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작품 | Projects/Public(42)
-
세빛자매원 2022.9
Sebit-Sisterhood Welfare Centre 세빛자매원은 개신교 은퇴여선교사의 노후 숙소다. 젊은 날 하나님께 서약하고 멀리 물설고 낯선 해외 선교지인 인도, 인도네시아, 아프리카, 일본 등의 나라에서 평생을 헌신하고, 막상 노후에는 가족과도 멀어져 어디 가서 마땅히 묵을 데가 없는 사실에 마음 아파하던 장신대 주선애 교수의 기부금이 불씨가 되어 전국 개신교계의 헌금으로 마련된 숙소다. 마침 6.25 당시 이 마을에서 순교한 황덕주 목사를 기리기 위해 그 후손이 대지를 헌납하였다. 기능은 일인용 숙소와 식당 그리고 40명 정도 수용 가능한 작은 채플로 구성되어 있다. 당초 중정은 정원으로 조성할까 하다가 연로한 노인들에게 공연한 일거리가 될까 우려하여 연못으로 변경하였다. 연못 한 쪽 구석에..
2023.02.23 -
노원지역자활센터 2022.7
Nowon Community Selfsufficiency Center 노원구 상계동은 1980년대 대규모 재개발로 거대한 아파트 숲으로 둘러싸인 서울의 전형적인 주거 밀집 지역이다. 노원지역자활센터가 위치한 블록은 그동안 재개발이 이뤄지지 않아 오랫동안 낙후된 상태로 현재까지 이어져 왔다. 노원지역자활센터는 이곳에서 지역사회 공동체 구현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30년 이상 묵묵히 제 역할을 해왔다. 저소득층, 실직자 등이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자활 서비스를 제공하고, 초기 상담부터 시작하여 기본교육, 근로능력 향상을 위한 전문기술교육 시행 및 일거리 제공을 통한 훈련을 시행한다. 지역 내 어르신들을 위한 경로당을 운영하며 노인복지에도 관심을 갖는다. 대지는 북측으로 좁은 4미터 도로에 접하는..
2023.02.21 -
군자동 복합청사 2022.6
Gunja-dong office comaplex 대상지는 저층의 주거건물이 군집을 이루고 있는 주거 밀집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새롭게 조성되는 군자동 복합청사는 기존 청사가 가지는 경직된 이미지와 달리, 마을과 조화되고 지역민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열린 청사라는 개념으로 계획하였다. 프로그램의 성격과 법규적인 제약, 그리고 도로에서의 접근성을 고려하여 매스의 볼륨을 적절하게 분절하였으며, 모든 층에 주민들을 위한 프로그램이 있는 공간을 구성하였다. 청사라는 건축물의 상징성과 주변과의 조화를 고려하여 벽돌을 주요 외장재료로 사용하였다. 또한, 단순한 매스 구성과 풍부한 외부 녹화 공간 계획을 통해, 건물 사용자들의 편의와 외부와의 시각적·공간적 연계를 고려하였다. 지하층은 이형의 땅 모양이지만, 가용할..
2023.02.20 -
성북구립 길음동 글빛도서관 인테리어 2022.2
Geulbit Public Library Interior Prologue 글빛도서관은 서울 성북 미디어문화마루 지상 1~2층 일부에 위치하고 있다. 웅장한 외관의 필로티 하부 로비로 들어서면 지상 4층까지 연결된 개방된 홀과 2층 규모의 계단식 객석이 눈에 들어온다. 그러한 공간적 개방감과 달리 화강석, 수성페인트, 천장텍스, 다운라이트 등의 무미건조한 재료는 이질적인 삭막함을 연출하고 있었다. 그 뒤로 폭 8.5미터, 길이 38.5미터의 기다란 2층의 공간이 도서관으로 배정되어 있었다. 600제곱미터의 작은 규모의 도서관은 중심에 지상1, 2층을 연결하는 철재사선계단으로 공간과 동선이 분절되어 있었고, 사방이 개방된 유리창을 통해 시선은 외부로 흐트러지고 있었다. 발주처와 도서관 관장도 이러한 공간의 ..
2023.02.16 -
양지마을 푸른환경도서관 2021.11
Green-Environment-Library of Yangji Village 마을공동체 활성화의 매개체 오래된 저층주거지인 강북구 양지마을은 2015년 주거환경개선사업에 선정되어 현재 주민공동체 활동과 마을재생이 추진되고 있는 곳이다. 사업의 일환으로 2017년 양지마을사랑채를 신축하여 1층에는 아이들을 위한 푸른환경도서관, 2층은 다목적 공간, 지하는 마을상점으로 사용하였다. 하지만 협소한 공간 문제로 서울시가 바로 옆 인접 단독주택 부지를 매입하여 지역프로그램을 담아내는 별동 설립을 기획하였고, 주민들은 협의 과정을 통해 푸른환경도서관을 별동에 배치하기로 하였다. 그리고 새롭게 마련된 별동의 2층과 3층에는 창의적인 디자인과 3D프린팅이 가능한 메이커스페이스를 마련했다. ‘푸른환경도서관’은 그 이름..
2023.02.13 -
창신제2동 마을회관 2021.10
Changsin 2-dong Village Hall 창신2동마을회관은 동대문역 한양도성박물관이 위치한 서울한양도성 성곽 근처에 인접한다. 가파른 언덕길을 올라 가쁜 숨을 쉬어가기 좋은 위치에 자리 잡고 있다. 애초의 계획은 창신2동 주민센터 내의 자치회관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기존 1층의 마을회관을 2층으로 증축하여 부족한 공간을 확보할 예정이었다. 기존 건물 노후화에 따른 슬라브와 보, 벽체의 보강, 내진설계를 반영하고 전기설비와 기계설비를 새롭게 교체해야 하므로, 증축할 경우 공공건축물 표준 공사비 예산 외에도 구조보강 공사비가 예산의 50% 추가로 필요했다. 이에 공사비 증가 사유를 구청장에게 보고하고 증축의 경우와 신축의 경우를 비교 검토하여, 전체 소요예산이 비슷할 경우 건물의 물리적 수명과 기..
2023.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