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건축사사무소 플랜(4)
-
지산돌집 2023.12
Jisan stone house 지산돌집은 무등산 국립공원과 광주 도심의 경계면에 위치한다. 부지는 혼재된 가로경관과 협소한 삼각형이라는 제약조건을 지닌다. 클라이언트는 일상과 취미활동의 공존이 가능한 몇몇 부가기능과 함께 거주 영역의 안정감을 지킬 수 있도록 경계성이 공고한 집을 원했다. 이에 집의 구성은 1층 다이닝 키친 공간, 2~4층 주거 공간, 옥상 공간으로 구분되며 3개의 층위를 지니게 되었다. 느슨한 경계 스킵플로어를 통해 공간별 개방감을 확보하고 층간 이동의 부담을 줄였다. 또한, 안방과 화장실을 제외한 나머지 실은 유리 개구부를 두거나 최소한으로만 구획하여 느슨한 경계를 형성함으로써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하다. 유연한 개입 협소한 여건으로 인해 계단을 중심으로 하는 콤팩트한 공간 분할과 병..
2023.12.30 -
나주 스테이케이션 202108
Naju Staycation 부지는 전라남도 나주혁신도시에 위치한다. 건축주는 이곳에서 도시 생활자들이 다양한 문화체험을 매개로 교감하고, 잠시 머무르며 쉴 수 있는 장소를 만들고자 하였다. 이 건축물(스테이케이션)의 첫인상은 언뜻 닫혀있는 듯 보이며, 그 흔한 간판 하나도 찾기 힘들어서 외관만 보고서는 쉽게 그 용도를 가늠할 수 없을 정도이다. 1층 상업공간과 2층, 3층 주거공간을 포함한 이 건축물은 주변의 건축물들이 답습하던 관습적 표현방식에 거리를 두고 독자적인 시그니처로 고고한 인상을 풍기며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낸다. 단일 재료의 외벽 마감, 제어된 창호 계획, 엄격한 면 분할을 통해 만들어진 외관 이미지는 주거공간과 상업공간을 구분 짓지 않고 일체화된 형태미를 보여준다. 요란한 가로경관에는 절..
2023.02.08 -
일곡동 단독주택 2021.8
Ilgok-dong House 외마당과 안마당 부지는 북향을 주 출입구로 두고 동측이 1.2미터가량 낮은 지형에 기존 단층 주택이 자리 잡고 있었다. 건폐율 40% 미만 지역에서 건축주가 요구하는 규모를 수용하기 위해 3개 층이 필요했으나, 3층의 높은 집보다는 다소 낮고 수평적인 비례의 집을 만들고자 했다. 때문에, 초기에 지하층을 가진 2층 규모로 검토했지만, 1.2미터의 낮은 지형차에서 지하 상부가 건폐율에 산정되는 문제가 있어 최종적으로 3층 집으로 결정하였다. 다만, 상부를 경쾌하게 처리하고 도로변에서 매스를 분절하는 방식으로 시각적 부담과 높이감을 상쇄시키기로 하였다. 건축주의 성향을 고려하여 부지 내부에서도 어느 정도 사회적 마주침이 가능한 공간을 두기 위하여 각각의 성격이 다른 두 개의 마..
2023.02.07 -
담빛예술창고 2020.9
Dambit Arts Warehouse 1970년대에 축조돼 양곡창고로 사용되던 건축물은 2004년 쌀 추곡수매제도가 폐지됨에 따라 그 기능을 상실한 후 10여 년이 지난 시점에 완전히 비워지고, 잊힌 장소로 존재하고 있었다. 반면에 주변 지역은 많은 관광객들이 찾아오는 관방제림, 죽녹원, 체육 공간, 대학을 비롯해 지역적 특색이 가득한 중소 상업공간들이 즐비해 있다. 교외의 목가적인 풍경과 도시적 세련미를 두루 누릴 수 있는 장소다. 꽤 오래된 건물인 남송창고는 시간의 때가 묻은 낡은 벽돌벽, 목재트러스 지붕, 관리 되지 않은 주변의 자연환경으로 묵은 공간 특유의 정취를 뿜어냈다. 현재 리모델링된 모습은 오래된 것과 새로운 것이 자연스레 어울리는 공간으로 변모해 많은 관광객들이 방문하고 있다. 장소와 ..
2023.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