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건축물 관련 인증제도에 대한 이해(10)
-
친환경건축물 관련 인증제도에 대한 이해 ④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 인증 2024.11
Understanding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s ④ Barrier-Free Environment Certification BF 인증 지연으로 인해 건축산업 전반에 미치는 악영향 해소 시급 BF 인증 소요기간 단축 및 심사기준의 일관성 유지 필요 BF 인증기관 추가 지정 및 제도 개선책 마련중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의 편의 증진을 위해 2008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 Barrier Free) 인증제도가 2015년부터는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의 편의 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의 개정으로 공공시설의 BF 인증이 의무화되어 전국의 대상 건축물이 대폭 증가하였다. 그러나, 인증에 소요되는 기간이 6개월 내지 1년 가까이 지연됨에 따라 해당 건..
2024.11.30 -
친환경건축물 관련 인증제도에 대한 이해 ③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인증과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 2024.10
Understanding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s ③ Building Energy Efficiency Rating Certification and Zero Energy Building (ZEB) Certification 불필요한 행정절차 및 규제 해소를 위해 2025년 1월부터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으로 통합 시행 2025년 연면적 1,000㎡ 이상, 2030년 연면적 500㎡ 이상의 민간건축물도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 의무화 건축물의 에너지 소비는 온실가스 배출량과 직결되어 있고,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건축물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다. 이에 정부에서는 이러한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과 에너지 및 자원절약을 통해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고, 자연친화적이며 쾌적한 거주..
2024.10.31 -
친환경건축물 관련 인증제도에 대한 이해 ② 녹색건축물 인증제도 2024.9
Understanding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s ② G-Seed : Green Standard for Energy Environmental Design 인간과 자연이 상호 친화적으로 공생하여 지속가능한 개발 실현 목표 녹색건축물이란 「탄소중립기본법」 제31조 제1항에 따르면, ‘에너지 이용 효율과 신·재생에너지의 사용 비율이 높고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하는 건축물’로 규정하고 있으며,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제2조에서는 ‘탄소중립기본법 제31조에 따른 건축물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동시에 쾌적하고 건강한 거주환경을 제공하는 건축물’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녹색건축인증(G-Seed : Green Standard for Energy Envir..
2024.09.30 -
친환경건축물 관련 인증제도에 대한 이해 ① 배경 및 국내외 동향 2024.8
Understanding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s ① their background and domestic and foreign trends 기후위기에 대응한 탄소중립․녹색성장 위해 온실가스 감축 불가피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도 및 에너지효율등급 인증제도 통폐합 예정 친환경건축은 선택이 아닌 필수 건축사가 건축 설계 업무를 수행하거나 건설회사가 건설 공사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알아야 할 법규와 기준들이 많이 있다. 그중에서도 친환경 인증에 관한 사항은 관계 법령과 기준이 많고 내용도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제도도 자주 바뀌기 때문에, 건축사사무소에서는 해당 건축물을 설계할 때 녹색 건축 인증 또는 에너지 효율 등급 인증 등에 필요한 업무와 에너지 절약 계획서 작성 ..
2024.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