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숙(4)
-
양지마을 푸른환경도서관 2021.11
Green-Environment-Library of Yangji Village 마을공동체 활성화의 매개체 오래된 저층주거지인 강북구 양지마을은 2015년 주거환경개선사업에 선정되어 현재 주민공동체 활동과 마을재생이 추진되고 있는 곳이다. 사업의 일환으로 2017년 양지마을사랑채를 신축하여 1층에는 아이들을 위한 푸른환경도서관, 2층은 다목적 공간, 지하는 마을상점으로 사용하였다. 하지만 협소한 공간 문제로 서울시가 바로 옆 인접 단독주택 부지를 매입하여 지역프로그램을 담아내는 별동 설립을 기획하였고, 주민들은 협의 과정을 통해 푸른환경도서관을 별동에 배치하기로 하였다. 그리고 새롭게 마련된 별동의 2층과 3층에는 창의적인 디자인과 3D프린팅이 가능한 메이커스페이스를 마련했다. ‘푸른환경도서관’은 그 이름..
2023.02.13 -
3.6.9 성곽마을 예술공방 2019.3
3.6.9 Fortress village Art Studio 마을 속 창작 공간 369마을은 인근에 공연 공간이 많은 대학로가 있고 성북천과 성곽주변으로 다양한 축제가 열리는 예술과 문화가 있는 곳이다. 특히 한성대 예술대학 학생 들과 지역 예술인들이 주민들과 협력하여 여러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는 동네 다. 마을 재생 활동이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문화예술 콘텐츠를 이용 하여 특색 있는 성곽마을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예술공방은 60여 년 된 낡은 주택을 리모델링해 만들었는데, 예술인들이 자기 만의 고유한 작품 활동을 할 수 있는 작업장으로 쓰일 예정이다. 이곳에서는 예술가들이 고즈넉한 환경 속에서 일상생활을 하며 창작활동을 펼칠 수 있도 록 작업공간과 함께 숙식공간이 마련됐다. 그리고 예술공방은 작..
2022.12.16 -
3.6.9 성곽마을 사랑방 2019.3
3.6.9 Hanyangdoseong Neighborhood Village 369성곽마을 터 이야기 삼선동1가 369성곽마을은 낙산자락 한양도성에 인접한 곳으로 북사면에 형성 된 구릉지형 주거 밀집지이다. 접근성이 좋지 않고 도시기반시설이 열악한 데다 노후 불량주택이 많아서 2010년 전면 철거 후 새로운 주거지로 변하는 재개발 정비구역으로 지정됐다. 그러나 2013년 주민동의에 의해 재개발 대신 마을의 정체성을 유지하며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도시재생 사업방식으로 전환됐다. 여러 차례 계획대지를 방문하면서 이 마을의 정체성에 대해 고민을 많이 했다. 개량한옥에서부터 최근에 지어진 다세대주거까지 다양한 주거유형이 혼재되 어 일관된 맥락 없이 오히려 복잡해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다르게 보면 급격 한 도시화 ..
2022.12.15 -
집_에뚜왈 2019.2
Zip_Etoile 집_에뚜왈 (Zip_Etoile) : 은은한 별과 같은 집 SITE 계획 대상지는 제주 성산읍 수산리 마을 중심에서 조금 떨어진 한적한 농지였 다. 제주 농지들은 도심과는 달리 땅의 면적이 크기 때문에, 필지의 일부를 분 할하여 농지전용 인허가 절차를 받았다. 전용된 대지를 제외한 과수원은 건축 주가 직접 감귤을 경작하는 곳으로 주택과 연계된 넓은 앞마당이 될 것이다. 따뜻한 모던 계획 초기 건축주는 ‘따뜻하면서도 모던한’ 주택을 만들고자 했다. 건축주는 디 자인에 관심이 많아 자연에 어울리면서도 일반적인 전원주택의 이미지와는 차 별화 되기를 원했고, 특히 단순하면서도 세련된 이미지를 요구했다. 몇 차례의 설계 상담을 거치면서 건축주가 얘기하는 ‘따뜻함’은 목재, 벽돌, 텍 스 등 친..
2022.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