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성진(3)
-
은율탈춤전수관 2018.07
Eunyul Mask Dance Training Center 춤사위 속 한삼 사이로 어우러지는 은율탈의 모습과 자연석의 조형을 전수관 전면에 적 용함으로써 자연과 도시를 연계하는 매개체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계획했다. 무형문화재 은율탈춤의 전통미가 가미된 형상으로 건축물의 인지성을 강화했으며, 은율 탈춤의 해학적인 요소를 활용하여 역동적이면서 불륨감 있는 매스로 구성했다. 외주부 에 설치되는 창호를 최소화하여 에너지 절약에 대한 부분도 고려했다. 외부환경과 적극적인 관계를 맺는 장소를 구성하기 위해 경사지의 레벨을 활용했고, 지 하층 외주부가 노출되면서 지하 발코니를 통해 외부로 나갈수 있도록 계획했다. 1층은 전시 및 공방실, 사무실 및 관장실을 배치하여 야외공간과의 연계 및 관리가 용이하도 록 ..
2022.12.05 -
제너셈 송도 _ 맞춤 2018.07
Genesem Songdo _ Dovetail 송도 신도시는 첨단산업·교육·주거·상업시설이 균형 있게 구성된 국제도시의 품격을 갖추고 있기에, 도시에 부합하도록 건축 요소를 맞춰나가야 했다. 제너셈 송도 사옥은 주로 생산·연구·업무·지원 등을 수행하는 곳으 로, 1~4층에는 생산·연구시설을 집중 배치하여 상호 유기적인 연계를 도모했다. 6~9층의 타워는 업무시설이 들어섰으며, 보안(생산·연구)영역과 개방(업무)영역을 나누었다. 어디서든 접근이 가능한 5층에는 식당과 휴 게실 등의 커뮤니티 지원시설이 배치됐다. 제너셈은 수출 지향적인 첨단기업체로서 해외고객의 방문이 많은 기업인 만큼 출입구와 로비는 기업의 이미 지 제고를 위한 곳으로 설계됐다. 출입구 지붕에 투명재료와 흘러내리는 수공간으로 기업의 역동성과..
2022.12.05 -
부평2동 행정복지센터 _ 2018. 07
Bupyeong 2Dong Community Service Center 소통의 공간으로 통하는 문 대상부지는 노후된 주거지역에 위치했고, 좁은도로 등 지역주민을 위한 문화, 휴게공간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었다. 인접한 주민공동이용시설과 주변을 연계하는 데크, 보행가로를 건물 내부로 자연스럽 게 들여 오고자 했다. 소통의 문이 열리다 지역주민을 위한 문화공간과 열린공간을 하나의 건물에 담고, 그 사이공간을 비워 자연과 연결하여 활력 있는 공간을 제안했다. 외부공간은 대지의 형상에 최대한 순응하면서, 열린배치로 주민들에게 문화 및 휴 식의 공간을 제공한다. 내부공간은 시설별 기능을 기준으로 매스를 분절시키고, 업무공간과 주민편의시 설 등 기능별 조닝계획과 출입구 분리를 계획했다. 지역주민 생활속으로 편안..
2022.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