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시설안전원과 함께하는 에듀마실 #1. 문태중학교 2025.9

2025. 9. 30. 15:05아티클 | Article/특집 | Special

Edumasil #1 Moontae Middle School, with Korea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y Safety (KOIES)

 

 

 

■ 사업 개요 및 배경 
학교 개요 : 목포, 문태중학교
▹ 설립일자 : 1941년 04월 28일
▹ 대표번호 : 061-277-7535
▹ 팩스 : 061-277-7536
▹ 주소 : 전라남도 목포시 용당로 138
▹ 학생수 : 539명(남 324명, 여 215명)
▹ 교원수 : 36명(남 18명, 여 18명)

사전기획 전문가
▹ 이정미 건축사 _ 건축사사무소 토림

현황

1. 본관동 2. 별관동 3. 본관화장실 4. 화장실(현 창고) 5. 신관동


문태중학교는 삼면이 도로에 둘러싸여 있다. 남측에는 폭 40m의 백년대로, 서측에는 폭 30m의 용당로, 북측에는 폭 8m의 안장산로가 위치해 있다. 교통량이 많은 40m 및 30m 도로와 본관동, 별관동 사이에는 일정한 거리가 있어 소음 측면에서는 비교적 양호하여 학습 환경은 좋은 편이다.
그러나 문태고등학교와 교지를 함께 사용하고 있으며, 주 배치가 문태고등학교 중심으로 되어 있어 대지 활용 면에서는 매우 불리한 상황이다. 각 건물은 중앙의 운동장을 둘러싸고 있어 다양한 형태의 배치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대지 동측 10m 도로와 서측 30m 도로 사이에는 약 8.0m의 레벨 차가 있으며, 기존 본관동 부지와 동측 도로 간에도 약 7.0m의 레벨 차가 존재한다. 이로 인해 도로에 면하거나 문태고등학교에 인접한 저층부는 채광과 환기 조건이 불리하다.

■ 사용자 참여를 통한 교육과 공간의 연계
교직원, 학부모, 사전기획전문가, 학생이 함께 만드는 공간으로 사전기획을 통해 완성하였다.


SWOT 분석
- 현 문태중학교의 가장 큰 강점 중 하나는 에듀테크를 기반으로 다양한 학습 활동을 운영할 수 있을 정도로 교사와 학생의 활용 능력이 크게 향상됐으며, 이를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교구가 확보되어 있다는 점이다. 또 다른 강점은 동아리 활동, 학생 자치 활동, 방과후 활동 등이 활성화되어 있어 학생들의 교내 활동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교사와 학생 간의 유대감이 잘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 약점으로는 다양한 방과후 활동 및 교과 외 활동이 많아 수업 결손이 잦고, 기초학력 미달 학생이 많은 점이 있다. 또한, 노후화 된 교내 시설로 인해 교육 활동에 불편이 따르며, 결손 가정 비율이 높고 학부모의 교육 활동 참여와 관심이 저조하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 기회 요인으로는 에듀테크를 활용한 교수·학습 도구의 다양화로 수업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과, 공간 재구조화 사업을 통해 교육 활동 공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이 있다.
- 위협 요인으로는 기초학력 미도달 학생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높고, 학생들의 전반적인 학습 역량이 낮다는 점이 극복해야 할 과제로 꼽힌다.

학생과 학부모는 쾌적한 내부 휴식 공간과 다양한 커뮤니티 활동 공간에 대한 요구가 높다. 반면, 교사들은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교실 및 특별교실, 도서관 등 학습 공간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학교 이용자들은 공간 재구조화 사업을 통해 기존에 부족했던 휴식 공간의 확충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 미래 교육공간 특화 전략
도서관
- 서가와 정보 검색대, 다양한 미디어 자료를 갖추고, 스마트한 검색이 가능하도록 키오스크를 활용하거나 에듀테크를 활용해 자료 접속이 가능한 인터넷 환경을 구축
- 실시간 화상 연결을 통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지식을 체득할 수 있는 디지털 환경을 구축

일반교실
- 디지털 기반의 스마트 에듀테크 환경을 구축
- 동시에 다수가 접속할 수 있는 무선 인프라를 갖추고, 디지털 기기 보관 및 충전함이 마련된 공간을 조성
- 토론·발표에 활용할 수 있도록 디벗 미러링이 가능한 전자칠판을 설치

특별교실
- 학생 간, 교사 간 프로젝트 학습 및 연구가 가능하도록 디바이스와 에듀테크 환경을 구축
- 동시에 다수가 접속할 수 있는 무선 인프라를 갖추고, 디지털 기기 보관 및 충전함이 마련된 공간을 조성
- STEAM 교실과 AI 융복합 교실에서는 AR, VR, XR 등 다양한 체험을 통해 교육이 이뤄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과 장비를 구축

그린(생태교육)
- 지붕 녹화, 태양광, BIPV 등을 활용한 에너지 절감 시스템을 구축하고, 해당 시스템을 일상생활 속에서 체득할 수 있도록 함
- 에너지 절감형 건축물 설계를 통해 지속 가능한 학교 시설을 구축
- 생태 체험 및 학습 공간 조성을 위해 본관동 철거 후 학교 숲이 형성될 수 있도록 계획하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텃밭을 운영. 또한, 도서관과 옥외 조경 공간이 자연스럽게 연계된 숲 속 도서관을 조성.

기존 배치안 3D
변경 배치안 3D


■ 평면도
1층 평면도
▹ 1층은 커뮤니티 존으로, 교사·학생·지역민이 교류할 수 있는 공용 공간으로 계획한다. 평상시에는 학생 중심의 홈베이스(cafetorium)와 커뮤니티 스텝을 통해 학생과 교사 간, 학생 간 다양한 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특별 개방 기간에는 지역민과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지역 공공의 장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중심 공간으로 계획한다. 이때 개방에 따른 안전 관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외부 동선을 합리적으로 계획한다.
▹ 기존 신관은 자유학기제와 관련된 실들이 배치되어 있어, 학생들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코어를 계획한다.


2층 평면도 
▹ 학년 교실은 모두 남향 배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이용자에게 충분한 일조가 제공되도록 공간을 계획한다. 일부 학년 교실은 향후 다목적실로의 전환을 고려해 가변형 칸막이 설치를 검토한다.
▹ 커뮤니티 스텝을 중심으로 학년 교실과 특별교실 영역이 구분되도록 공간을 구성하고, 복도와 연계된 러닝 스페이스를 통해 학생들이 휴식 시간에 다양하게 학습하고, 휴식하며, 소통할 수 있도록 고려한다.


3, 4층 평면도
▹ 옥외 데크를 러닝 스페이스와 연계된 공간으로 배치하여, 학생들이 원활하게 휴식하고 교류하며 소통할 수 있도록 계획한다. 또한, 신관과의 동선 연계를 함께 고려한다.

 

 

 

 

이정미  건축사·건축사사무소 토림

 

청주대학교 건축공학과와 동 대학원에서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기단종합건축사사무소에서 실무경험을 쌓았다. 청주대학교와 중부대학교에서 강의했으며, 2004년 건축사사무소를 설립하여 현재까지 운영하고 있다. 대표작으로는 산남초등학교, 중앙초등학교, 청주농고 100주년 기념관, 충북 국방벤처센터, 영동군 CCTV 통합관제센터 등이 있고 여러 프로젝트를 통해 지역 건축사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torimarchi@empa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