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건축, 그리고 그 너머 지속 탐구“계속 좋은 건축 해 나가고파” 박일훈 건축사 2024.4

2024. 4. 30. 10:40아티클 | Article/인터뷰 | Interview

Continuing our exploration of architecture and beyond... “We want to continue to make good architecture.”

 

 

 

 

월간 <건축사> 4월호의 표지를 장식한 ‘차이커뮤니케이션 사옥’의 설계자 박일훈 건축사(반 건축사사무소).

 

월간 <건축사> 4월 호의 표지를 장식한 ‘차이커뮤니케이션 사옥’은 강남구 학동대로 뒤쪽에 있는 광고 회사의 사옥이다. 이 건축물은 여백과 절제를 통해 단순하면서도 정갈한 입면을 구현해 내어, 새롭고 오래된 건축물이 혼재된 강남구에서 그 자체로 심플하면서도 힘 있게 자리한다. 제한적인 대지 규모에서, 개개인의 창의성을 중요시한 오픈형 사무공간에 도시와 자연을 동시에 담아내 다양한 외부공간을 접하게 한 차이커뮤니케이션 사옥을 설계한 박일훈 건축사(반 건축사사무소). 지난 3월 12일, 그를 만나 건축적 목표 등의 이야기를 직접 들어봤다.

 


# 건축과 그 너머에 대한 지속적 고민으로 새로운 시도 꿈꿔

박정연_ 월간 <건축사>의 인터뷰에 응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먼저 독자 분들께 간단한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박일훈_ 저는 2020년 1월부터 건축사사무소 반을 운영하고 있는 박일훈 건축사입니다. 일전에는 간삼건축에서 10년 정도 실무를 했고, 현재는 건축사사무소 반 개소 5년차에 접어들었습니다. 이외에 현재 서울시 공공건축가, 화성시 설계공모 심사위원 등으로 활동하면서 다양한 스케일의 작업들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박정연_ 사무소 명 ‘반(ban)’에 담긴 의미는 무엇인지, 따로 개소를 결심하신 계기가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박일훈_ 건축사사무소 반은 ‘beyond architecture & new ○○○(blank)’의 의미로 건축과 여러 분야의 새로운 것들 너머를 계속해서 고민하고 연구하자는 의미로 시작되었습니다. 부드러운 어감을 찾다가 결정한 것이기도 하고요. 건축을 기반으로 하면서, 그밖에 다양한 실험들을 통해 새로운 시도를 꿈꾸는 젊은 건축사가 운영하는 디자인 스튜디오입니다. 아무래도 처음부터 대형 건축사사무소에서 근무하다 보니 다양한 스케일의 건축에 계속 갈증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건축사 자격을 취득하고 바로 사무소를 개소하고 싶은 마음은 있었는데, 당시는 연차가 5년 밖에 되지 않아서 조금 더 실무 경험을 쌓아야겠다는 생각으로 10년까지 근무를 하다가 마음을 크게 먹고 나왔습니다. 그렇게 개소하고 나와서 처음으로 계약한 프로젝트가 이 ‘차이커뮤니케이션 사옥’입니다. 일전에 간략하게 지인의 주택 설계를 했던 경험 등은 있었지만 건축물 대장에 처음으로 제 이름이 올라간, 사실상 첫 작품이라고 할 수 있는 뜻깊은 프로젝트입니다. 

 



# 건축법 등 다양한 규제 대응에 중점
   심플하면서도 힘 있는 디자인 구현 목표

박정연_ 어떤 계기로 이 작품을 작업하게 되셨나요?


박일훈_ 차이커뮤니케이션 사옥 프로젝트는 제가 맡기 전에 다른 곳에서 초반 작업이 막 진행되던 차에 초기 검토와 디자인 제안을 받아보는 과정에서 건축주께서 다른 대안들을 궁금해 하셨고, 프로젝트 초반 과정에서 저희 사무실에 디자인 제안 요청을 주셨습니다. 건축주 측에서 저희가 제안했던 대안들이 원하는 방향과 더 일치한다고 생각하셨던 것 같고, 저희와 최종 설계계약을 하게 되어 처음 설계부터 준공까지 작업이 진행되기 시작했습니다.

박정연_ 저는 이 작품에서 필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노력이 드러나는 것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정북일조사선에 대응해 저층부와 고층부의 매스를 구분한 점과, 또 최상층을 비우신 부분도 용적률을 고민하셨던 것 같고요. 작업을 하면서 이런 식으로 염두에 두셨던 점이 있을까요?

박일훈_ 말씀대로, 대지의 규모를 검토하고 디자인 요소를 반영하는 과정에서 정북방향일조사선에 어떻게 대응할지가 큰 설계주안점 중에 하나였습니다. 정북 방향으로 맞춰서 일반적으로 작업하다 보면 계단식으로 최대한 저층을 많이 채우게 되어 이런 높은 비례의 건물은 나오지 않았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일반적으로 도시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사선제한 선을 피해 저층부에서 계단식으로 풀어낸 매스 구성이 기능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유리한 부분이 있는 게 사실입니다. 하지만 광고회사 사옥으로서 이면도로에 위치하지만 학동로라는 대로에서의 인지성도 중요했기에 수직적 비례를 높이면서 저층부와 고층부의 매스를 구분하는 방향을 선택했습니다.
또 직원들의 창의성을 중요시하는 광고회사이다 보니, 건축주나 실무자들의 시각적인 디자인에 대한 관심도가 높았습니다. 창의적 업무 공간이나 다목적 활용 공간, 휴게 공간 등에 대한 요구사항이 타 프로젝트에 비해 섬세하게 많았고요. 이러한 요구사항들을 건축적으로 풀어내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업무시설로만 채워진 공간들이 아닌 다양한 외부공간과 휴게공간을 만들기 위해 중간층에서 찾을 수 있는 면적을 일부 덜어내어 외부공간을 반영해서 고층부 매스의 비례까지 더 좋아질 수 있었습니다. 중간에 층을 좀 비우고 위쪽으로 올리면서 그렇게 5개의 마당을 지하 1층부터 최상층까지 사이사이에 만들어 냈고요. 이 마당들은 수직적으로 올라가며 공공성의 위계를 갖습니다. 저층일수록 좀 더 공공적, 즉 로비나 카페를 찾는 손님들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고 올라갈수록 임직원들의 휴게 또는 창의공간으로 더 프라이빗한 공간입니다. 위계를 갖는 마당들은 주 이용자인 직원부터 차이커뮤니케이션을 찾는 고객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차이커뮤니케이션 사옥> © 김한석

 

박정연_ 입면의 재료를 구분하고 단차를 만든 부분이 눈에 띄는데, 이렇게 작업하신 이유는 무엇인가요?

박일훈_ 차이커뮤니케이션 사옥은 화이트 톤의 벽돌과 화이트 톤의 박판 세라믹 타일, 두겁과 후레싱에 사용된 백색 도장의 금속, 유리만 적용된 아주 심플한 건축물입니다. 대신 단순한 재료라고 해서 밋밋한 건축물이 아니라, 같은 톤과 같은 재료지만 영롱쌓기나 치장쌓기, 매스의 세밀한 틸트(tilt) 요소 등 그 재질로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텍스처에 대한 고민과 매스의 분할을 통해 단순하지만 힘이 있는 건축물로 디자인하려 했습니다. 파사드를 구성하는 건축적 언어가 의미 없이 혼재되어 있는 것보다 한 가지 언어가 질서정연하게 쌓이고 또 이어지는 게 디자인적으로 더 힘을 가진 요소가 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또 전체적인 비례와 여러 방향에서 건축물을 바라보는 이미지들을 고려하다 보니 구조적으로 가능한 범위 안에서 매스의 구성을 살짝 움직여 보고, 재료도 크게 물성이 바뀌지 않는 선에서 다양하게 검토하고 적용하며 작업했습니다. 

박정연_ 이 건축물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부분은 어떤 곳인가요?

박일훈_ 차이커뮤니케이션 사옥은 매스의 구성과 재료의 질감에 의해, 태양의 일사각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 중에서 색을 다르게 구분해 놓은, 고층을 구성하는 3개의 매스 하부에 그림자가 진하게 들어가서 매스가 정확히 틸트되는 게, 그러니까 매스를 미세하게 틀어놓은 것이 잘 보이는 시간대가 있거든요. 그 모습이 제일 좋고, 동측면에서 바라볼 때 저층부의 외부 공간과 고층부의 매스가 같이 어우러지는 모습이 설계 시에 의도했던 바가 잘 보이는 부분이라서 좋아합니다.

 



# 설계변경 과정의 리스크 최소화에 노력 기울여…
   ‘2023 강남구 아름다운건축상’ 수상으로 돌아온 결과
 
박정연_ 진행 중 기억에 남는 일이나 특별히 어려운 점은 없었는지, 만약 난관이 있었다면 어떻게 극복하셨는지도 궁금합니다.

박일훈_ 건축주가 디자인에 대한 관심도가 높다 보니 설계 진행과정에서 변경사항도 여러 차례 있었고, 시공과정 중에도 설계변경이 수차례 진행될 정도로 첫 설계부터 준공까지 모두가 고민이 많았던 프로젝트였습니다. 
입면의 디자인 요소가 크게 변경되기도 하고, 골조공사의 일부를 잘라내는 등 다양한 이슈가 많았습니다. 아무래도 도면으로만 보다가 실제로 만들어지기 시작하면 생각이 바뀌시는 경우도 있으니까요. 결정이 다 되었던 부분을 싹 뒤집고 다시 설계해야 하는 상황이 서너 번 정도 있었습니다. 정해진 면적과 일정 안에서 모든 변경이 이뤄져야 했고, 매 순간마다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그 과정에 저희뿐만 아니라 함께 협업했던 설계팀과 협력분야 팀들, 시공사가 서로 싸우기도 하고 머리를 맞대고 문제들을 해결해가기 위해 고생을 많이 했습니다. 2년 동안 진행하면서 간혹 힘들어서 멘탈이 크게 흔들리기도 했습니다. 그만큼 다른 프로젝트에 비해 애증이 많이 담긴 프로젝트였는데, 2023년 강남구 아름다운건축상을 수상하면서, 그동안의 노고가 금세 잊혔던 것 같습니다.
박정연_ 조금 늦었지만 다시 한번 수상을 축하드립니다. 수상을 하신 후의 소감은 어떠셨나요?

박일훈_ 아무래도 개소하고 제 이름으로 처음 작업한 작품이 상을 받았다는 게 정말 좋았습니다. 물론 수상이 무조건적인 목표인 것은 아니지만, 어떻게 보면 객관적으로 누구나 예쁘게 봐줄 수 있는 건물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기쁨이 크게 다가왔던 것 같습니다. 그런 측면에서, 앞으로도 항상 그런 상을 받을 수 있을 만큼의 노력을 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더 좋은 작품이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차이커뮤니케이션 사옥’의 건축물 모형을 두고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 박일훈 건축사(좌)와 박정연 본지 편집국장(우).


# 좋은 건축사·건축주·시공사 삼박자 맞춰
   앞으로도 좋은 건축 해 나가고파
   작품 공유로 활발한 의견을 나눌 수 있는 환경 조성 희망

박정연_ 그렇다면 건축사님께서 건축적으로 추구하는 목표는 무엇인가요?

박일훈_ 제 목표는 계속 좋은 건축을 하고 싶은 건데, 결국 삼박자가 다 맞아야 하는 것 같습니다. 좋은 설계자, 좋은 건축주, 좋은 시공사가 만나야 하는 거죠. 모든 건축사가 꿈꾸는 바라고 생각합니다. 좋은 건축주와 시공사, 그리고 설계자가 만나 좋은 결과물을 만들어 내야 하는데, 이 박자를 맞추는 게 쉽지는 않지만 너무나도 운이 좋게 지금까지는 잘 맞춰져 왔다고 생각합니다. 저 혼자만의 노력으로 될 수 있는 부분은 아니지만, 제 위치에서 잘 조율해 좋은 건축을 계속 해 나가는 게 제 목표입니다.
지금 경기가 안 좋은 쪽으로 흘러가고 있다 보니, 민간사업은 줄어들고 공공프로젝트에는 여러 건축사분들이 몰리기도 하면서 서로 힘든 상황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와중에서도 좋은 작품을 하시는 건축사분들이 정말 많은데, 저도 건축사지 등의 월간지를 보고 다른 분들의 작품에서 영감을 받기도 합니다. 사무소를 개소한 지 5년차인데, 프로젝트를 소개하겠다는 생각을 실천에 옮긴 것은 저도 이번이 처음입니다. 공유를 하고 싶은데도 개인적인 업무가 바쁘다는 생각에 계속 폴더에만 저장해두다가 이번에 처음 꺼내게 됐거든요. 건축사지가 도착하면 사무소에서 뜯어보고 같이 의견을 나누기도 하는데요. 다른 분들께서도 작품을 보는 데에만 그치지 않고 가지고 있는 작품을 공유하는 노력을 통해 여러 프로젝트들이 건축사지에 공유되어 많은 건축사분들이 서로 더 활발한 의견을 나눌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건축사지가 그런 소통 창구 역할을 해주길 바랍니다.

박정연_ 마지막으로 월간 <건축사>를 보고 계신 독자 분들께 한 마디 부탁드립니다.

박일훈_ 건축사로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생각한 것들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즐거운 시간도 크지만 가끔 생각과 다른 협의과정이나 현장에서 많은 난관에 부딪히는 것 같습니다. 힘든 난관들을 잘 이겨내면서 단단해지는 과정을 거치면 그 경험은 다음 프로젝트에서 더 나은 상황에서 시작할 수 있는 좋은 씨앗이 될 수 있습니다. 모두 단단한 건축사가 되시길 바랍니다.

 

 

 

 

인터뷰 박일훈 Park, Ilhun 건축사사무소 반
대담 박정연 편집국장

글 육혜민 기자

사진 안상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