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과건축(6)
-
전문가 양성 전문가 2024.6
Architects : experts who train experts 상상, 그리고 설렘 사람들은 이사를 가기 전에 빈 공간을 어떻게 활용할지, 어떤 가구와 가전을 배치해서 어떤 톤으로 공간을 꾸밀지를 상상한다. 최근에는 SNS와 검색 포털의 알고리즘이 개인의 관심사를 파악해 계속해서 레퍼런스를 제공하는데, 이사를 계획하는 순간부터 입주할 때까지 끊임없이 자신이 살게 될 공간에 몰두하게 된다. ‘집’은 우리가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며 고민하는 일상의 공간이기 때문에,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추어 책상과 침대를 배치하고, 선호하는 커튼과 소파를 선택해서 거실의 분위기를 조성한다. 그렇게 우리는 ‘내 공간’에 대해서는 전문가라고 자부한다. 이미 구축된 공간을 어떻게 채워 넣을지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많은..
2024.06.30 -
그때는 맞고 지금은 틀린 2023.12
It was right then, and wrong now 2년 전 이맘때쯤인 것 같다. 주택을 짓고 마무리도 안 된 집으로 이사했던 때가. 사실 4~5년 전만 하더라도 내가 집을 지을 것이라고는 생각도 하지 못했다. 지방 사람인 나와 아내는 은평구에서 7년을 살고, 아이가 두 살이 되던 무렵 조금 더 나은 주거환경과 사무환경을 찾아 올림픽공원 근처로 사무소를 옮겼다. 비용도 줄일 겸 마음 맞는 친구들 몇몇과 함께 사무소를 나눠 쓰기로 하고 우리 가족은 하남으로 이사했다. 직원도 생겼고 사무소도 어느 정도 성장하고 있던 그때 막연하게 꿈만 꾸던 집을 지어도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건축을 하는 많은 사람이 자기 집을 짓는 꿈을 꿀 것이다. 나 역시 그런 사람 중 하나였다. 시골에서 나고 자란 덕분인..
2023.12.30 -
다소 자극적인 건축인의 생로병사 2022.7
The somewhat exciting birth, old age, sickness, and death of architects 생각하고 싶지 않지만 생각하게 된 사건이 있었습니다. 얼마 전 유명을 달리하신 한 건축사분의 모바일 부고장이 나에게 좀 충격이었다. 그분과 나 사이에 어떤 연결고리는 없다. 다만 비슷한 연배로 추측이 되어서 그런지도 모르겠다. 지금껏 부고는 대부분 우리의 조부모님 또는 부모님에 관련된 것이었다. 그래서 부고에 대해 그리 큰마음이 남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던 중 갑자기 이 부고장이 눈이 들어온 것은 특히 건축사 당사자에게 일어난 일이기 때문일 것이다. 생각조차 하고 싶지 않지만, 사실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일이다. 일면식도 없는 그분의 부고가 나에게 마음의 충격으로 ..
2023.02.21 -
건축사로 산다는 것은? 2022.6
What does it mean to live as an architect? 오늘도 치이다 오늘은 어떤 법이 바뀌었을까? 설계에 전념할 시간도 부족한데 이것저것 챙길 것이 많다. 요즘 부쩍 “아오 진짜 설계 그만하고 싶다!”라는 기분이 든다. 천직이자 가장 좋아하는 일인 설계 자체가 싫은 것이 아니라, 건축사로서 짊어져야 할 혹은 검토해야 할 사항들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본격적인 설계 작업 전에 각종 건축 관련법을 검토하고 혹여 심의대상이면 심의자료 리스트를 점검하여 도서를 작성하고 게다가 지역마다 법의 해석이나 적용은 왜 이리 다른지 자칫 맘을 놓고 있다가는 큰일 나기 십상이다. 또한 충분하고 면밀한 검토시간 없이 사고 등 정치적 이슈의 영향으로, 살짝 과장하면 자고 일어나면 생기는 법도 많으니 어떻..
2023.02.20 -
건축사. 나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2022.5
Architect. My past, present and future… 여름… 건축주를 만나 가을… 허가를 받고 겨울. 실시설계 작업이 끝나면, 봄…. 현장으로 나갈 설계도서들을 마무리하며 한시름 놓는다. 매해 이런 업무 패턴을 반복해 오며 올해로 개업 20년 차를 맞게 되었고, 맡은 바 업무에 대한 소신과 사명감으로 일해 왔다고 자부한다. 이에 건축사 업무를 해오며 경험하고 깨닫고 생각하게 된 나의 어제, 오늘, 내일에 대하여 편하게 써 내려가 본다. Past… 준비되지 않은 건축주와 준비된 건축주를 통한 깨달음 짧은 실무 경험에도 열정과 패기로 가득했던 서른 살, 건축사시험 합격과 동시에 겁 없이 사무소를 개업하게 되었다. 이후 얼마 안 돼서 알음알음으로 사무소를 찾은 한 중년 신사로부터 공장설계를 ..
2023.02.19 -
상가주택에 대한 단상 2022.3
A thought on commercial housing 상가주택은 지금의 투닷을 있게 해준 고마운 주제다. 우리에게 버티기의 생존이 아닌 주도적 생존 전략이 필요함을 깨닫게 해준 상가주택에 대해 정리해보고, 더 발전된 생각을 쌓아가고자 한다. 상가주택의 한계 신도시나 도시개발구역의 점포(상가)주택지는 도시의 비좁은 골목의 빌라촌과는 여건이 다르다. 도시 빌라촌의 태생은 단독주택지이다. 단독주택의 크기에 적합한 토지와 도로의 크기를 갖고 있던 것이 점차 빌라촌의 모습으로 변화된 것이다. 1가구를 위한 단독주택지에 다가구를 넣고 적층하다 보니 주거환경이 좋을 수 없다. 물론 그 한계를 인정하고 그에 적합한 다가구 형식을 고민해 적용했더라면 지금의 빌라촌과는 사뭇 다른 모습일 수도 있었겠으나, 불행히도 그 ..
2023.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