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산재 2022.3
YOSANJEA 요산재가 들어서는 위치는 과거 신제주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형성되었다. 오래된 단층이나 2층 주택들이 대부분인 지역에서, 주변의 건축과 어울리며 동시에 앞으로 변화할 이 지역에 어떤 기준점을 풀어나가는 접근을 시도하였다. 도심의 노후화에 따라 도심 재생, 활성화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건설업에 종사하는 입장에서(건축주) 이 문제를 풀어나가는 방식으로 접근하였다. 밤이 되면 비어버리는 도심이 아닌, 주거와 업무, 소비가 균형을 이루는 건물을 원하였다. 건물의 배치는 건설회사 사옥에 맞는 강한 박스 형태로 시각적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그리고 그 박스 형태는 절삭하고, 매스를 분절하고 비움으로써 공간이 형성된다. 이 공간으로 강하지만 유한 이미지를 동시에 표현한다. 중정으로서 복도의 통..
2023.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