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담 ‘레이어’ CAFE_LEIE 2025.8

2025. 8. 31. 11:05회원작품 | Projects/Commercial

CAFE_LEIE

 

 

 

 

 

에필로그 그리고 건축사의 소고
와우리는 조선시대에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제사를 지낼 때 떠놓을 물을 이곳에서 가져갔다는 데서 유래되었고 마을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산의 지형이 ‘소(牛)’가 ‘누워(臥)’있는 모양 같다고 해서 불려진 지명이다. 건축물 주변에는 공동주택과 종교시설 그리고 낙후된 공구상가와 중저층의 건물로 이루어진 소도시의 한 켠에 위치하고 있다. 텅 빈 곳은 아니지만 봉담 시민들의 여가를 보낼 수 있는 휴식공간은 부족한 편이다. 건축물이란 소유하고 있는 사람의 것이 아니라 본디 길을 걸어가고 또한 잠시 들어와 앉을 수 있는 모든 사람들을 위한 보편적인 공간이며 집과 집을 잇는 길, 그리고 다 같이 소통할 수 있는 공공성의 산물이어야 하기에 언제나 열려 있어야 한다는 지론이다.

건축의 시작은 언제나 건축사의 손끝과 생각에 근원하지만 도시를 보는 눈, 길을 담아내는 공간의 진정성은 언제나 가장 먼저인 것 같다. 개발이 되고 있는 고요한 화성 봉담읍 구(舊) 도심지를 한가로이 걷다 잠시 머물 수 있는 작은 공간을 만드는 일은 나름대로의 큰 의미가 있다. 쓸데없는 공간이 아닌 ‘쓸모 있는’ 공간과 도시를 품고 흩어진 피로를 내려놓을 수 있는 또 하나의 탄생을 기대하면서 프로젝트는 시작되었다. 분주하지 않으며 이 대지가 가지고 있는 특징을 살려 나만의 건축적 온도를 발현해 주는 일. 건축사의 진정한 목표이기도 하다. 하루를 보냈고 또 하루를 보내야 하는 것 또한 누구에게나 마주하여야 하는 것이라면 <쉼>이란 아주 의미 있는 일이다. 빠른 박자로 보내버린 어제의 일들을 한 잔의 커피에 녹여 마시며 다디단 초코렛 한 조각의 진심을 일깨우고 우려내는 일 그리고 앞에 앉은 사람과 도시의 끝 지평선에 대한 자신의 이야기를 전하고 듣는다면 또 하나의 나를 보게 되는 시간으로 채우기에 충분하다. 심술궂고 시끌벅적한 세상 속에 온몸을 던져 꿋꿋하게 버텨 낸 자신을 위로하고 보듬는 4박자의  운율이 필요했다. 자신의 신념을 이 작은 수십 평의 공간 속에서 발견하고 나의 역할을 반복하면서 넘겨받는다면 숨어 있던 공감과 열정을 찾을 수 있으리라. 이것이 공간을 만드는 건축사와 공간을 차지하는 건축주와 이용자의 역할이리라.
  
바람을 만날 수 있는 자리. 푸른 하늘을 담을 수 있는 큰 유리, 내 한숨을 받아줄 수 있는 높은 천장 그리고 마을을 내려다볼 수 있는 작은 루프탑 공간까지. 내가 여기에 있는 이유를 찾는데 부족함 없도록 하고 싶었다. 층과 층을 이어 주는 수직 로드맵. 건물과 도시의 길을 이어주는 작은 나무들과 정원. 나만을 비추는 가지런한 펜던트등의 정렬, 갓 구워 낸 빵들의 향연을 느리게 맡을 수 있는 여백. 화려하기보다는 침착함이 더 어우러지는 잘 쌓인 외벽. 나와 함께 동행하는 도시 시간의 속도를 이곳에서 향유하고 준비하는 공간이 되길 바라면서 설계를 하였다.
 
건축이란 사람을 위하여 수많은 스토리들을 담을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도심 한 켠의 작은 자리를 차지하고 건축의 언어들을 모아 흔들리는 마음을 침착하게 하는 건축물이야말로 가장 매혹적이지 않을까 한다.

에피소드
작은 신생도시 하남이라는 곳에서 두 젊은 아들과 함께 살아가고 있는 보통의 아버지(건축주)는 건축사인 나와 택지지구 상가주택을 지어 본 인연으로 ‘와우리’라는 마을에 또 하나의 땅을 마련하고 나를 불러주셨다. 텅 빈 나대지(전)에 어떤 형태의 건물을 놓을지 어떤 재료의 색으로 입힐지에 대해 수개월의 시간을 함께 고민하였다. 작지만 작지 않은 건물을 만들어 내는 것은 결국 건축사의 몫이긴 했지만 서로의 입장에서 믿고 의지하는 것만은 내내 계속되었다. 저렴한 공사비로 질 좋은 건축물을 기대한다는 것도 모순이지만 누구나 그러하듯이 이 프로젝트 역시 저렴한 공사를 할 수 있는 시공자를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설계기간 동안 공간 구성에 많은 시간과 많은 변경을 수반하게 되었다. 그렇게 소란스러운 나날들을 보내고 난 후에야 공간은 완성될 수 있었다.

자칫 점잖고 길거리에 놓인 일반적인 건물과 밋밋한 마을에 나름대로의 멋을 부린 아이디어가 필요했기에 양감(Mass)의 변화가 필요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예상치 못한 공사비의 상승으로 파격적인 디자인은 엄두를 낼 수 없었고 건축사의 입장에서 내부 마감을 과감히 없애고 노출콘크리트 제물마감을 제안했다. 하지만 다소 거친 콘크리트의 표면과 카페라는 공간에서의 먼지 비산에 대한 건축주의 걱정이 있어 내부 벽면마감을 코팅제로 도색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도장 공사 후 예상 밖 콘크리트의 수분흡수에 따른 거칠고 보기 흉한(칙한) 색의 등장으로 모두 난처한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겪어보지 못한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결국 공사비와 공사기간에 문제가 생겼다. 결국 콘크리트 본연의 색에 가까운 밝은 회색의 도장 공사를 한 후 천만다행으로 비교적 기존의 콘셉트에 가까운 질감의 결과를 만들어낼 수가 있었다. 외벽의 롱브릭 벽돌 그리고 맑은 유리와 조화된 알루미늄 프레임을 통해 다소 지체되긴 했지만 우여곡절 끝에 어느 정도 만족할만한 공간이 탄생하게 되었다. 한 가지 덧붙인다면 ‘벨기에’에서 유학을 하고 온 건축주 큰 아들의 ‘쇼콜라티에(chocolatier)’라는 흔하지 않은 초콜릿 자격을 좀 더 발전시키기 위하여 카페의 이름을 ‘레이어(Leie, 벨기에 강이름)’라고 부르기로 하고 브랜드 디자인공모를 통해 건물 간판과 머그컵 등에 적용을 했다. 아침 식사를 대신할 샌드위치로 오늘도 아침 8시가 되면 이곳은 도시인들의 마음을 마중하고 있다.

보이드(Void)와 공존                                                    
건폐율과 용적률의 한계. 이를 극복하기 위한 Mass의 조절은 결국 공간을 비우는 일이다. 비어 있다는 것은 다시 말하면 채우는 일이기도 하다. 달라지는 것은 창의 크기, 그리고 바라볼 수 있는 양(量)이 커진다는 것이기에 아침이면 창을 열고 갓 만들어진 샌드위치 향을 마음껏 들이킬 수 있고 365일 언제나 빈 의자처럼 사람을 기다리고 있는 배려와 여유 함께 따라온다. ‘화려하기보다는 매력이 있는’ 건축물, ‘개인적이기보다는 개성적인’ 건축물, ‘최상보다는 최선이 먼저인’ 마을의 작은 구심점이 되기를 기대하는 마음으로 공간이 메워지기를 바란다. 시간이 지나면 마을과 길이 동화되고 누구나 마실 나오듯 가까운 친구 같은 쉼 공간이었으면 한다. 그것이 건축이 존재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주변을 압도하는 ‘힘(力’)과 ‘색(色)’보다는 1년이 되어도 10년이 된 듯한 공간, 10년이 되어도 1년이 된 듯한 공간이기를 애써 바래 본다. 1층에서 주문을 하고 세 개 층으로 구성된 카페 공간은 ‘마음 산책(mind stroll)’하기에 충분하도록 공간 분리를 도모하고 구조적 ‘자연색’을 이용하여 큐(Q) 블럭으로 ‘소통’의 의미를 부여하면서 개방감을 강조하였다. 눈물도 해를 만나면 빛난다고 했다. 비록 풍족한 예산은 아니었지만 건축사와 건축주가 공감하고, 공간과 마을이 공감하는 어느 누구에게 어느 날 아주 특별한 선물같은 날들이기를 바란다.

 

Epilogue and an Architect’s Thought
Wauri gets its name from the Joseon Dynasty, when King Jeongjo is said to have drawn water from this place for the ancestral rites of his father, Prince Sado. The mountains that embrace the village resemble the shape of a cow lying down, which inspired the name. The site is situated at a quiet corner of a small town, surrounded by apartment blocks, religious buildings, outdated tool shops, and low- to mrise structures. While not entirely empty, the area lacks spaces where residents of Bongdam can pause and rest.
Architecture, I believe, should not belong only to its owner. It should always remain open a universal space that welcomes anyone walking by, anyone who wishes to enter and sit for a while. It should connect homes, form paths, and serve as a medium for communication and public life.

The beginning of architecture always stems from the fingertips and thoughts of an architect, but seeing the city, understanding the street, and capturing the sincerity of space is what comes first. Creating a small space in the quietly developing old downtown of Hwaseong Bongdam, where one can stop and rest while strolling, holds its own significance. It’s not about making a superfluous space, but one that is “useful” a space that holds the city, receives scattered fatigue, and offers another kind of birth. That’s what we aimed for.
It’s about not being in a rush bringing out the distinct character of this land and expressing my own architectural temperature. This, too, is a fundamental goal of an architect. If we must live through each day, then “rest” becomes a meaningful pursuit. To melt away the events of yesterday into a cup of coffee, to awaken the sincerity of a small chocolate square, to share and listen to stories about the distant city skyline with someone sitting across from me—these things are more than enough to fill the moment with reflections of myself.
In a noisy and demanding world, I felt the need for a rhythm of four beats to console and embrace myself for having endured. In this small handful of square meters, I hoped to rediscover belief, pass on my role, and uncover hidden empathy and passion. This is the role of the architect, and also of the client and users who inhabit the space.

I wanted a place where you could meet the wind. A wide window to hold the blue sky, a high ceiling to receive your sighs, and a small rooftop to gaze over the village. I tried to ensure that no reason for being here was lacking. A vertical roadmap connects each floor. Small trees and gardens link the building to the streets of the city. Pendant lights neatly aligned just for you. The aroma of freshly baked bread drifting through the open space. Instead of brilliance, I opted for calm the carefully layered exterior wall. This is a space where one can savor the rhythm of the city’s time, and prepare to walk with it.
Architecture, at its best, should contain countless stories for the people it serves. A modest building tucked into a city corner, collecting the languages of architecture to calm shaken hearts that may be the most captivating kind of architecture there is.

Episode
The client—a regular father raising two sons in the new city of Hanam—had once worked with me to design a shop-house in a planned district. Later, he acquired another piece of land in Wauri and called me again. For months, we pondered together what kind of building to place on the vacant lot, what materials to use, and what colors to apply.
Though it was my role as the architect to ultimately realize the space, our trust and reliance on one another continued throughout the process. Like most people, we had to choose a builder that could offer reasonable construction costs, even if it meant compromising on quality. Naturally, the design process involved numerous changes and adjustments to accommodate the budget.
After all the noisy days passed, the space finally took shape. To avoid creating a generic building on a quiet street, we needed a bold shift in massing. But with construction costs rising unexpectedly, we had to forgo daring designs. Instead, I proposed exposed concrete finishes, eliminating interior finishing altogether.

However, the client was concerned about dust and the rough texture of exposed concrete, especially for a café. So, the walls were painted with a sealant. Unfortunately, the resulting color—caused by moisture absorption as dull and uneven. This unforeseen issue affected both our schedule and budget. Eventually, we repainted the walls in a bright gray close to natural concrete, which fortunately brought us closer to the original concept.
The exterior—featuring long bricks, clear glass, and aluminum frames as slightly delayed but ultimately delivered a satisfying result. One personal touch: the client’s eldest son, who had studied in Belgium and earned the rare title of chocolatier, named the café “Leie” after a Belgian river. A brand design competition helped apply this name to signage and mugs. Every morning at 8 a.m., with sandwiches served for breakfast, this place quietly greets the hearts of city dwellers.

Coexistence with the Void 
Building coverage and floor area limitations meant we had to sculpt the mass carefully. Ultimately, this meant letting go creating voids. And emptiness is, in fact, another form of fullness. It brings bigger windows and broader views, allowing the aroma of fresh sandwiches to fill the air each morning. The ever-waiting empty chairs embody patience and warmth.
Rather than being flashy, I wished for architecture with charm. Rather than being personal, something full of character. A space that pursues not the best, but the most sincere. A small anchor for the village. Over time, I hope the building will harmonize with its surroundings and become a familiar place, like a close friend you casually visit. That, to me, is the reason architecture exists.
Instead of overwhelming with “power” and “color,” I wanted this to be a space that feels like it’s been here for 10 years even after one, or like it just opened after a decade. From ordering on the first floor to strolling through the three café levels, the space is designed for a “mind stroll.” Using natural colors and Q blocks to express communication, I emphasized openness and connection.
Even tears shine when they meet sunlight. Though our budget was limited, the architect and client found mutual understanding and hopefully, this space and the village will do the same. For someone, someday, may it become a special gift.

 

 




봉담 ‘레이어’ CAFE_LEIE
건축주 | 김동익
감리자 | 송원흠 _ 세담 건축사사무소
시공사 | (주)에스엔종합건설
대지위치 |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와우리
주요용도 | 근린생활시설
대지면적 | 817.00㎡
건축면적 | 163.16㎡
연면적 | 397.21㎡
건폐율 | 19.93%
용적률 | 53.65%
규모 | 4F
구조 | 철근콘크리트구조
외부마감재 | 치장벽돌(듀라스텍, 허니브라운)
내부마감재 | 노출콘크리트, 수성페인트
설계기간 | 2022. 11 – 2023. 08 
공사기간 | 2023. 09 – 2024. 11
사진 | 허강훈
구조분야 | 서울구조
기계설비·전기·소방분야 | (주)코담기술단


CAFE_LEIE
Client | Kim, Dong ik
Supervisor | SEDAM Architects
Construction | SN Corp.
Location | Wauri, Bongdam-eup, Hwaseong-si, Gyeonggi-do
Program | Neighborhood facilities
Site area | 817.00㎡
Building area | 163.16㎡
Gross floor area | 397.21㎡
Building to land ratio | 19.93%
Floor area ratio | 53.65%
Building scope | 4F
Structure | RC
Exterior finishing | Brick
Interior finishing | Exposed Concrete, Paint on concrete
Design period | Nov. 2022 - Aug. 2023
Construction period | Sep. 2023 - Nov. 2024
Photograph | Heo, Gang Hun
Structural engineer | Seoul structure
Mechanical·Electrical·Fire engineer | CODAM

'회원작품 | Projects > Commerci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사 트라노이 2025.8  (0) 2025.08.31
블랑드부 2025.8  (0) 2025.08.31
모이핀 스카이 2025.7  (0) 2025.07.31
제이린드버그 청담전문점 2025.7  (0) 2025.07.31
류심헌(柳心軒) 2025.6  (0) 2025.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