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종합건축사사무소 이로재(9)
-
수우재 2019.11
Soowoojae 이 집이 위치한 서울 근교의 이 마을은 역사적으로도 오래되었으며 현재 6백가구로 이루어져 있다. 사방이 나즈막한 산으로 위요되어 땅의 형상이 염통을 닮았다고 해서 예로부터 염곡동이라 불렸다. 완만한 경사지로 이루어진 마을의 북쪽 끝 언저리에 대지가 있으며 6백 년 된 느티나무가 대지경계선에 붙어 있다. 이 나무는 보호수로 지정되었으며 수형이 장엄하고 그 가지들의 위세가 주변을 지배했으니 새로 짓게 되는 집의 설계는 이 나무와의 관계가 무엇보다도 중요한 과제였다. 1970년대에 지어진 집에서 10년 넘게 살아온 장년의 부부가 보다 자신들의 삶에 맞도록 집을 지을 필요가 있었다. 부부는 독실한 가톨릭 신자이면서 아마추어 사진가로도 활동하고 있었다. 대지의 앞쪽 도로와 뒤편 녹지 사이에는 4..
2023.01.06 -
대전대학교 HRC(제5생활관)
Hyehwa Residential College of Daejeon University 대전대학교 기숙사 이 프로젝트는 대전대학교의 residential college이며, 기숙사의 개념에서 학과 과정의 자격을 부여한 시설이다. 대학이란 직능을 가르치고 배우는 직업학교가 아니라, 단어 자체의 뜻에서 보듯 보편적 가치를 추구하는 곳이다. 이를 이루자면 무엇보다 전인적 교육이 필요한데 이는 단순한 지식의 습득에서 비롯되는 게 아니라 삶 자체로 학습하고 연마해야 이뤄지는 일이라면 이런 거주형 캠퍼스는 대단히 유효한 방법일 수 있다. 그렇게 되면, 한시적이라고 해도, 이 곳에 들어오는 일은 각자 살고 있던 세상의 경계를 넘는 일이며 어쩌면 속된 세상에서 떠나 육체적, 물질적, 정신적 자유를 찾는 수도사적 삶을 ..
2023.01.06 -
경계 밖으로 스스로를 추방하는 자 2019.11
One who banishes himself out of boundaries 중국 당나라 시대의 문장가인 유종원(773-819)이 쓴 글 중 재인전(梓人傳)은 대목장인 양잠(楊潜)의 직무에 대한 태도를 그린 내용인데, 재인은 오늘날의 건축설계하는 이와 같다. 이 글에 따르면, 그가 사는 집은 허술하기 짝이 없지만, 일을 시작할 때면 도면을 현장의 벽에 붙여놓고 여러 직공들을 불러모아 명확하게 임무를 부여하고 조정하며 질책을 한다. 그는 모든 재료와 공법에 대해 훤히 꿰뚫고 있으며 일이 끝나고 집이 완성되면 대들보에 자기의 이름만을 새겨 남긴다. 혹시 일하는 도중에 건축주가 틀린 지시를 하면 그 부당함을 말하고 해소 되지 않으면 즉시 그 일에서 손을 떼고 유유히 떠난다. 공공적 프로젝트를 할 때는 임금을 ..
2023.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