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3)
-
순천시 신대도서관 2025.1
Sindae Library, Suncheon City 사업부지는 인근의 산업단지 발달과 신대지구 개발에 의해 정주환경이 조성되고 인구의 유입이 이뤄졌다. 신대도서관은 지역 일대를 아우르는 거점도서관으로, 생태문화도시 순천에 걸맞은 지역성을 표현하고 지식, 정보, 문화를 담는 미래지향적 문화공간으로 거듭나고자 했다. 신대도서관은 ‘자연에 책을 담는 도서관’을 키워드로, 단정한 책의 경계를 형상화하고 주변으로 둘러싸인 부드러운 자연과 모두에게 열려있는 옥상정원을 통해 책과 자연, 사람을 아우르는 공간을 만들었다. 도서관에 들어서는 기능은 자료이용, 문화교육, 관리, 공용공간으로 구분된다. 각각의 공간은 주변 맥락과 지형에 대응하여 계획되고 입체적인 공간감을 만들어낸다. 또한 도서관 내·외부를 넘나드는 동..
2025.01.31 -
의정부 미술전문 공공도서관 2020.5
Uijeongbu Art Public Library 지역사회의 도서관 의정부 미술전문 공공도서관은 국내 최초이자, 의정부시의 랜드마크로서 민락2지구의 교육, 문화, 평생학습은 물론 선진 도서관문화를 리드하려 한다. 전문미술관과 도서관이라는 각각의 상충된 두 영역을 어떻게 하면 잘 융합시킬 수 있을지에 대한 질문이 이 프로젝트의 첫 번째 키워드였다. 하나의 공간 속에 도서관과 미술 두 개 영역이 공존하고 있어 자연스러운 화합을 통해 민락2지구 자연 속의 오브제가 되고, 책을 펼치듯 열린 평면 구성으로 문화 지식 예술은 주변으로 확장되어 적극적인 소통을 이루고자 했다. 도서관의 솔리드한 중심 코어는 관리운영의 중심이자 시각적 정보전달, 상호교류의 중심공간으로 작용하기를 바랐다. 도서관 풍경 첫째, 지역주민의..
2023.01.13 -
남사 도서관 2020.2
Namsa library 용인 남사 도서관 및 스포츠센터는 6,800세대의 주거단지 주민이 이용하는 공공시설 프로젝트다. 전체 단지의 6개의 테마공원 중 라이브러리 파크에 자리하게 되며, 고내식성 강판(칼라강판)과 벽돌을 외장 재료로 사용했다. 집이 주는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전형적인 박공 지붕의 형상으로부터 출발해 도서관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활동의 단면이 수평적으로 적층되어 하나의 공간으로 집적되는 공간 개념을 생각했다. 산책로와 연계해 프로그램을 선형으로 배치하고 학습, 열람, 휴게 등 필요한 공간 형태를 단면으로 구성해 중첩시켜 하나의 유연한 공간으로 만들었다. 이를 통해 내·외부 공간의 시각적 연계와 다양한 공간감은 기존 도서관과 달리 공원 속 수변과 어우러져 카페처럼 편한 휴게 공간, 자유롭..
2023.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