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작품 | Projects/Culture(29)
-
핑두 완커주택문화관 2019.11
Vanke Housing Culture Center, Pingdu 핑두(平度)는 인구 150만 명 정도의 작은 도시이지만 무려 3천 년의 역사를 가진 도시이다. 칭따오의 북쪽 외곽에 위치한 까닭에 칭따오의 영향을 받아 근래에 도시의 변혁이 급속도의 물살을 탔다. 시내 중심부에 위치하던 관청들이 신개발지로 이전하면서 도시의 가장 오래된 중심지역을 재개발하는 마스터플랜을 수행하게 됐다. 수천 년의 역사를 가진 만큼 그 유적을 기대하였지만 이미 민국시대 이후에 들어선 아파트들과 관아건축들은 유감스럽게도 이미 그 유구들을 멸실하고 세운 결과였다. 그러나 어렵게 찾은 고지도들에 의하면 옛길들은 여전히 남아 지금의 길들로 쓰고 있는 게 많아, 이 공간에 입각하여, ‘지문(landscript)’을 주제로 전체 마스터..
2023.01.06 -
사비나미술관 2019.1
Savina Museum of Contemporary Art 융복합형 전시를 추구하고 있는 사비나미술관장 (이명옥)은 안국동의 전시공간보다는 넓은 전시공 간이 요구됨에 따라 부지매입·선정 단계부터 건축 주+건축사의 협업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대 지는 몇 개의 부지중 도로와 진관내천으로 둘러싸 인 곳으로 선정했다. 삼각형 대지를 따라 건축물의 매스는 자연스럽게 삼각형 구도를 가지게 됐다. 삼각형은 변화와 융 합을 시도하는 사비나미술관의 특성과도 잘 부합 되어, 세 개의 모퉁이 공간에 삼각형의 보이드가 생겨났다. 보이드공간은 자연적 요소(빛과 공기) 유입 통로와 입구·수직이동 동선으로 계획하였으 며, 건축디테일까지도 연속된 언어로 사용했다. 사용된 재료는 백색의 고벽돌과 콘크리트만 사용 했다. 전시공간에..
2022.12.12 -
시도 [공간]테마 석재 미술관 마을 2018.12
Si Do [Raum] Stone Gallery 2004년 당시 김종학 프로덕션과 여러 가지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었다. 그 중 드라마용 주택을 진행했는데 시간은 3개월밖에 없었고, 그 안에 모든 일들이 끝나야 했다. 그런데다 드라마 시각연 출부는 당혹스러운 디자인을 강하게 요청했고, 어쩔 수 없이 마무리만 하는데 집중해서 처리했다. 누구보다 과정을 지켜 본 토지주와 몇 차례 만나게 되면서 이 프로젝트를 의뢰받게 됐다. 건축 주는 40년 가까이 소유했던 부지라고 이야기 하면서, 석재 미술관을 계획하기로 했다. 석재 회 사를 오랫동안 운영한 건축주는 미술관 내부에 돌을 배치해서 다양한 조형적 체험이 가능하길 원했고, 전적으로 모든 연출과 디자인은 내게 맡겼다. 2001년 과천 마이 알레 부지에 계획했던(이..
2022.12.11 -
진달래 미술관 2018.12
J. MUSEUM 대지의 경계를 따라서 선을 긋고 숲을 향해서 몇 개의 마당을 만들면서 공간이 만들어지기 시작 한다. 그림을 거는 전시실 매스를 3개 배치하고 그 사이는 투명한 유리로 처리하여 이동 동선을 해결했다. 그림을 설치하는 공간은 다양한 바닥레벨을 통해 층간의 경계를 유연하게 만들었으며, 카페 공간 역시 여러 개의 바닥 레벨을 만들면서 공간을 하늘과 숲으로 향하게 만들었다. 진달래 그림을 전시하는 공간으로서 숲속의 미술관이 되기를 기대하고 착공신고까지 했으나, 건축주의 사정으로 보류하게 됐다. 현재는 형식과 내용, 규모를 대폭 축소하여 갤러리 카페로 다 시 설계를 해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Space begins to be created by drawing a line along the boun..
2022.12.09 -
평창동 미술문화복합공간 2018.12
Art Complex, Pyeongchang-dong, seoul 평창동 미술문화복합공간은 일반, 예술가, 학술연구자, 예술매개활동가, 예술꿈나무 등이 크고 작은 공식·비공식의 배움, 연구, 전시활동을 통해 살아있는 아이디어를 개발하는 플랫폼이 될 수 있는 공간이다. 분산된 각각의 부지에 적합한 레벨과 규모에 요구되는 스페이스 프로그램을 수용하여 독립된 기능을 수행하고 각 동의 독립된 기능은 시각적, 상징적으로 응집되면서 상호 연속, 지역으로의 확장성을 지니도록 연결동선을 구축하여 미술문화공간의 커뮤니티를 조성하 도록 했다. 각 동 1층은 모두 필로티를 설치하여 주차광장 확보로 접근성과 함께 진입개방감과 공공광장의 성격을 지닌다. 특히 주동으로서의 가동에서 필로티 중간은 뒷편 자연환경과 연계되며, 나동 ..
2022.12.09 -
서울하수도과학관 2018.10
Seoul Sewerge Science Museum 서울하수도과학관 설계자 ┃ 오채준 KIRA ┃ (주)이레드림 건축사사무소 건축주 서울시 중랑물재생센터 감리자 한국종합기술 시공사 GS건설(주) 대지위치 서울특별시 성동구 자동차시장3길 64 주요용도 문화 및 집회시설(과학관) 대지면적 790,640.00㎡ 건축면적 43,801.45㎡ (증축: 2,842.09㎡) 연면적 78,106.53㎡ (증축: 2,365.03㎡) 건폐율 5.54% 용적률 7.46% 규모 지하 1층, 지상 2층 구조 철근콘크리트조 외부마감재 노출콘크리트, THK0.7 징크판넬 평잇기 내부마감재 THK30 화강석 버너구이 / 설계기간 2008. 08 ~ 2010. 12 공사기간 2010. 12 ~ 2018. 01 사진 이종윤 구조·기계설..
2022.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