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작품 | Projects/Competition(53)
-
[설계공모] 구덕민속예술관_ 2024. 4 2025.9
Gudeok Folk Arts Center 설계자 강지호 건축사_ Kang, Jiho 아틀리에오 건축사사무소_ atelier o 고지점의 산책로와 저지점의 수변공원 사이의 자연적인 지형적 흐름을 보존하고자, 필로티 구조를 활용해 띄워진 민속예술관의 1층 마당공간을 마련했다. 이 마당공간은 민속예술관을 방문하는 사용자뿐만 아니라, 산책로와 수변공원을 이용하는 사람들을 위한 다양한 용도의 외부 공간으로 기능한다. 이 다양한 외부공간을 통해 사용자들은 자연스럽게 민속예술관으로 인도되며, 이는 공간의 활용도와 방문자 수를 증가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이 된다. 쾌적한 산책로를 따라 걷는 사용자들은 수목의 모습을 그대로 담은 건축에 자연스럽게 인도될 수 있다. 경쾌한 수목의 리듬을 담은 입면 루버는 민속예술관의 정체..
2025.09.30 -
[설계공모] 환동해 호국역사 문화관 2025.8
East Sea National Protection History Culture Center 설계자 김기석·손만영 건축사_ Kim, Kiseok · Son, Manyeong (주)기단 건축사사무소_ KIDAN Architecture Designer’s Group 포항 환동해에서 발생한 조국 수호 관련 유적과 형산강 전투와 관련된 국군 및 지역 주민들의 애국정신을 계승할 목적으로 호국역사를 대지 전체에 담아내기 위해 사방이 열린 대지의 특성을 고려한 계획을 진행했다.대지 앞 개설 예정인 20m 도로와 대지 옆 파크골프장 예정지의 주차계획을 고려해 보행 및 차량의 접근을 분리시켰고 도로와 주변 프로그램에 따른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지의 중간에 매스를 배치했다. 그로 인해 생긴 대지 내 실외공간..
2025.08.31 -
[설계공모] 강릉통일공원 하늘숲전망대 2025.7
Gangneung Unification Park Observation Tower설계자 김시홍·황남인 건축사 _ Kim, Sihong · Hwang, Namin건축사사무소 내러티브아키텍츠 건축사사무소 _ Narrative Architects 강릉통일공원 하늘숲전망대는 자연과 인공 요소가 복합적으로 얽힌 다층적 공간 경험을 통해 비선형적 움직임과 다각적 시점을 제공하며, 이동의 본질과 탐험의 감각을 유도한다. 산을 오르는 과정은 미지의 장소를 향한 인간의 본능적 탐험 욕구를 자극하며, 자연과 건축이 혼재된 비선형적 동선은 낯선 공간 경험으로 이어진다. 비렌딜 트러스와 여러 각도로 기울어진 기둥과 보는 구조적 복합성을 형성하며, 다양한 힘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자연의 무질서와 인공 구조의 질서를 교차시킨다. ..
2025.07.31 -
[설계공모] 2025 APEC 정상회의 만찬장 2025.6
2025 APEC Summit Banquet Hall 설계자 강성원 _ Kang, Soungwon건축사사무소 강희재 _ gangheejae architects & heritage design 2025 APEC 정상회의 만찬장은 한국 고유의 공간성과 국제 행사의 품격이 공존하는 장소에 자리한다. 국립경주박물관의 역사적 축과 공간적 맥락에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도록 건축의 배치를 설정하고, 지하에 남아 있는 유구를 온전히 보존하기 위해 건축을 지면 위로 들어 올리는 구조적 방식을 도입했다. 이러한 태도는 장소가 품고 있는 시간의 층위에 대한 존중이자, 과거와 현재의 공존을 위한 최소한의 개입이기도 하다.전통 누각의 개념을 바탕으로 서까래, 기단, 처마 등 고유한 건축 요소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이를 공..
2025.06.30 -
[설계공모] 시간의 회복 _ 송현동 국립문화시설 건립사업(2024. 10.) 2025.5
Restoration of the time _ Songhyeon-dong National Cultural Facility 설계자 김진화·박종대 _ Kim, Jinhwa · Park, Jaydi (주)제제합건축사사무소 _ JEJEHAAP Architects 송현동 부지는 대한민국 근현대사의 변화와 그 흔적을 고스란히 목격한 장소이지만, 동시에 100년의 역사 속 온전히 우리의 것인 적이 없었던 침묵의 땅이기도 하다. 이제 그 땅을 온전한 시민들의 시간으로 채워놓고자 한다. 대상지 주변 경복궁과 한옥마을 등 역사적인 도시 패턴을 연장하여 공원과 기증관을 디자인하고 인접한 장소들의 연결을 통해 기증관을 지역의 일부로 만드는 것이 배치의 개념이다. 이를 위해 전통적인 중정 패턴을 적용하여, 3개의 매스로 ..
2025.05.31 -
[설계공모] 고양창릉 A-2, A-5BL 공동주택(2024. 6.) 2024.7
Goyang Changneung A-2, A-5BL Housing 설계자 최기철 · 박승만 _ Choi, Ki-cheol · Park, Seung-man (주)토문 건축사사무소 _ Tomoon architects & engineers A-2BL ‘이웃과 함께 아이가 자라는 자연친화적 단지’ 단지를 관통하는 공공보행통로는 풍부한 자연요소와 생활가로의 커뮤니티 요소를 조화롭게 엮는 중요한 수단이며, 스쿨파크로 향하는 등굣길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 길을 활용해 주변의 풍부한 자연환경을 유입시킬 열린 통경과 연속적인 경관을 계획하고, 이를 중심으로 퍼져나가는 다양한 가로형 커뮤니티 계획을 통해 지역과 소통하며 ‘이웃과 함께 아이가 자라는 자연친화적 단지’를 제안했다.A-5BL ‘세대 간 품어주며 조화를 이..
2024.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