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2)
-
“보화각, 우리나라 근대주의 건축의 시작점에 있는 중요한 건축물” 2024.6
“Bohwagak, an important structure as the cornerstone of modern architecture in Korea” 간송미술문화재단, 보수공사 마치고 ‘보화각’ 재개관, 북단장·보화각 설계도면 최초 공개 보성중고교 신·증축, 농장 설계도면 등 간송 전형필-박길룡 선생 협업 도면 다수 발견 ‘전환기적 성격’ 드러나는 박길룡 선생의 건축 스타일 근대 건축 설계도면 발견된 드문 사례, 근·현대 건축 역사 연구의 발판 마련 간송미술문화재단이 1년 7개월간의 보수공사를 마치고 재개관 전시를 진행했다. ‘보화각 1938: 간송미술관 재개관전’을 주제로 한 이번 전시는 보화각의 의미를 되새기고자 보화각의 설립과 초기 간송 컬렉션을 선보였다. 특히 북단장 개설과 보화각의 여러 청..
2024.06.30 -
02 4.3그룹의 모더니즘과 이 시대 우리의 건축
건축담론 Architecture Discussion 편집국장 註 건축은 산업이면서, 기술이고, 문화고, 예술이다. 물론 건설을 동반해야 한다. 혹자는 이런 부연 설명을 마다하고 “건축은 건축이다”라고 말한다. 건축하는 사람들은 공감하지만 건축의 울타리 밖에 있는 사람들은 뭔지 모른다. 그래서 우리는 기술이나 문화, 예술로 빗대어 설명해야 한다. 건축은 한마디로 이런 모든 인문학과 공학을 담고 있다. 인문학과 공학을 엮으면 사유가 되고, 이는 철학이 된다. 그래서 건축의 연대기를 보면 수많은 철학을 바탕으로 이야기가 진행된다. 당연히 상징과 이면의 내용을 언급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공학과 인문학적으로 표현할 때 우리는 건축에 ‘~ISM'을 붙인다. 철학이다. 그리고 이는 여러 건축을 구분하는 논리적 ..
2023.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