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컨찬스라이브러리 2025.8

2025. 8. 31. 11:00회원작품 | Projects/Education

Second Chance Library

 

 

 

 

두 번째 기회를 건네는 도서관 
세컨찬스라이브러리는 넘어진 청소년들에게 두 번째 기회를 건네는 도서관이다. 새로운 나, 새로운 타인, 새로운 세상에 닿을 수 있는 기회를 만나는 공간으로 사단법인 세상을품은아이들이 운영하며, 도서문화재단 씨앗의 후원으로 조성되었다. 세상을품은아이들은 가정과 학교, 사회로부터 소외된 아이들이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고 내면의 가치를 되찾아 새로운 삶을 살 수 있도록 돕는 단체이다. 자신이 선택할 수 없는 환경 속에서 넘어지고, 그릇된 선택 속에서 무너져 버려 범죄자로 낙인찍힌 아이들이 법원의 소년보호처분을 통해 이곳에 보내진다. 아이들이 자신의 삶을 반성하고 새로운 삶을 시작할 수 있도록 돌봄과 교육을 제공하고 다른 이들에게 Second Chance를 줄 수 있는 Second Chance Maker로 살아갈 수 있도록 자립의 길을 함께 만들어가는 곳이다. 우주로, 티티섬, 라이브러리 피치 등 청소년들을 위한 새로운 유형의 도서관을 만들고 운영해 온 도서문화재단 씨앗에서 이곳의 청소년들을 위해 도서관 건축을 후원하면서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세상과 연결되는 공간, 도서관 
포천의 북쪽 외곽에 위치한 세상을품은아이들은 낡은 건물을 인수해 아이들이 생활하는 생활관과 배우는 공간인 스네일랩, 식당과 예배당 등 필요한 공간들을 하나씩 고쳐 가며 만들어 가는 중이었다. 별다른 물리적 경계 없이 사방이 자연으로 둘러싸인 캠퍼스는 에너지가 넘치는 청소년들이 지내기에 더없이 좋은 환경이지만 새로운 만남과 교류가 제한적인 곳이다. 기존의 공간들은 세상과 단절을 기반으로 한 내부의 교육이 이루어지는 공간이지만 새로 들어서는 도서관은 아이들이 세상과 만나고 연결되는 공간으로 새로운 만남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기획되었다. 책과 사람을 통해 알지 못했던 자신을 새롭게 만나고 몰입을 경험하며 자신이 꿈꾸는 미래를 발표하는 공간으로 아이들의 변화가 이곳의 콘텐츠가 되는 도서관을 상상하였다.

나무를 품은 삼각형 
입구와 경계가 한눈에 들어오지 않는 어수선한 캠퍼스 부지 내에 도서관을 지을 위치를 찾았다. 캠퍼스 초입의 경사지에 마련되어 있던 주차장 부지를 도서관의 위치로 선정하였다. 좁은 경사지이지만 캠퍼스의 관문이자 외부와의 접점이 되는 위치로 산재된 건물들을 연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위치였다. 대지의 형상을 따라 삼각형의 매스를 배치하고 두 개로 갈라진 캠퍼스의 길을 외부 공간으로 연결하였다. 대지의 경사를 활용하여 건물의 하부를 띄워 기존과 같이 캠퍼스 입구의 주차장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들려진 도서관은 내부의 다양한 활용을 위해 하나의 공간으로 계획하였다.  24시간 아이들과 함께하는 선생님들의 어려움을 고려해 교사연구실을 도서관과 분리하여 독립된 공간을 마련하고, 담장으로 외부 공간의 방향성을 만들어 분산된 주변 건물들을 자연스럽게 연결하고 위요된 정원을 만들었다.

단층의 단조로운 공간에 공간감을 주기 위해 삼각형의 중앙을 들어 올리고 내부의 공간을 입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북측 멀리 전경이 보이는 곳과 남측 정원이 마주하는 곳으로 넓게 창을 두어 아이들의 시선이 멀리 밖으로 향할 수 있도록 하였다. 주차장의 높이를 확보하기 위해 만들어진 단차는 내부의 공간을 자연스럽게 구획한다.
지면과 면한 저층부와 교사연구실은 콘크리트 구조로 단단하게 잡아주고 상부의 도서관은 중목구조로 계획하였다. 삼각형의 형태와 노출된 중목구조는 아이들이 일반적으로 경험하지 못하는 과한 환대의 경험을 공간적으로 전해 주고자 하는 건축사로서의 의도였다. 세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삼각형의 형태는 이곳에서 자신의 참모습을 찾고 세상으로 뻗어 나가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았다.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한 딱딱하고 거친 외관과는 다르게 따뜻하고 보드라운 내면과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아이들을 생각하며, 외부는 차가운 돌과 콘크리트로, 내부는 목재로 디자인하였다. 삼각형의 형태를 따라 세 개의 커다란 빔과 5개의 기둥이 전체 공간을 만들고 구조와 도서관의 책장을 일체화하였다. 외벽을 따라 도서관의 서가를 배치하고 중앙을 비워 내부에 다양한 이야기를 채울 수 있도록 하였다.

 

 

외부 전경
외부 전경
외부 전경

 

A library that gives a second chance 
A library that offers a second chance to youth who have stumbled Second Chance Library is a space where young people can meet a new self, others, and a new world. It is operated by the non-profit organization “Children Embracing the World” and supported by the Seed Foundation for Book Culture. The organization helps youth who have been marginalized by family, school, and society to heal emotional wounds, recover inner values, and begin a new life. These are children who, through no choice of their own, have fallen into difficult environments and made mistakes that have branded them as delinquents. Referred here by the juvenile court’s protective disposition, they are given care and education with the hope of becoming “Second Chance Makers” who offer the same opportunity to others. The project began when the Seed Foundation, which has created and supported unique libraries for youth—such as “To the Universe,” “Titi Island,” and “Library Peach”—decided to sponsor the construction of a library specifically for these young people.

library, a space that connects with the world
Located on the northern outskirts of Pocheon, the campus of “Children Embracing the World” had been gradually renovated by transforming an old building into living quarters, classrooms known as the Snail Lab, a cafeteria, and a chapel. Surrounded by nature with no distinct physical boundaries, it provides an ideal environment for energetic youth, but it lacks opportunities for new encounters and exchange. While existing facilities focus inward and support an insulated education, the new library was envisioned as a place of connection where the youth could meet and engage with the outside world. Through books and people, it was imagined as a place where they could rediscover themselves, become immersed, and express their dreams—a library where the changing lives of these youth would become its living content.

A triangle that embraces trees 
The site for the library was chosen from within a somewhat disorderly campus without clearly defined entrances or boundaries. A narrow, sloped lot once used as a parking space at the campus entry was selected. Although small, the site had the potential to serve as a gateway and a point of connection among the scattered buildings. A triangular mass was designed to fit the terrain, bridging the two paths that divide the campus. By elevating the building on the slope, the ground beneath could continue functioning as a parking lot, while the raised library above was envisioned as a single open volume with flexible use. To support the teachers who live on campus around the clock, an independent research room was provided, and a boundary wall was introduced to define the outdoor space and softly gather the fragmented buildings around a new courtyard.

To bring dimension to what could have been a monotonous single story volume, the center of the triangular roof was lifted, creating an interior with spatial depth and vertical variation. Large windows were placed to the north, opening toward a distant view, and to the south, facing the new garden—allowing the students’ gaze to reach beyond the campus. The difference in level required to accommodate parking naturally divided the interior into separate areas.
The lower portion of the building, which meets the ground and houses the teacher’s room, was constructed of concrete, while the raised library above was built using mass timber. The exposed triangular timber structure was intended to offer a generous and welcoming experience one that students might not often encounter in daily life. The form, stretching outward in three directions, embodies the hope that they may find their true selves here and extend themselves back into the world.
Reflecting the duality of the students—often rough and guarded on the outside, but soft and full of potential within the exterior was designed with cool stone and concrete, while the interior is finished with warm wood. Three large beams and five columns define the space, integrating the structural system with the library’s bookshelves. Bookshelves line the perimeter walls, while the central space remains open to be filled with the many stories and transformations to come.

 

내부
내부
내부
내부
모형

 




세컨찬스라이브러리
건축주 | (재)도서문화재단씨앗, (사)세상을품은아이들
시공사 | 주식회사 티피에이종합건설
설계팀 | 박여진, 송지호
대지위치 |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 화대리 
주요용도 | 교육 및 연구시설(도서관)
대지면적 | 1,891.00㎡
건축면적 | 327.85㎡
연면적 | 371.75㎡
건폐율 | 28.75%
용적률 | 36.70%
규모 | 2F
구조 | 철근콘크리트구조, 중목구조
외부마감재 | 노출콘크리트, 천연슬레이트
내부마감재 | 자작나무합판, 석고보드 위 도장
설계기간 | 2022. 01 – 2022. 09
공사기간 | 2022. 10 – 2023. 10
사진 | 김용성
구조분야 | 터구조주식회사, (주)수피아건축
기계설비분야 | (주)청림설비
전기분야 | (주)다우티이씨


Second Chance Library
Client | SEEART Foundation, SEPUMA
Construction | TPA architecture
Project team | Park, Yeojin / Song, Jiho
Design intention realization | 
Location | Hwadae-ri,Ildong-myeon,Pocheon-si, Gyeonggi-do
Program | Library
Site area | 1,891.00㎡
Building area | 327.85㎡
Gross floor area | 371.75㎡
Building to land ratio | 28.75%
Floor area ratio | 36.70%
Building scope | 2F
Structure | RC, Heavy timber construction
Exterior finishing | Exposed concrete, Slate stone
Interior finishing | Birch Plywood, Paint
Design period | Jan. 2022 – Sep. 2022
Construction period | Oct. 2022 – Oct. 2023
Photograph | Kim Yongsung
Structural engineer | THEKUJO, SUPIA
Mechanical engineer | Chunglim Eng.
Electrical engineer | Dawoo T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