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클 | Article/인사노무상식 | Common Sense Series of Personne(59)
-
직장 내 성희롱의 예방과 대응방법 2025.3
Guide on Prevention and Response to 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 지난 1월 고용노동부는 ‘직장 내 성희롱 예방·대응 안내서’를 배포했다. 이는 직장 내 성희롱을 방지하고자 하는 사회적 노력이 계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사업장에서 안일한 인식과 사업주의 대응 미비로 직장 내 성희롱 피해자가 발생함에 따라 더욱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대응 방안을 제공하기 위함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이번 인사노무상식 시리즈에서는 ‘직장 내 성희롱 예방·대응 안내서’에 제시된 직장 내 성희롱의 성립요건, 사업주의 직장 내 성희롱 예방과 대응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직장 내 성희롱의 성립요건 1. 의의 ‘직장 내 성희롱’이란 ① 사업주·상급자 또는 ..
2025.03.31 -
사업주를 위한 통상임금 관련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 안내 2025.2
A Guide to Supreme Court en banc Decision on Ordinary Wage for Business Owners 2013년 통상임금에 대한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에서 통상임금 판단 기준으로 소정근로의 대가성, 정기성, 일률성, 고정성을 제시했다. 그러나, 2024년 12월 19일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에서 기존의 판례 법리에서 제시한 ‘고정성’을 통상임금의 개념적 징표에서 제외하고, 통상임금의 개념과 판단 기준을 재정립했다. 이에 따라 ‘재직조건’이나 ‘소정근로일수 이내의 근무일수 조건’이 부가되어 통상임금성이 부정되었던 임금도 통상임금에 해당할 수 있는바, 사업장에서는 변경된 통상임금의 개념 및 판단 기준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통상임금을 산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2025.02.28 -
사업주를 위한 연차유급휴가 관리방법 2025.1
Guideline on Annual Paid Leave or Business Owners 근로기준법은 일정 기간 계속근로한 근로자에게 근로의무를 면제함으로써 정신적·육체적 휴양의 기회를 제공하고 문화적 생활의 기회를 부여하기 위한 제도로서 ‘연차유급휴가’를 규정하고 있다. 연차유급휴가 제도가 법제화된 지 오랜 시간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많은 사업장에서는 구체적으로 며칠의 연차유급휴가를 어떤 식으로 부여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의가 빈번하다. 따라서, 이번 인사노무상식 시리즈에서는 연차유급휴가의 발생 요건과 구체적인 산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차유급휴가의 발생 요건 1. 1년 이상 계속근로 &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 시 근로자가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경우 사업주는 근로자에게 15..
2025.01.31 -
육아지원 3법 개정 안내 2024.12
Guide to Amendments to Three Childcare-Related Laws 지난 2024년 9월 26일 국회 본회의에서 소위 육아지원 3법이라 불리는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남녀고용평등법”), 고용보험법, 근로기준법에 대한 일부개정법률안이 의결되었다. 이후 2024년 10월 22일 육아휴직, 배우자 출산휴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출산전후휴가, 난임치료휴가 등을 규정하고 있는 남녀고용평등법, 근로기준법 등 개정 법률이 공포되었기에 이하에서는 육아지원 3법 개정 내용에 대해 소개하도록 하겠다. ■ 육아지원 3법 개정 내용 1. 배우자 출산휴가 : 남녀고용평등법 제18조2 (현행) 배우자 출산휴가를 10일로 정하고 있고, 배우자 ..
2024.12.31 -
주 52시간제 대응방법 2024.11
How to respond to the 52-hour workweek policy 지난 2018년 7월 1일, 근로기준법 개정으로 인해 사업장에서는 연장·휴일 근로를 포함해 1주일에 52시간 이상 근로를 할 수 없게 되었다. 기존에 1주 최대 68시간까지 가능했던 것을 고려하면 근로시간이 획기적으로 줄어들게 된 것이다. 그러나 중소기업의 경영상 부담과 근로자의 소득 감소 등을 고려하여 해당 법령은 기업 규모에 따라 단계적으로 시행되었고, 특히 30인 미만 영세사업장에 대해서는 갑작스러운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해 겪게 될 혼란을 줄이기 위한 완충 제도로서 해당 기간 동안은 주 52시간을 넘는 근로가 가능할뿐더러 장시간 관련 정기 근로감독 대상에서 제외하는 계도 기간을 두어왔다. 그러나 2024년까지 ..
2024.11.30 -
사업주를 위한 위험성평가 안내 2024.10
Risk assessment guideline for business owners 「중대 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하 ‘중대재해처벌법’)」이 2024년 1월 27일부터 개인사업자 또는 상시 근로자가 5명 이상 50명 미만인 사업 또는 사업장, 건설업의 경우 50억 미만의 공사에도 확대 적용되었다. 이에 따라 사업주는 「중대재해처벌법」 제4조제1항제1호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조제3호의 유해·위험요인을 확인하여 개선하는 업무절차를 마련하고, 해당 업무절차에 따라 유해·위험요인의 확인 및 개선이 이루어지는지를 반기 1회 이상 점검한 후 필요한 조치를 해야 한다. 다만, 「중대재해처벌법」에서는 「산업안전보건법」 제36조에 따른 위험성평가를 하는 절차를 마련하고, 그 절차에 따라 위험성 평가를 직접 ..
2024.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