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클 | Article/연재 | Series(197)
-
사마르칸트의 건축유산 ④ 사마르칸트의 ‘이슬람 불멸의 사후공간 - 마우솔레움(영묘)’ 2025.3
Architectural Heritage in Samarkand ④ Mausoleums in Samarkand 서(序) 이전 연재( 2024년 11월 호, Vol.667)에서도 시작 부분에 서술했지만 이슬람 건축에서 예배 공간(모스크), 교육 및 수행공간(마드라사), 사후 공간(마우솔레움/영묘)을 각각 독립적으로 설명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는 예배 공간과 교육 공간이 함께 있거나, 교육 공간과 사후 공간이 결합되어 있거나, 혹은 이 모든 공간들이 하나의 앙상블로 조화롭게 존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번 호에서는 샤히진다 영묘 군, 비비하눔 영묘, 구르 아미르 영묘 단지를 중심으로 이슬람 불멸의 사후공간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사마르칸트에서 지내는 동안 아프로시압 박물관 현장뿐만 아니라 이 연..
2025.03.31 -
도시 오딧세이 ㉒ 직선과 곡선, 얼굴 다른 샴쌍둥이로 태어난 제물포 2025.3
City Odyssey ㉒ Jemulpo, born as conjoined twins with different faces and straight lines and curves 월미도를 품고 응봉산을 등지고 앉은 제물포는 한적하고 평화롭기 그지없는 포구였다. 바다를 향해 비죽이 혀를 내민 제물량은 서해 뱃길을 보호하는 수군 군영이기도 했다. 그랬던 포구가 격랑처럼 덮쳐온 침탈에 억지로 문을 열어야 했고, 도시와 항구로 변모한 건 그야말로 순식간이었다. 개방은 시대의 요구이자, 새로운 세계를 맞아들이는 일이었다. 그러나 우리 손으로 열지 못했다. 최소의 준비도 없었던 강제 개방은, 분명 뭔가를 앗길 수밖에 없는 필연을 예비하고 있었다. 일제가 도발한 운요호 사건으로 강화도에서 불평등 조약(1876)을 맺..
2025.03.31 -
친환경건축물 관련 인증제도에 대한 이해 ⑧ 서울시의 녹색건축물 관련제도 및 기준 2025.3
Understanding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s ⑧ Seoul City’s G-SEED-Related Systems and Standards 서울시는 건축물 에너지 성능 개선을 위해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제13조에 따라 국토부가 고시한 기준보다 강화된 기준 적용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제7조 및 동법 시행령 제5조에 따라 시·도지사는 국토교통부가 수립·시행하는 ‘녹색건축물 기본계획’에 부합되도록 지역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계획을 수립 시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05년 대비 40%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시민과 함께하는 녹색건축 활성화’를 위해 5년 단위의 ‘제2차 녹색건축물 조성계획(2022-2026)’..
2025.03.31 -
친환경건축물 관련 인증제도에 대한 이해 ⑦ 에너지절약형 친환경주택 평가 및 에너지절약계획서 검토 2025.2
Understanding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s ⑦ Green Home Assessment & EPI (Energy Performance Improvement) Review 에너지 절약은 건축물 뿐만 아니라 정부나 기업, 가정에서도 생활화 되어야 하며, 경제적 효과 및 환경 보호에도 기여 정부는 에너지 소비 절감 및 탄소 배출량 감소를 위해 2009년 10월 20일 ‘친환경 주택의 건설기준 및 성능’ 제도를 도입하여 친환경적인 주택을 건설하기 위한 필수시설 및 각각의 설치기준을 제시하고, 성능 평가방법 등을 규정하였으며, 이후 2015년 12월 29일에는 동 기준의 명칭을 현재의 ‘에너지절약형 친환경주택 건설기준’으로 변경하고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 : Bu..
2025.02.28 -
도시 오딧세이 ㉑ 모든 걸 품어주는 골 깊은 소래포구 2025.2
City Odyssey Sorae Port with deep tidal channels embraces everything 갯골은 깊었다. 나뉜 여러 물줄기를 갯골이 하나로 합해 냈다. 포구의 시원인 물길 끄트머리 산에 당나라 蘇定方(소정방)이 당도(蘇來)해 붙은 이름이 변해 소래(蘇萊)가 되었다. 신라와 연합한 당나라 군대가 백제를 치기 위해 바닷길로 기벌포를 향했으니, 포구는 역사의 갈림길이기도 했다. 골 깊은 포구는 모든 걸 받아안았다. 포구는 떠남이자 돌아옴이니 안락한 둥지라 할만하다. 포구 밖은 갯벌이다. 얕은 간석지가 소금밭이 되었어도 탓하지 않았다. 오만한 인간이 바다를 메워 해안선이 곧아졌어도 의젓하기만 했다. 바닷물은 여전히 땅 밑을 흐를 것이기 때문이다. 높다란 아파트 숲이 갯골 ..
2025.02.28 -
친환경건축물 관련 인증제도에 대한 이해 ⑥ 건강친화형 주택 평가 및 공동주택 결로방지 성능 평가 등 2025.1
Understanding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s ⑥ Clean Healthy House Evaluation, Condensation Prevention Performance Evaluation in Apartment House, etc 공동주택 설계시 새집증후군 예방 및 결로방지, 소음 예측 등 고려할 친환경 요소 많아 2010년 국민의 건강과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을 위해 주택법령에 따라 1천 호 이상 또는 1천 세대 이상을 신축 또는 리모델링하는 경우, 청정건강주택으로 건설하도록 ‘청정건강주택 건설기준’이 제정(2010.6.16.)되어 청정건강주택으로 인정된 주택 시공자에게는 국토부 장관 표창 또는 인센티브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3년간 실제 운영된 사례가..
2025.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