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건축동향(12)
-
바르셀로나의 CMT 회사 사옥/ 배틀 앤 로이그 아키텍츠 _ 엔리크 배틀, 후안 로이그 2018.04
CMT HEADQUATER, Barcelona, Spain Architect : Battle & Roig Architects _ Enric Batlle, Joan Roig 콘텍스트(Context) 이번 호에서 소개할 건물은 스페인의 건축사사무소 배틀 앤 로이그 아키텍츠 -Battle & Roig Architects-에서 설계한 바르셀로나의 CMT 사옥-Telecommunications Market Commission Headquarter- 이다. 사이트는 바르셀로나의 카스텔비 그룹사-Grupo Castellví- 에 의해 개발되고 있는 41,000㎡ 이상의 사무실과 호텔을 포함한 대규모 비즈니스 단지이다. 4면에 도로-Carrere de Bolivia, Ciutat de Granada, Sancho- 가..
2022.12.01 -
오키 사토와 넨도 Part II 2018.03
Oki Sato and Nendo Part II 사토 오키는 한 강연회에서 이런 말을 한다. “세상에서 제가 제일 싫어하는 것이 있습니다. 많은 대중들 앞에서 저의 이야기를 해야하는 것이지요. 스스로에 대한 생각을 이야기하는 것은 좋아하지만 너무 진지한 대화를 많은 사람들 앞에서 이야기하는 것은 별로 좋아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인터뷰 자체를 싫어하는 것은 아니지만 제가 꺼려하는 인터뷰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내년의 디자인 전망을 얘기해야 하고, 제가 제일 좋아하는 색, 디자인을 이야기 하는 것, 그리고 그 디자인이란 무엇인가 하는 질문을 받을 때마다 매번 불편함을 느끼고는 합니다.” - IDS13 International Guest of Honor에서 발췌 관련 인터뷰를 찾아보다 발견한 강연회에서 그..
2022.11.30 -
파크 매니지먼트 2018.03
Park Management 일본은 2017년 도시공원법의 개정을 통해 ‘공모설치관리제도’, 이른바 Park-PFI 제도를 창설했다. 즉, 도시공원에 있어서 음식점, 매점 등의 공원시설(공모대상공원시설)의 설치 또는 관리를 실시하는 민간사업자를 공모형식으로 선정하는 제도로서, 사업자가 설치한 시설로부터 생겨나는 수익을 공원 정비에 재환원하는 조건으로 민간사업자는 인센티브를 적용받게 된다. ■ 민간활력을 활용한 Park-PFI 제도 이러한 제도적 변화에는 크게 3가지의 배경이 있다. 먼저, 1956년 도시공원법이 제정된 이래 물리적 정비가 실시되어 왔는데 2013년을 기점으로 도시공원 면적이 인구 1명당 10 제곱미터를 넘게 되었다. 기존에 정비된 공원들이 노후화되고 사람들의 이목을 끌지 못하면서, 이를 ..
2022.11.30 -
시카고의 트럼프 스마트 팩토리 _ 바르코우 라이빙거 2018.02
Trumpf Smart Factory, Chicago, USA Architect : Barkow Leibinger, Germany 이번 호에서는 우리나라에도 트루텍-TRUTEC- 빌딩을 설계한 적 있는 독일 베를린 베이스의 건축사 바르코우 라이빙거-Barkow Leibinger-팀의 작품을 소개한다. 건축주는 독일 공작 기계 및 레이저 제조 업체인 트럼프-Trumpf-라는 회사였고, 이들은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라는 자신들의 최신 기술을 보유 및 전시하는 공간을 짓고자 했다. 애초부터 발주처 측의 목표는 건물의 주요 기능으로 하이테크 장비 및 혁신적인 생산공정을 한 공간에 구축하고 이를 회사 소개 및 홍보 역할용으로 활용하는 것이었다. 여기에 디지털 네트워크화 된 기계가 장착된 인더스트..
2022.11.09 -
오키 사토와 넨도 2018.01
Oki Sato and Nendo 디자인에 종사하는 사람이 필연적으로 받는 질문이 있다. 철학적으로 깊은 이야기를 하는 것은 아니지만, 디자인 과정에서 깊이 고찰할 때 하는 질문이다. “디자인을 함에 있어서 내가 원하는 디자인을 고객에게 보여줄 것인가, 아니면 고객이 필요로 하는 디자인을 만들어 낼 것인가.” 디자인을 하는 사람에게 가장 중요한 질문이다. 개성을 드러내는데 있어서 자신의 색깔을 유지하는 것은 어렵다. 스스로가 확립돼야 하고, 외부요인에 흔들리지 말아야 한다. 또한 흔들리지 말아야 하는 만큼, 디자인이 필요한 목적도 충분히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모두가 한번쯤 고민했을 이야기라 생각한다. 오늘부터 이야기할 디자이너는 바로 오키 사토(Oki Sato)이다. 캐나다 출신의 일본 디자이너인 그는..
2022.11.07 -
차도(車道)의 ‘광장화’_ 삿포로(札幌)시 키타3죠(北3条)광장 ‘아카프라(AKAPLA)’ 2018.01
Transforming Road Space into ‘Pedestrian Plaza’ _ Kita-sanjo Hiroba ‘AKAPLA’ 일본에서는 지금까지 자동차를 위한 공간이었던 도로 공간을 사람에게 다시 되돌려 주고자 하는 움직임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예를 들어, 가로공간을 활용한 오픈카페 또는 보행자천국 등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에는 더 나아가 도로 공간을 지자체의 자주적 광장조례를 바탕으로 차량이동을 막고, 광장화하여 사람들의 휴식공간으로 탈바꿈하는 사례가 생겨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 중에 하나인 ‘홋카이도(北海道) 삿포로(札幌)시 키타3죠(北3条)광장(이하, 광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도시개발사업과 연계한 광장 만들기 아카프라라고도 불리는 이 광장은 한때 도시계획..
2022.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