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 건축사(1542)
-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_ 2022. 4
The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in Gyeongsangbuk-do Beyond Horizon _기술의 융합, 자연과의 소통 경상북도 농업기술원은 급속하게 변화하는 산업 기술의 융합, 혁신의 시대에 맞는 최첨단 농업기술의 연구·교육시설을 목표로 한다. 대지는 상주시의 드넓은 평야에 위치하며, 낙동강과 주변 산세의 지형과 조화를 이루는 장소이다. 새로운 농업기술원은 단절된 자연의 흐름을 복원하고, 경작지의 그리드를 대지 내로 유입하여 지형의 맥락과 그리드 패턴의 유기적 결합을 통해 주변 맥락과 조화로운 단지를 완성하고자 했다. 전통건축의 수평성을 차용함으로써 건축물에 강한 기념성을 부여하여, 학문이 교류되는 서원의 마당을 모티브로 한 비움을 통해 전통의 ..
2023.02.19 -
누리봄다함께 2022.5 2023.02.19
-
자곡다함께키움센터 2022.5 2023.02.19
-
사라지는 마을한양도성 밖 성곽마을, 북정마을 2022.5
Disappearing village Bukjeong Village, a citywall village outside the Fortress Wall of Seoul 서울 성북구 성북로23길 132-3 일대, 숙정문과 혜화문 사이의 한양도성 백악 구간 초입에 있는 마을은 서울의 대표적인 성곽 마을이다. 병풍처럼 감싸고 있는 듯한 성벽과 하나가 되어 형성된 성곽 마을은 지형적으로 형성된 경관적 가치와 오랜 시간의 역사적 가치, 더불어 주민들이 가꿔온 삶터 속의 시대적 가치를 모두 지니고 있어 매우 의미 있는 마을이다. 조선시대 궁궐용 메주를 만드는 곳으로 메주 철이 되면 사람들이 많이 모여 마을이 북적거렸다 해서 ‘북적거린다’에서 유래한 북정이란 이름을 가지게 된 이곳은 만해 한용운의 유택인 심우장과 19..
2023.02.19 -
문예와 건축 _ 영화로 읽는 소설 속 도시와 건축 ②<젊은 느티나무> 1968년 이성구 감독 (원작: 1960년 강신재/ 각색: 나한봉/ 음악: 김동진) 2022.5
Architecture and the Urban in Film and Literature ② A Young Zelkova – Jeolmeun Neutinamu Film 1968 directed by Lee Seong-gu(1928~2005) / a 1960 Novel, Young Zelkova Tree by Kang Shin-jae(1924~2001) “그에게서는 언제나 비누 냄새가 난다. 아니 그렇지는 않다. 언제나, 라고는 할 수 없다.” 이는 1960년대의 많은 여학생들에게 잊을 수 없는 소설의 첫 문장으로 당대 문학소녀들의 가슴을 설레게 했던 내용이다. 많은 곳에 이미 언급되었지만 특히 이 첫 문장은 이상(1910~1937)의 단편소설 「날개 (1936)」의 “박제가 되어버린 천재를 아시오?”와 ..
2023.02.19 -
건축사. 나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2022.5
Architect. My past, present and future… 여름… 건축주를 만나 가을… 허가를 받고 겨울. 실시설계 작업이 끝나면, 봄…. 현장으로 나갈 설계도서들을 마무리하며 한시름 놓는다. 매해 이런 업무 패턴을 반복해 오며 올해로 개업 20년 차를 맞게 되었고, 맡은 바 업무에 대한 소신과 사명감으로 일해 왔다고 자부한다. 이에 건축사 업무를 해오며 경험하고 깨닫고 생각하게 된 나의 어제, 오늘, 내일에 대하여 편하게 써 내려가 본다. Past… 준비되지 않은 건축주와 준비된 건축주를 통한 깨달음 짧은 실무 경험에도 열정과 패기로 가득했던 서른 살, 건축사시험 합격과 동시에 겁 없이 사무소를 개업하게 되었다. 이후 얼마 안 돼서 알음알음으로 사무소를 찾은 한 중년 신사로부터 공장설계를 ..
2023.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