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연구시설(18)
-
순천시 신대도서관 2025.1
Sindae Library, Suncheon City 사업부지는 인근의 산업단지 발달과 신대지구 개발에 의해 정주환경이 조성되고 인구의 유입이 이뤄졌다. 신대도서관은 지역 일대를 아우르는 거점도서관으로, 생태문화도시 순천에 걸맞은 지역성을 표현하고 지식, 정보, 문화를 담는 미래지향적 문화공간으로 거듭나고자 했다. 신대도서관은 ‘자연에 책을 담는 도서관’을 키워드로, 단정한 책의 경계를 형상화하고 주변으로 둘러싸인 부드러운 자연과 모두에게 열려있는 옥상정원을 통해 책과 자연, 사람을 아우르는 공간을 만들었다. 도서관에 들어서는 기능은 자료이용, 문화교육, 관리, 공용공간으로 구분된다. 각각의 공간은 주변 맥락과 지형에 대응하여 계획되고 입체적인 공간감을 만들어낸다. 또한 도서관 내·외부를 넘나드는 동..
2025.01.31 -
신동초등학교 2025.1
Shindong Elementary School 신동초등학교는 두 개의 공원과 지구 내 마을을 잇는 공공보행로가 생활 중심을 이루고 있는 우두지구에 새롭게 건립됐다. 공공보행로는 공동주택단지 출입구와 연결되어 학생들의 주요 통학로로 사용된다. 신동초등학교의 남측에 위치한 우두공원은 마을 주민들이 모여드는 커뮤니티 공간으로, 이러한 공원의 특성과 이용자의 접근성을 고려해, 새로운 신동초등학교를 제안했다. 우두공원의 자연을 교실 안으로 확장하여 아이들과 함께 호흡할 수 있는 계단형 마루 공간인 ‘에듀파크’를 조성했다. 에듀파크는 ‘학교 안 공원’으로서 아이들의 새로운 놀이 공간이자 쉼터 역할을 한다. 2층에는 ‘우두마루’라는 마을 플랫폼을 배치해, 학생과 지역 주민들에게 공원 속 도서관, 마을 식당, 동..
2025.01.31 -
용남고등학교 2024.12
Yongnam High School 떠다니는 학교, 용남고등학교 기존 복도형 학교 학생들의 움직임은 수직적이며, 행동반경 또한 예측 가능하고 제한적이다. 공간의 제한은 행동의 제한과 동시에 사고의 제한을 가져온다. 학교건축은 기하학적이고 불규칙적이며, 예상할 수 없고 직접 학생들의 경험을 유도하는 건축물이어야 한다. 교실들을 모두 공중에 띄워 테라스 형태로 펼쳐서, 교육 공간을 수직 상하 체계가 아닌 수평 체계로 만들어 학년, 나이 구별 없는 공간으로 만들고, 그 아래에 고교학점제에 따른 홈베이스의 역할을 담당할 오픈형 도서관을 두었다. 공중교실들과 도서관의 입체적, 유기적 3차원적 연결은 학생들의 호기심과 창의성을 최대한 이끌어낼 것이다. 용남고등학교, ‘떠있는 학교’는 공간을 예측할 수 없고 ..
2024.12.31 -
홍익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유치원 2024.5
Expansion of Kindergarten Affiliated with Hongik University 홍익대학교사범대학 부속유치원은 경성 중·고등학교, 그리고 홍익디자인 고등학교와 캠퍼스를 공유하고 있다. 기존 건축물과 조화롭고 협소한 대지를 고려해 효율적인 직사각형의 매스를 계획했다. 신축 건축물을 통해 캠퍼스에 활기를 더해주고 유치원 학생들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공간구현을 위해 동그라미 형태를 평면, 외관, 조명, 사이니지 등 전체 설계에 다양하게 적용하여 계획했다. 동그라미 유치원, 배움이 놀이되고, 놀이가 배움이 된다 유치원 교육 연령층인 3~5세 어린이는 형태, 색상 및 공간의 속성에 대한 감수성이 높은 만큼, 설계도 이러한 요소들로 상상력과 창조력을 성장시킬 수 있는 물리적 환경을..
2024.05.31 -
중화2동 복합청사 _ 2022. 4
Junghwa 2-dong Complex building 배치계획 대지는 중화1재정비촉진구역 계획에 따른 향후 조성 예정인 공원과 광장의 중간에 위치한다. 본 배치계획의 주안점은 공원 및 광장과 연계된 주민생활형 공간을 만드는 것이다. 본 대지는 중랑역로와 봉화산로가 만나는 모서리에 위치하는데, 대지의 모서리를 비움으로써 기존의 작은 광장을 크게 확대하여 주민들의 각종 행사와 활동들을 가능하게 했다. 또한 광장에 면하여 플라자 스텝(PLAZA STEP)을 계획함으로써 각종 행사가 원활하도록 하였으며, 도로에 면한 건축선후퇴공간에는 보행로와 보행자를 위한 편의시설을 계획하여 주변 환경과의 연결이 매끄럽도록 하였다. 공원에 면하여 부출입구를 계획하여 건물로의 접근성을 높였으며, 파크 스텝(PARK STEP)..
2023.02.20 -
평촌도서관 _ 2022. 5
PyeongChon Library 평촌일상 / 평촌일상에 특별함을 더하다 평촌도서관은 안양의 기존 10개 시립도서관 중 지역중앙관으로 거듭남으로써, 현대인의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수용하는 열린 도서관을 추구한다. 공공도서관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정보 제공에 중점을 두던 과거의 역할을 넘어 전시·문화강좌·여가활동 등 복합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시설로서, 일상 속에 문화가 있는 생활 밀착형 공간을 제안했다. 도서관의 1층은 시민들이 모여서 쉬고, 이야기를 나누고, 생각을 공유하며 교육과 창작활동을 하는 시민중심공간을 만들고, 도서관의 2층은 전 세대가 시간을 공유하며 책을 통해 과거를 배우고, 현재를 경험하며, 미래를 준비하는 영감의 공간으로 조성하였다. 인접한 평촌공원과 열린 조망 환경을 적극적으로 활용하..
2023.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