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디엔비 건축사사무소(4)
-
남양주시 중앙도서관 2020.10
Namyangju public library 다산서가 정약용 도서관은 다산서가, 다산 신도시의 상징인 다산 정약용의 철학, 서재의 개념을 담은 도서관이다. 켜(Layer), 자연(Green), 기능(Function) 세 가지 개념으로 계획했다. 장식물은 최대한 억제하고 도서관이라는 기능에 충실하도록 형태를 구성했다. 개방형 도서관 기존 국내 도서관처럼 열람실과 자료실을 분리하는 방식이 아닌, 자료실 내에 자유로운 형태로 좌석을 배치해 자료실과 열람실의 기능을 조합했다. 즉 도서관의 목적이 책을 대여하는 공간에 그치지 않고 도서관 내에서 다양한 문화활동과 소모임 등을 할 수 있도록 계획했다. 기존 도서관의 한계를 극복하고 도서관 내에서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위해 커뮤니티 스텝이라는 공공..
2023.01.25 -
의정부 미술전문 공공도서관 2020.5
Uijeongbu Art Public Library 지역사회의 도서관 의정부 미술전문 공공도서관은 국내 최초이자, 의정부시의 랜드마크로서 민락2지구의 교육, 문화, 평생학습은 물론 선진 도서관문화를 리드하려 한다. 전문미술관과 도서관이라는 각각의 상충된 두 영역을 어떻게 하면 잘 융합시킬 수 있을지에 대한 질문이 이 프로젝트의 첫 번째 키워드였다. 하나의 공간 속에 도서관과 미술 두 개 영역이 공존하고 있어 자연스러운 화합을 통해 민락2지구 자연 속의 오브제가 되고, 책을 펼치듯 열린 평면 구성으로 문화 지식 예술은 주변으로 확장되어 적극적인 소통을 이루고자 했다. 도서관의 솔리드한 중심 코어는 관리운영의 중심이자 시각적 정보전달, 상호교류의 중심공간으로 작용하기를 바랐다. 도서관 풍경 첫째, 지역주민의..
2023.01.13 -
한솔동 복합커뮤니티센터 2020.3
Hansol-Dong Community Center 첫마을 중심의 상징, 머물고 싶은 기억의 장소 ‘솔마루’ 옛마을 어귀의 상징이며 마을공동체의 구심점으로 우리는 정자나무 아래 마루에서 삼삼오오 모여 일상의 얘기를 나누며 편히 쉴 수 있는 쉼터이자 마을의 대소사와 잔치를 열었던 마루를 기억할 것이다. 첫마을 주민의 일상생활공간이자 마을의 중심공간으로서, 옛마을 정자나무 아래에서의 기억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자연을 품고, 사람이 모이며, 문화를 담아내는 기억의 장소인 솔마루를 디자인했다. 진입광장을 통해 건물로 진입하면 2층에 솔마루가 보인다. 솔마루를 중심으로 문화시설과 운동시설을 명확히 분리했다. 문화시설은 저층부터 지역아동센터, 노인문화센터, 청소년문화센터, 주민자치센터를 조닝했고, 운동시설영역의 ..
2023.01.11 -
[설계공모] 세종시 장애인형 국민체육센터
Sejong Sports Center for the Disabled 사이를 잇다 괴화산과 삼성천의 흐름이 교차되어 형성된 사업부지에 건립 예정인 세종시 장애인형 국민체육센터는 주변 자연의 풍경을 잇고, 그 사잇 공간이 장애인과 일반인 사이의 장벽을 허물어 함께 어우러지는 커뮤 니티 공간이 될 것이다. 배치 및 평면 계획 괴화산 통경축을 기준으로 서측 진입 영역과 동측 시설영역으로 구분하며 전면 도로에서의 자연스러 운 접근과 북측 광역복지지원센터(예정)과의 원활한 연계를 계획했다. 대지내 4.5미터 레벨차를 활용하 여 전면도로와 수변공원에서 1층 및 2층으로 장애인의 보행동선 및 피난동선을 확보하며 진입광장의 사 잇길을 중심으로 주 이용시설인 체육관과 헬스장을 마주보게 배치하여 사용자의 이용편의성을 높였다..
2022.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