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월호(19)
-
건축계소식1월 2021.1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서울도시건축전시관’ 운영 맡는다 한국건축단체연합(FIKA)이 손을 맞잡고 공동 설립한 (사)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가 서울시 위탁사업인 ‘서울도시건축전시관 운영’ 민간 수탁업체로 선정됐다. 대한건축사협회는 서울시가 공모한 ‘서울도시건축전시관 운영·관리 민간위탁 운영자 모집 공고’ 적격자 심의결과 지난 12월 21일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가 수탁업체로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서울도시건축전시관은 ‘서울시 행정사무의 민간위탁에 관한 조례’ 제8조에 따라 관리운영사무를 민간기관에 위탁하고 있다.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는 지난 12월 18일 사업제안 설명(PT)과 심사를 거쳐 이 같은 결과를 얻게 됐으며, 공고 결과에 따라 ’21년(2월 예정)부터 2년간 서울도시건축전시관 운영 업무를 맡게 됐다. 이..
2023.01.30 -
건축계 연대 2020.1
Solidarity of Architectural Society 2020년, 새해가 됐다. 건축계는 그 어느 때보다 위기와 기회의 시기가 동시에 온 듯하다. 이런 긴장감은 최근 등장한 연대(Solidarity)라는 화두의 부상에서 읽을 수가 있다. 연대는 사회적 이해관계가 서로 얽힌 집단의 권익을 위해서 참여 주체들이 노력하는 것을 말한다. 왜, 이 시점에 이런 화두가 건축계에 떠올랐을까? 19세기 사회학자 다비드 에밀 뒤르켐(David Émile Durkheim, 1858∼1917)은 전통사회가 산업화로 인한 다양성의 사회로 전환되면서 벌어지는 사회적 문제에 주목했다. 최초의 사회학 개척자이기도 한 그는 현대산업사회에서 분업이 발달할수록 사회구성원들의 상호의존도는 커진다고 주장했다. 동질성을 기반으로 ..
2023.01.09 -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2020.1
Happy New Year.
2023.01.09 -
01 ‘2019 월간건축사 작품전’ 토론회…건축사가 말하는 가벼운 듯 가볍지 않은? ‘건축특강’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세대 건축사 이야기 2020.1
Forum of ‘Monthly Architectural History Exhibition in 2019’A light ’Special Lecture on Architecture’ by a Registered Architect Stories on the Registered Architects of Our Generation living in this Era 대한건축사협회 편집위원회가 주관한 ‘2019 월간 건축사 작품전’ 토론회가 지난 12월 20일에 열렸다. 2019년 월간 건축사지와 함께 한 작품들을 관람한 뒤 건축사가 생각하는 시장과 현장, 인식에 대해 논의하는 공론이었다. 네 명의 건축사들이 모여 무거운 주제를 내려놓고 건축사라면 누구나 한번쯤 생각해봤음직한 가벼운 의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
2023.01.09 -
02 ‘월간 건축사 2019 작품전’…2019년 이끈 건축 작품들과의 만남 2020.01
서울 마포구 소재 ‘이건하우스’ 홍대전시장에 올 한해 ‘월간 건축사’에 게재된 건축 작품들이 12월 2일부터 12월 31일까지 전시됐다. 대한건축사협회가 주최하고 편집위원회가 주관, 이건창호와 한국엡손이 협찬한 이번 전시는 건축이 만들어진 근본토대와 과정에 대한 스토리를 함께 공유하자는 취지로 기획됐다. ‘월간 건축사’ 창간 이래 최초로 열린 건축전이며, 2019년 ‘월간 건축사’에 게재된 작품들 중 약 50여 점이 전시됐다. 남서울대학교 건축학과에 재학 중인 류가영 대한건축사협회 학생기자는 “‘월간 건축사’에 실렸던 작품들을 더 가까이에서 만나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면서 “건축사분들이 직접 본인의 프로젝트를 설명해주셔서 하나의 건축물이 완성되기까지의 과정을 듣고 이론으로 배울 수 없는 실무, 재무, 건..
2023.01.09 -
유회진 학술정보관 2020.1
SNU Academic Information Center 본 건물은 서울대학교 신공학관 영역에 위치한 전 재산을 유산으로 기증한 고 유회진 교수의 이름을 딴 학술정보관이다. 이 시설은 현재 지하1층 및 지상6층 규모로 2018년 11월 완공되었으며 학생들의 교육 및 연구 활동 지원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캠퍼스 통합을 위한 연결의 제안 기존의 서울대학교 공과대학교의 건물들은 “윗 공대, 아랫 공대”라는 이름으로 불리울 만큼 지형적인 위치에 의해 단절된 형상을 하고 있었다. 특히 “윗 공대”의 건물들은 접근성이 떨어지고 다른 단대와의 교류도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이었다. 본 건물은 “윗 공대” 건물들의 중심을 옮겨 서울대학교 내의 다른 건물들과 더욱 가까워지고 통합될 수 있도록 연결의 역할을 하는 ..
2023.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