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 공모(4)
-
대전 유성구 보훈회관 _ 2022. 7
Daejeon Yuseong Veterans' Hall 주거지역에 위치한 대지는 시간의 흐름을 고스란히 담아내느라 조금은 어수선한 거리 풍경을 가진다. 이러한 거리 풍경들을 필터링하고 주변 환경과 시각적 부담 없는 어우러진 공간을 만들고자 한 것이 이번 설계의 출발이었다. 지역 주민과 사용자를 위한 커뮤니티 마당은 정북 일조와 건폐율의 영향으로 대지 뒤편에 배치하였다. 이를 전면도로와 시·공간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지면을 비우고 투명한 유리 매스로 1층을 계획하였다. 이로 인하여 내외부의 경계가 느슨해진 1층 커뮤니티 공간은 2층 홀까지 연결되며, 대회의실, 체력단련실 등 주민에게 개방된 프로그램으로 확장된다. 보훈단체의 독립된 사무공간 조성을 위해 업무영역은 상층부(3, 4층)에 배치하였다. 입면은 애국..
2023.02.23 -
육아종합지원센터 _ 2021. 10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경산시의 육아종합지원센터는 꿈, 행복 그리고 동심을 만드는 공간이라는 주제를 갖고 자연을 품은 육아종합지원센터라는 디자인 콘셉트로 설계하였다. 다채로운 시설들과 자연 속에서 지역의 영유아가 함께 소통하며 밝고 건강하게 성장하는 곳을 만들고자 하였다. 키즈 플레이 그라운드 중심으로 시설배치 및 공간구성을 수립하고 안전을 고려한 영유아 중심의 공간을 만드는 데 중점을 두었다. 경사지인 대지의 특성을 반영, 지형의 고저차를 이용하여 절성토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계획으로 매스를 분리하였으며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유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영유아 동선 체계를 수립하였다. 특히, 영유아 중심의 외부공간으로서 안마당 성격의 공간을 만들어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등 ..
2023.02.22 -
구미도시재생혁신지구 그린융합밸리 _ 2022. 5
Green Convergence Valley 누구나 머무르고 싶은 그린 융합밸리 쇠퇴 위기에 처한 ‘대한민국 최초의 국가산업단지’ 구미 제1공단 일대가 도시재생 활성화를 통해 양질의 일자리와 사람이 넘쳐나고 자연이 더해진 지역의 랜드마크로 새롭게 태어난다. 서측의 광평천과 동측의 낙동강 사이에 있는 대상지는 자연을 이어주는 그린네트워크와 연계하여 도시 연결의 새로운 흐름을 더한다. 이 흐름의 한가운데 위치한 대상지는 구미만의 역사적·입지적 잠재력에 따른 공간의 창조적 재활용을 통해 사람을 끌어들이고, 다양한 문화시설, 상권과 조화롭게 연계되어 지역 커뮤니티의 거점이 된다. 산업단지의 특성상 서로 단절된 도시공간에 보행동선을 유입해 보행자 중심의 미래비전을 제시하는 것이 주요 전략이다. 이에 따라 남북축을..
2023.02.21 -
삼양 반다비 체육센터 _ 2022. 4
Samyang Bandabi Sports Center 일반인과 장애인을 구분하거나 장애인만의 전용공간이 아닌 모두가 동등하고 특별하지 않은 일상적인 공간을 제안했다. 주 이용객의 상당수가 장애인일 가능성이 높은 시설인 만큼 제약적인 환경을 최대한 배려하고 모두가 공유되는 관계 속에서 ‘장애인 전용’이라는 공간적 한계를 흩트리는 시도를 통해 ‘비일상’으로 인식되었던 우리 삶의 부분들을 ‘일상’의 자리로 ‘치환’ 하고자 했다. 이것이 바로 진정한 ‘반다비’의 가치라고 전제하며 우리가 경험해 온 운동시설과는 사뭇 다른 풍경을 연출하여 우리에게 익숙한 일상적 공간을 경험하게 하고자 했다. 우선 기능적으로 기존 축구장, 실내체육관, 실내 게이트볼장, 주차장과 동떨어진 반다비 체육센터 사이에 강한 동선 축을 형성하..
2023.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