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10. 31. 11:05ㆍ아티클 | Article/특집 | Special
Edumasil #2 Moontae Middle School, Preliminary Planning Report on Space Restructuring by Cheonan Jungang High School
■ 사업 개요 및 배경 
학교 개요 : 충남, 천안중앙고등학교 
▹ 설립구분 : 공립 
▹ 설립유형 : 단설 
▹ 주소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충절로 91
사전기획 전문가 
▹ 김수진 건축사 _ 루나 건축사사무소
사업 추진 배경 및 목표 
- 천안중앙고등학교는 50년의 역사와 전통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약 2만여명이 넘는 졸업생을 배출한 지역의 명문공립고등학교 
- 사업대상 본관동은 지어진지 50년이 경과된 노후건물로 시설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며, 지진에 대한 안전성 확보 또한 필요 
- 교수학습방법의 변화에 맞게 교육공간의 변화도 필요하며, 사업대상 건물에 그치지 않고 교내 종합적인 발전 방향 설정 필요
사업 추진 목표 
- 노후화된 학교 시설의 단순 개선사업이 아닌, 미래형 학교로의 전환을 위해 공간과 교육 등 종합적인 관점에서 발전 방향 설정 
- 과거 이론 강의식 교수학습방법에 최적화된 시설구성에서 AI 및 VR과 같은 스마트 학습이 가능하고, 기후변화, 환경오염, 인구감소 등 세계적인 위기에 대응이 가능한 미래인재양성 교육 공간으로의 변화 
- 지진, 석면, 화재 등에 대한 안전성 확보와 안전한 통학 환경, 교내 보행 환경 조성
■ 현황분석 
1. 사업의 범위 
배치 현황

▹본관동 재구조화

접근성

▹ A: 서쪽의 정문과 동쪽의 후문으로 보행, 차량 접근 가능 
▹ B: 9개 버스 노선 통행(1, 12, 87, 93, 100, 110, 200, 201, 급행 5번) 
▹ C: 1동 본관동 교사동 사이 주차장 조성, 안전사고 발생 위험 존재
■ 교육현황분석
교육 목표 
▹ 긍정적이고 창의적인 글로벌 융합인재 육성 
▹ 자신의 진로를 스스로 개척하는 미래인재 육성 
▹ 올바른 가치관으로 남을 배려하는 민주시민 육성
구현 중점 
▹ 사랑과 긍정으로 함께 살아가는 민주시민 교육 
▹ 학생 중심 교육과정 운영을 통한 핵심역량 확보 
▹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참학력을 갖춘 인재 육성 
▹ 학교혁신 역량 강화를 위한 교직원 문화 조성 
▹ 참여와 소통으로 협력하고 상생하는 교육공동체 형성
천안중앙고등학교 교육 운영 SWOT분석 
S(강점) 
- 학교장의 확고한 경영 의지와 교사의 전문성 
- 진로·진학에 대한 성취 목표와 관심도가 높은 학생 집단 
- 동문 및 학부모의 활발한 활동 및 후원 
W(약점) 
- 대학 입시 위주 학습 경향 및 자기 중심적 사고 
- 학교 시설 노후화로 인한 학습 활동 시설의 부족 
- 교과 학습 대비 독서 시간 부족 
O(기회) 
- 과학 중점 학교 운영을 통한 특화(심화) 교육 실시로 준비된 과학 인재 육성 
- CROWNS 등 맞춤형 진로 개발시스템 구축 
- 공간재구조화 사업 지정으로 학교 시설 개선 
T(위협) 
- 자녀의 학습 능력에 대해 지나치게 기대하는 학부모 
- 개인주의화로 인한 재학생의 애교심 부족 
- 변화를 두려워하는 보수적인 분위기 
▹ A: 미래를 이끌어 갈 핵심 인재로서 학생 개인의 잠재역량을 키우기 위해, “끈질긴 근성과 성실로 힘차게 비상하라!”는 학교비전과 “큰 꿈을 갖고 생각하는 힘으로 세계 인재를 키우는 교육"이라는 교육지표로 “나의 꿈 큰 꿈으로”, “나의 존재 지존으로“, “나의 학교 명문으로"를3대중점과제로 정하여 교수·학습 중 
▹ B: 현재 대학 입시 위주로 교수·학습이 진행되고 있으며, 학교 시설 노후화로 다양한 학습 활동이 불가하며 개인주의화와 보수적인 분위기로 변화에 대한 열정 부족 
▹ C: 강점과 기회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교육환경과 디지털 교육환경 등 4차 산업혁명과 같은 시대 변화에 발맞추어 물리적인 공간과 교수·학습의 변화를 내실있게 적용해야 함
공간재구조화(그린스마트스쿨) 비전 
▹ 학교 비전 : 단합과 자강으로 더 큰 세상을 향해 비상하는 학교 
- 모두가 단합을 할 수 있는 환경 구축 
- 함께하는 학습으로 문제 해결 능력 신장 
- 교직원 학습공동체 운영
- 자강을 할 수 있는 환경 구축 
-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탐구자 학생 
- 미래핵심 역량을 키우는 학생 
- 더 큰 세상 잠재적 교육한경 구축 
- 높은 이상을 갖게 하는 교육 
- 학생 진로 맞춤식 학업 능력 신장
■ 공간계획(사용자 참여) 
사용자 참여 수업(학생 대상) 
▹ 상황-목표-계획(STP) 토의 
- 학교 공간의 현재 공간 활용 상황을 파악한 이후(1차 사용자 참여 수업바탕) 
- 공간 혁신의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공간 구성 방안 제시 
- Scan(현재 상황 파악) – Target(목표 수준 정하기) – Plan(공간 혁신 방안을 구체적으로 계획) 
▹ 활동 내용 - 대상 공간 : 교실(강의실) 
- 권위주의적인 교실 배치 
- 칠판이 쓰고 지우기에 불편하다. 
- 빔 프로젝터·옷 보관함의 부재 
- 바닥과 벽이 더럽고 디자인이 별로이다. 
- 낡고, 더럽고, 오래되었다. 
- 라디에이터로 인해 공간이 부족하다 
- 현대적인 교실 환경 조성 
- 천장형 시스템 냉난방을 통한 교실 전용 면적 확보 
- 전자칠판과 태블릿 PC 활용 스마트 강의실 조성 
- 책상·의자의 이동이 자유로운 강의실 조성 
- 정규 수업 외 부가적인 활동(스터디·맨토-맨티) 가능한 강의실

지역 복합화 
- 교내 주차 공간 부족과 함께 교외 인근 주거 지역에도 주차 공간이 부족하여 학교 주변에 상시 주·정차 차량 존재 
- 교내·외 차량 관련 사고 예방을 위해 보·차도 분리와 주차 공간 확보로 지역 사회와 상생 도모
공간구성 방향 
▹ 사용자 의견 수렴 결과 개축 1동(본관동) 
- 교수·학습 공간 (2,029.62㎡, 31%) 
- 교수·학습 지원 공간 (584.64 ㎡, 9%) 
- 생활·복지 지원 공간 (751.08㎡, 11%) 
- 관리·행정 지원 공간 (722.40㎡, 11%) 
- 공용공간 (2,524.22㎡, 38%)
배치 계획

▹ A : 정문을 주 보행 통로로 활용하며 교내 외부 공간을 보행 환경으로만 조성, 비상시 소방·응급 차량 등과 건물 보수를 위한 차량만 통행이 가능하도록 계획하여 교내 차량 안전사고 최소화

▹ B : 북쪽 차량 출입구 신설을 통해 명확히 보행과 차량을 분리하며, 해당 출입구는 교내 주차를 위한 차량 통행 출입으로 활용. 급식 차량과 인근 지역 주민을 위한 공영 주차장을 조성하며 개축동 지하 주차장과 연결 
▹ C : 후문은 보조 보행·차량 통로로 활용하며, 차량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보도와 차도를 명확히 구분 하여 계획

▹ D : 급식 관련 차량의 접근을 용이하게 16동 급식실과 인접하게 배치하고 24시간 출입이 가능한 공영 주차장 조성 
▹ E : 기존에 부족한 휴식·소통 공간과 녹지 공간을 다양한 형태로 조성하며 향후 증축 부지로 활

▹ F : 16동 급식실과 13동 중앙동 이용에 원활하도록 인접하게 조성하며 향후 증축을 고려하여 개축동 계획
평면 계획 
▹ 지하 1층

▹ 지상 1층

▹ 지상 2·3층

▹ 지상 4·5·6층

동선 계획 
- 교육시설 사용자와 지역주민의 동선 분리를 원칙으로 하며, 사람과 차량 동선이 혼재하지 않도록 계획한다. 
- 진입도로는 접근 인지도 및 보차 분리 개념을 고려하여 계획하고, 부지 내에서도 보차 분리 및 보행 전용 동선을 확보한다.
- 진입도로에 대해 보행자 안전을 최우선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계획한다. 
- 건물 내에서의 이동 동선은 되도록 짧게 계획하며, 비상시신속히 피난할 수 있도록 하고, 장애인 편의와 교재, 교구 등의 반․출입을 위하여 엘리베이터를 계획한다. 
- 화재·비상시를 대비한 비상 차로는 평소에는 보행자가 이용할 수 있으며 보행자에 맞는 시설 기준을 적용하고 건축물 및 산책로까지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 지상 주차장에 건물 주출입구와 인접하게 승하차장을 계획하고 이용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보도를 연결하여야 한다. 
- 기존 대지레벨을 고려하여 경사로를 최소화하고 안전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계획하여야한다. 
- 주차 공간은 급식 차량과 지역 주민을 위한 공영주차장을 지상에 계획하며, 학교 방문객과 교직원을 위한 차량은 건물 지하층에 별도로 계획하며 통제시설을 설치한다. 
- 본관동(사업대상)과 중앙동을 연결 통로를 통해 연결하여 중앙동 사용 학생들이 과학실, 메이커스페이스, 도서관, 보건실 등의 이용을 편리하게 계획한다.
특화·중점 계획 
- 과학 중점 학교로 과학 과목과 관련된 실험·실습이 주를 이루어 안전하고 쾌적한 실험·실습이 될 수 있도록 과학실을 조성한다. 
- 기술(3D프린터등)·가정(조리등)AI(코딩,로봇공학등)을 융합하여 복합적인 메이커 공간이 될 수 있도록 메이커스페이스를 계획한다. 
- 주 출입구를 중심으로 건물 중앙 복도를 넓게 조성하여 천안중앙고등학교의 역사와 정신을 안내할 수 있는 “중앙 혼 역사 갤러리“를 조성한다. 
- 개방형 도서관을 조성하여 학교의 정보 허브 공간이 되어범 교과적·다목적 문화 공간이 될 수 있도록 계획한다. 
- 최상층에 천문 관측이 가능한 천장 상부가 이동하여 개방이 가능한 천문대를 계획하며, 지역 사회와 함께 관측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한다. 
- 외부 공간에 학교 숲, 생태 정원 등을 구성하여 휴식·소통 공간을 제공하며 교육시설 사용자와 지역 주민이 산책로로활용할 수 있도록 계획한다.
▹ 천문대 및 메이커 스페이스(기술·가정·AI)


▹ 과학실(과학중점학교) 및 도서관


▹ 중앙혼(중앙고등학교 역사갤러리) 및 생태 휴식 공간



김수진 건축사·루나 건축사사무소
충남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한 후 충청남도교육청에서 학교시설 혁신을 이끌며 교육과 건축의 접점을 실천해왔다. 교육과정 중심의 공간 재구조화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사용자 중심 설계와 공감 기반의 공간 기획을 경험했다. 2024년부터는 독립 건축사사무소를 운영하며 공공성과 창의성을 겸비한 교육시설 설계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미래학교’라는 키워드 아래 학습자 중심의 유연한 공간, 커뮤니티와 연결되는 학교, 지속가능한 설계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77luna@kakao.com
'아티클 | Article > 특집 | Speci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인천에서 만난 대한민국 건축사 비롯한 아시아 건축사,더 나은 미래로…제21차 아시아건축사대회 성료 2025.10 (0) | 2025.10.31 | 
|---|---|
| 한국교육시설안전원과 함께하는 에듀마실 #1. 문태중학교 2025.9 (0) | 2025.09.30 | 
| 2025 신년인사_함께 만드는 미래,함께 성장하는 2025 2025.1 (0) | 2025.01.31 | 
| 2024년 전국 건축賞 한 눈에 보기 2025.1 (0) | 2025.01.31 | 
| 2024 한국건축문화대상 2024.12 (0) | 2024.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