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326)
-
수완동 주택 2022.2
Suwan House ‘수완동 주택’은 엄마와 아빠, 그리고 두 딸을 위한 집이다. 주택 대지는 타운하우스 단지 내에 위치한다. 부채꼴 모양의 대지형상에 맞게 사각의 덩어리를 벌려 배치했다. 벌어진 틈에 다양한 반외부공간을 배치했다. 벌어진 틈에 선큰을 계획하였다. 이는 지하의 채광과 환기문제를 해결한다. 지하는 습기에 약한 공간이기에 큰 개구부를 계획했다. 구획된 공간의 모든 문을 열면 하나의 큰 동선이 생긴다. 큰 개구부와 막히지 않은 동선은 지하공간의 쾌적한 통풍을 위한 ‘바람길’이 되어준다. 지하에서 주택으로 직접 진입이 가능하다. ‘수완동 주택’ 대지는 3면이 땅에 묻혀 있다. 대문이 레벨 상 지하에 놓인다. 1층의 넓은 현관은 아이들의 자전거나 유모차 등을 보관하기에 용이하다. 거실과 주방은 ..
2023.02.16 -
성북구립 길음동 글빛도서관 인테리어 2022.2
Geulbit Public Library Interior Prologue 글빛도서관은 서울 성북 미디어문화마루 지상 1~2층 일부에 위치하고 있다. 웅장한 외관의 필로티 하부 로비로 들어서면 지상 4층까지 연결된 개방된 홀과 2층 규모의 계단식 객석이 눈에 들어온다. 그러한 공간적 개방감과 달리 화강석, 수성페인트, 천장텍스, 다운라이트 등의 무미건조한 재료는 이질적인 삭막함을 연출하고 있었다. 그 뒤로 폭 8.5미터, 길이 38.5미터의 기다란 2층의 공간이 도서관으로 배정되어 있었다. 600제곱미터의 작은 규모의 도서관은 중심에 지상1, 2층을 연결하는 철재사선계단으로 공간과 동선이 분절되어 있었고, 사방이 개방된 유리창을 통해 시선은 외부로 흐트러지고 있었다. 발주처와 도서관 관장도 이러한 공간의 ..
2023.02.16 -
국립디지털문화유산센터 국제설계공모 _ 2022. 2
NATIONAL DIGITAL HERITAGE CENTER International Design Competition 공간과 매체의 도구 디지털문화유산센터는 직원부터 창작자, 방문하는 사람들이 연주하는 ‘공간적 악기’가 될 수 있도록 제안했다. 현대적이고 기술적으로 진보된 도구는 콘텐츠를 발전시킨다. 디지털문화유산센터는 향후 건물에서 일어날 활동들과 전시에 따른 변화와 미래의 기술적인 발전에 적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건축은 오랜 시간에 따라 탄력적으로 변화한다. 이는 경계 없는 사회(Liquid Society)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고, 조화를 불러일으킨다. 디지털문화유산센터는 디지털처럼 빠르게 발전하는 분야에서 현재 우리의 예상을 넘어서는 미래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갖추고 있다. 디지털문..
2023.02.16 -
인천 남동 혁신성장센터 _ 2022. 2
Incheon Namdong Innovative Growth Center 인천 남동 산업단지의 성장을 주도하는 새로운 역할 제시 구 공업단지와 신 첨단산업단지를 이어주는 상징적인 거점시설로서 관문의 역할을 하는 혁신성장센터를 만들고자 했다. 이를 위해 첫째, 주변과의 관계를 고려한 주동배치로 전면가로의 상징성을 확보하는 한편, 보행가로를 활성화하는 저층상가배치를 했다. 둘째, 중앙커뮤니티 시설을 중심으로 각 시설이 명확히 조닝-연결되는 효율적 클러스터형 평면구성을 했으며, 셋째, 주변을 향해 활짝 열린 게이트의 형상으로 구 공업단지와 신 첨단산업단지를 모두 아우르는 지역의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하도록 했다. 상징적인 외부공간과 기업 간의 교류를 위한 열린시설 배치 다채로운 주변 환경에 대응함과 동시에 명확한..
2023.02.16 -
사라지는 마을광부들의 마을, 도계리 탄광사택 마을 ② 2022.2
Disappearing village Miners' Village, Dogye-ri Coal Mine Village ② 탄광 사택지의 변화 탄광촌 사택은 기존 일자형 단층 연립주택의 모습에서 1978년 태백 장성광업소의 약 36제곱미터(11평형) 3층 규모의 화광아파트 702세대와 도계리 흥전리에 3층 연립의 희망아파트(약 36제곱미터, 11평형)가 건축되면서 아파트형 사택으로 변화되었다. 이후 대부분의 사택은 이렇게 아파트형으로 건립되었다. 또한 한때 20여 개에 이르던 광업소는 도계광업소와 경동광업소 두 곳만 남아 있다. 사택 주거지는 폐광 등으로 주거 공간의 사용은 상실하고 있으며, 현재 거주하는 거주인도 있지만 대다수 공가로 방치되고 있다. 주거지들의 위치가 지금은 도계읍 시가지의 중요 위치와 시..
2023.02.16 -
승효상의 건축스케치展 ‘SOULSCAPE’, 3월 12일까지 개최 2022.3
Seung H-Sang’s architectural sketch exhibition ‘SOULSCAPE’ to be held until March 12 건물의 조형적 요소와 그 속의 관념 살펴볼 수 있는 ‘건축스케치’ 공개 前 국가건축정책위원장 승효상 건축사(전 국건위원장)의 개인전 ‘건축스케치전 SOULSCAPE’가 3월 12일까지 서울 청담동의 갤러리508에서 개최된다. 승효상 건축사가 그려낸 생각의 표상을 담고 있는 스케치북을 선보이는 이번 전시회는, 드로잉이 어떻게 조형물로 탄생하게 되었는가를 확인할 수 있는 기회다. 전시 스케치는 그가 10년간 작업한 프로젝트들 중에서 선별된 작품으로 구성됐다. 스케치북 속의 내밀한 내용을 그대로 전시하는 형식이기에 그림들은 작지만, 건축적 관념과 생각의 싹이 ..
2023.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