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대(3)
-
황학동 h.2153 2022.1
h.2153 구도심 재개발에 대한 생각 서울의 도시경관은 1970~1980년대 개발시대 이후의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했다. 황학동 일대는 4대문 안에서 벗어나 있지만, 서울이라는 도시정체성의 일부로서 벼룩시장, 주방거리 등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독특한 장소성을 갖고 있다. 인접한 왕십리 뉴타운 개발사업은 이 일대의 도시경관을 근원적으로 바꾸어 버렸고, 뉴타운에 속하지 않은 주변 지역 또한 개인건축주들에 의해 고층화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황학동 h.2153프로젝트는 이미 개발이 진행된 뉴타운과의 경계지점에서, 기존의 소형필지가 개발될 수밖에 없는 현실에 대한 대안으로, 도시 관점의 시간성, 장소성과 유년기부터 이 장소에 계속 살아왔던 건축주 가족의 시간과 장소에 대한 기억의 연결고리를 찾고자 ..
2023.02.15 -
서대문구 육아복합지원센터 / 가재울 어린이집 2021.11
GAJAEUL Kindergarten 이 세상에 새로운 생명의 탄생은 축복이다. 따라서, 기성세대는 새롭게 태어난 생명에게는 무엇이든 다 해주고 싶은 마음이 생겨난다. ‘새로이 세상을 경험하는 영·유아기의 아이들에게 어떤 공간이 가장 좋을 것인가’에 대한 질문이 이 건축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큰 주제가 된 것은 당연한 일이다. 인간은 오랜 수렵생활과 농경생활을 통하여 자연과 친숙한 존재로 DNA가 발달해 왔다. 도시생활에 적응해 살아가는 현대인에게도 내재된 근원으로서, 자연에 대한 경험은 필수적 생활 요소가 된다. 새로이 태어난 영·유아기 어린이들에게 가장 중요한 신체 경험인 자연과의 상호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 이 프로젝트의 근원적 개념이다. 다행히 사이트는 한 면을 도시가로에 접하고 있고, 반대측 ..
2023.02.13 -
학록도서관 2021.9
HAKROK LIBRARY 현대사회의 도서관과 빛 학록도서관은 민간 기업이 군사교육기관에 건축물 기증을 제안하면서 시작되었다. 공공도서관 프로젝트가 주어진 프로그램과 면적 조건하에서 진행하는데 비해, 이 프로젝트는 프로그램과 공간에 대해 자유롭게 제안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무지와 어두움의 낮은 곳에서 지혜와 빛의 높은 곳으로 올라감’을 구현한 미켈란젤로의 메디치 도서관 개념을 현대적으로 재구성해보고 싶었고, 복합적 문화공간으로서의 현대적 도서관에서 ‘빛’은 어떻게 내부 공간과 관계를 맺을 것인가에 대한 건축적 질문에서 시작하게 되었다. 계획부지는 앞뒤로 2.4미터 정도 레벨 차이가 나며, 좌우로 아름드리나무들이 자리 잡은 좋은 자연환경을 가진 땅이었다. 이러한 조건은 빛..
2023.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