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의 정채성 part 2(3)
-
도시의 정체성 <PARTⅡ> ③ 서울의 도시 어휘들 Ⅲ 2023.9
Identity of the City ③ Urban lexicons of Seoul Ⅲ ■ 도시 어휘 5 _ 탈 위계화된 도시조직 De-hierarchized fabric 서울의 확장과 도시화, 기존 도시화 지역의 변화는 토지의 재분배 방식에 기반한다. 토지의 재분배 방식은 수형도1)와 같은 방식으로 도시 조직을 형성하는 구성요소들의 위계가 와해되고 재구성하는 방식으로, 동등한 요소들로 이루어진 구조가 형성된다. 이때 기존 구조의 각 위계들은 저마다 다른 변형과정을 만들어낸다. 분배 서울은 자신의 도시적 실체를 특징짓는 도시의 원형 요소를 보존해왔다. 산, 한강, 초기의 주요 도로들은 오랜 시간 변하지 않았다. 그러나 서울은 지난 100년간 도시 원형시기에 만들어진 자기 완결적 도시 구조의 규모를 뛰어넘..
2023.09.14 -
도시의 정체성 <PARTⅡ> ② 서울의 도시 어휘들 Ⅱ 2023.8
Identity of the City ② Urban lexicons of Seoul Ⅱ ■ 도시 어휘 3 _ 확산된 도시이동 인프라 Widespread urban mobility infrastructure 서울의 도시이동 인프라는 장소 사용자들이 원하는 장소에 도달할 수 있는 동등한 기회를 부여하도록 도시 전역에 확산되어 있다. 이들 인프라는 도시공간의 실체적인 물리적 거리감을 변형하여 신속한 공간별 이동을 보장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도시이동 인프라들은 유기적으로 통합된 네트워크를 형성하였다. 이동 인프라들 서울의 시민들과 인접 도시에서 진입하는 유동인구들은 도시 전체에 펼쳐진 이동 네트워크를 통해 도시 어디든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 인프라 네트워크는 여러 장소, 개별 건물에 직접적으로 도달하기에 적합..
2023.08.18 -
도시의 정체성 <PARTⅡ> ① 서울의 도시 어휘들
Identity of the City ① Urban lexicons of Seoul 월간 건축사 2023년 2~5월호에서(1월호 : 연재글의 개요와 구성 소개) ‘파트 1. 도시서울, 역사 이전의 흔적부터 지금까지’ 내용으로, 서울이 현재에 이르기까지 변화의 과정을 살펴보았다. 7월호부터는 도시 변화과정에서 축척된 서울의 도시 어휘 10개와 다른 도시에 대해서도 함께 고민할 수 있는 질문들을 소개하여, 독자들과 함께 현재의 우리 도시들, 그리고 미래의 모습에 대한 고민을 공유하고자 한다. ■ 도시 어휘 1 _ 일정한 도시 형태 Constant urban form 두 겹의 자연 지형 서울은 성장과 팽창, 보존과 개발의 과정을 지나며 현재의 모습에 도달했다. 이 과정에서 자연 지형은 도시의 기준점으로 작용하..
2023.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