 고요한 수평선 위에 부유하는 작은 배의 평온함을 은유로 하여 디자인 시점으로 삼았다. 마치 짙은 숲속을 유유히 노니는 작은 새의 날갯짓과도 같다. 고요한 존재감을 부여하기 위해 부유하는 단일 매스의 형상으로 입면을 계획했다. 입면에 만입부를 두어 음영을 드리웠고, 검은색의 석재로 마감해 부유감을 극대화하고자 했다. 건축 내부 공간과 외부공간의 온전한 교감을 위해, 창호 프레임과 천장, 바닥 등 내부와 외부의 경계에 있는 차이들을 최소화해 감각이 연장되도록 했다.
C동 _ B동과 연장선상의 개념으로 공간을 설계했다. 부유하는 지붕은 묵직한 양감을 통해 대지 전체를 점유하고, 구심점의 역할을 한다. 재료와 디테일에도 변화를 주었다. B동에서는 1면의 시선 연장을 계획했지만, C동에서는 3면의 시선 연장을 도모했다. 담장의 구성과 동선/정주 공간의 계획을 통해 주변 풍경을 편집했다. 비로소 의미 있는 풍경들과 조우하는 순간들을 마련했다. 메인 뷰에서 바라본 C-1(정자/다실)이 위요된 산세의 흐름에 순응해 부드럽게 흘러가도록 위치와 레벨과 형상을 계획했다. 모든 방향에서 건축과 자연, 사람이 서로에게 자연스레 스며들기를 바란다.
C-1동 _ C동의 부속동으로서 다실 개념의 정자이다. 각 동의 디자인 개념의 연속선상에 부합하도록 석재 기단부를 대지로부터 부유시키고, 지붕 또한 적정한 양감을 부여한 채 부유시켜, 4면의 유리 공간이 긴장감을 가지면서도 한편으로 평온한 분위기를 자아내려고 계획했다. 스테인리스 스틸 지붕의 물리적 표면을 일체화(buffing) 하는 작업을 통해, 지붕이 시·지각적인 완결성을 간직할 수 있도록 했다. 마치 풍경에 파고드는 날카로운 구름처럼, 예리한 감각으로 건축과 자연 사이에서 우리의 존재감이 각인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고자 한다.
D동 _ 전체 단지의 지원 시설이며, 각 동의 사람들이 생동할 수 있는 화합의 장소로서의 성격을 지닌다. B·C동과 연장선상의 개념으로서 설계했으며, 단순 명료한 단일 형태의 검은색 지붕은 기와처럼 자연에 겸허한 자세로 다가가고자 하는 의도이다. 검정 벽돌로 마감해, 색감은 B·C동의 기조를 유지하고, A동과는 재료 측면에서 수미상관의 성격을 갖도록 했다.
FOREB: Forest of Dawn
Situated on a hillside in Gapyeong, the FOREB project involves the design of four residences intended for rural lodging. Spanning approximately 5,000 square meters (around 1,500 pyeong), the project encompassed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interior design, landscaping, furniture, and program planning. It reflects a three-generational journey: the father who acquired the land, the son who sowed the seeds, and the grandson who nurtures it with water and light, sharing the fruits of their labor. Concepts like horizon, levitation, walls, boundaries, architectural outdoor spaces, enclosure, womb-like spaces, levels, proportions, openness and closure, volume, solidity, landscape curation, restraint, serenity, tranquility, and promenade guided the design process.
The entire site was planned across four levels, allowing visitors to experience the green waves of the pine forest and the red hues of the surrounding spindle trees, all without obstructed views. Each building was arranged to preserve privacy, and external spaces and landscaping ensured there were no visual interferences. Small pathways and stairways were carefully integrated to connect the four sites, forming an extended promenade. Through variations in levels, directions, landscaping, and textures that evolve over time, guests can encounter nature in various densities and intensities. The hope is for visitors to create lasting, cherished memories on this land.
Building A _ An existing structure that was remodeled, Building A’s new design included reimagined external spaces such as the pool and revised circulation routes to align with the master plan. The entire interior was reconfigured, and a birch forest was introduced at the boundary to visually separate it from Building B. Additionally, retaining walls and fences were installed to ensure separation from adjacent plots and roads.
Building B _ Building B was designed with the metaphor of a small boat floating serenely on a calm horizon, evoking the gentle flutter of a bird navigating a dense forest. To emphasize its quiet presence, the design features a floating, single mass. The façade incorporates recessed sections to cast shadows, and the building is finished with dark stone, accentuating a sense of weightlessness. The interplay between indoor and outdoor spaces was designed to minimize the differences at the boundaries, extending the senses seamlessly across window frames, ceilings, and floors.
Building C _ As a continuation of the design concept for Building B, Building C features a floating roof with a solid mass, serving as a focal point for the entire site. Material and detail variations distinguish it from Building B. While Building B aimed for visual extension in one direction, Building C sought to extend views in three directions. The design of walls, circulation, and rest areas curated the surrounding landscape, creating meaningful moments of encounter. The pavilion (C-1) was strategically positioned, shaped, and leveled to harmonize with the surrounding mountain contours, ensuring that architecture, nature, and people could blend seamlessly in all directions.
Pavilion C-1 _ A subsidiary of Building C, Pavilion C-1 is a tea house designed to continue the overarching concept of floating structures. The stone foundation appears to levitate, and the roof, with its carefully balanced mass, also seems to float. The four glass walls create a sense of tension yet exude calmness. The stainless steel roof was buffed to create a seamless surface, giving the roof a complete visual integrity. It aims to embed a sharp yet serene presence between architecture and nature, like a sharp-edged cloud slicing through the landscape, offering a moment for visitors to leave a lasting impression.
Building D _ Functioning as the communal facility for the entire site, Building D was designed as a place for the residents of all buildings to gather and interact. Continuing the design language of Buildings B and C, it features a simple, single form with a black roof, intended to approach nature humbly, akin to traditional roof tiles. The black brick exterior maintains the color scheme of Buildings B and C while also creating a material connection with Building A, forming a cohesive and harmonious dialogue across the site.
FOREB 설계자 | 이근식 _ (주)엘케이에스에이 건축사사무소 건축주 | 주식회사 현미윤원 시공사 | 건축주 직영 설계팀 | 김동현, 문태석 대지위치 | 경기도 가평군 상면 임초밤안골로 주요용도 | 단독주택 대지면적 | 1,438㎡/1,010㎡/1,325㎡/716㎡ 건축면적 | 130.01㎡/178.02㎡/103.66㎡/91.90㎡ 연면적 | 189.30㎡/178.02㎡/103.66㎡/91.90㎡ 건폐율 | 9.04%/17.63%/7.82%/12.84% 용적률 | 13.16%/17.63%/7.82%/12.84% 규모 | 1F, 2F 구조 | 철근콘크리트구조, 경량철골구조 외부마감재 | 벽돌, 석재 내부마감재 | 수성페인트 설계기간 | 2021.06 - 2022.04 공사기간 | 2022.04 - 2023.12 사진 | 구의진 구조분야 | (주)라임 |
ROUND MASION Architect | Lee, Keun Sik _ Lee Keun Sik Architects Client | Hyun Mi Yoon Won Inc Construction | Owner direct control Project team | Kim, Dong Hyun / Moon, Tae Seok Location | Imchobamangol-ro, Sang-myeon, Gapyeong-gun, Gyeonggi-do, Korea Program | House Site area | 1,438㎡/1,010㎡/1,325㎡/716㎡ Building area | 130.01㎡/178.02㎡/103.66㎡/91.90㎡ Gross floor area | 189.30㎡/178.02㎡/103.66㎡/91.90㎡ Building to land ratio | 9.04%/17.63%/7.82%/12.84% Floor area ratio | 13.16%/17.63%/7.82%/12.84% Building scope | 1F, 2F Structure | RC, LGS Exterior finishing | Brick, Stone Interior finishing | Paint Design period | Jun. 2021 - Apr. 2022 Construction period | Apr. 2022 - Dec. 2023 Photograph | Gu, Ui Jin Structural engineer | LAIM Informatiob Technology Co., Lt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