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작품 | Projects/Public(54)
-
월계도서관 리모델링 2025.7
Library Wander 월계동의 유일한 공공도서관인 월계도서관은 월계동의 중앙에 위치한다. 월계로가 전면도로에 인접해 있어 교통이 원활하여 지역 주민들의 이용이 활발하다. 도서관으로서 유리한 동남향을 향해 배치된 기존 도서관은 영축산을 마주하고 있어 훌륭한 조망 조건을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월계도서관은 건폐율과 용적률 및 일조사선제한의 틀 안에서 최대한의 면적과 기준층 3.9미터의 낮은 층고를 가지며, 지하 1층부터 지상 4층으로 단순히 쌓아 올린 전형적인 공공건축물의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흔한 관공서를 연상케 하는 외관, 법적으로 요구되는 엘리베이터와 직통계단으로만 연결되는 건조한 동선 체계, 낮은 천장고에 답답하게 들어찬 서가로 숨 쉴 틈이라곤 조금도 찾아볼 수 없는 내부 공간은 15년밖..
2025.07.31 -
연천군 노인회관 2025.5
Yeoncheon Senior Center 노인회관을 직접 사용하는 어르신뿐 아니라 지역의 중심 장소로서 누구에게나 열린 공간으로 공유, 소통, 연결의 가치를 지향하는 활력소가 될 장소로 설계를 시작했다. 연천군 노인회관 부지 북서쪽의 노인복지관은 연천 어르신들의 중심 활동 공간이다. 새로 지어지는 노인회관은 노인복지관의 일부 기능을 이전하고, 부족한 공간을 추가 확보하는 시설이다. 노인회관은 노인복지관과 함께 어르신들을 위한 중심 활동 공간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시설 간 긴밀한 연계와 접근이 쉬운 보행 동선 계획이 필요했다. 대지 북측에 신축된 공동주택 1층은 커뮤니티 시설이 위치한다. 기존 시설인 노인복지관과 공동주택의 커뮤니티 시설이 서로 잘 어우러져 연천의 사랑방, 모두의 소통과 이웃과 ..
2025.05.31 -
퇴계동 행정복지센터 2025.4
Toegye-dong Community Center 실용적인 기념비 대상지는 춘천 진입도로와 남춘천역에 인접한 곳으로 춘천시의 첫인상을 형성하는 핵심 공간이다. 또한 대상지의 남서측은 공원과 접해 있어 도시와 공원을 연결하는 거점 공간이기도 하다. 이러한 장소성은 새롭게 들어설 행정복지센터에 상징과 기능의 전략적 균형을 요구한다. 대상지는 대로(남춘로)와 상업지역도로(남춘로5번길)를 연결하는 도로에 의해 두 개의 영역으로 분리된다. 각각은 서로 다른 주변 환경과 마주하는데, 하나는 도시를 향하고 다른 하나는 공원을 향한다. 주변과 열린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도시와 마주한 부분은 다양한 지역 행사를 수용할 수 있는 광장(도시의 연장)으로 기능하고, 공원과 마주한 부분은 인근 주민들의 휴식을 위한 녹지..
2025.04.30 -
지역산업복지센터 2024.11
Local Industry Welfare Center 영도 굴항에 인접한 영도지역산업복지센터는 영도 도심지 굴항의 활성화와 도심항에 지어지는 건축의 바다와 소통하는 열린 공간 창출, 그리고 주민들이 이용하기 편리한 접근성 개선을 목표로 기존 건축물의 리모델링, 대수선, 증축 설계를 진행해 준공된 건축물이다. 토토볼링장과 실내, 옥상골프연습장으로 사용되던 건축물은 당초 기능으로 인해 폐쇄적인 공간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기존의 이 폐쇄적인 건축물이 바다와 서로 관계를 갖도록 하고, 실외골프연습장으로 사용되던 옥상은 도심 속 주민 공유마당으로 사용되길 희망했다. 기존 건축물의 외피를 벗겨내고 테라스와 옥상으로 이동하는 외부 계단을 배치했다. 옥상은 전체 휴게공간으로 탈바꿈했다. 좁은 전면도로는 보행전..
2024.11.30 -
진영(부산) 복합휴게시설 2024.10
Jinyeong(Busan) Complex Highway Service Facility 진영(부산방면) 복합휴게시설은 남해고속도로에서 부산방면의 마지막 휴게소로, 주변의 흐름과 자연과의 소통을 담는 디자인을 제안했다. 계획대지는 남해고속도로에 부산 외곽순환도로가 신설되며 교차되는 곳에 기존 휴게소 부지보다 넓은 부지가 확보되어, 기존 휴게소를 철거하고 새로운 복합휴게시설로 제안됐다. 두 개의 차량 진입구와 두 개의 차량 진출구로 인한 제약조건을 극복하기 위해 각 방향별로 조닝 계획을 명확히 했으며, 진출부의 시야를 확보하도록 배치했다. 대형차량을 위한 전용 주차공간을 계획해 소형 차량과의 동선을 분리하고 비상차량과 착오 진입차량을 위한 순환동선을 확보해 안전과 편리함을 최우선 고려했으며, 주차장 ..
2024.10.31 -
아이행복센터 2024.5
I happy center 마을의 일상적인 풍경 이곳은 단독주택이 골목길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마을이다. 마을의 중심에 위치한 어린이공원은 주민들의 소통과 놀이공간으로 오랫동안 자리했다. 어린이공원의 의미는 작지 않다. 어린이만을 위한 공간을 넘어서 어린이와 어르신들이 마주하는 만남의 공간이며, 지역 주민들의 운동공간이자 서로의 소식을 전하는 소통의 공간이다. 어린이 공원과 바로 인접한 대지는 어린이들을 위한 공간을 넘어서는, 의미를 갖는 공간이어야 한다. 주민들의 일상을 담는 공간이기도 하면서, 아이들이 즐겁게 일상을 이어나가는 공공의 장소가 필요하다. 1. 도시의 맥락과 흐름에 대응 건물의 형태는 도시의 질서를 수용하면서 변화가 일어난다. 대지의 형상을 닮은 단일 형태에서 층층이 생기는 건축적 ..
2024.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