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유자시설(5)
-
아이행복센터 2024.5
I happy center 마을의 일상적인 풍경 이곳은 단독주택이 골목길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마을이다. 마을의 중심에 위치한 어린이공원은 주민들의 소통과 놀이공간으로 오랫동안 자리했다. 어린이공원의 의미는 작지 않다. 어린이만을 위한 공간을 넘어서 어린이와 어르신들이 마주하는 만남의 공간이며, 지역 주민들의 운동공간이자 서로의 소식을 전하는 소통의 공간이다. 어린이 공원과 바로 인접한 대지는 어린이들을 위한 공간을 넘어서는, 의미를 갖는 공간이어야 한다. 주민들의 일상을 담는 공간이기도 하면서, 아이들이 즐겁게 일상을 이어나가는 공공의 장소가 필요하다. 1. 도시의 맥락과 흐름에 대응 건물의 형태는 도시의 질서를 수용하면서 변화가 일어난다. 대지의 형상을 닮은 단일 형태에서 층층이 생기는 건축적 ..
2024.05.31 -
세빛자매원 2022.9
Sebit-Sisterhood Welfare Centre 세빛자매원은 개신교 은퇴여선교사의 노후 숙소다. 젊은 날 하나님께 서약하고 멀리 물설고 낯선 해외 선교지인 인도, 인도네시아, 아프리카, 일본 등의 나라에서 평생을 헌신하고, 막상 노후에는 가족과도 멀어져 어디 가서 마땅히 묵을 데가 없는 사실에 마음 아파하던 장신대 주선애 교수의 기부금이 불씨가 되어 전국 개신교계의 헌금으로 마련된 숙소다. 마침 6.25 당시 이 마을에서 순교한 황덕주 목사를 기리기 위해 그 후손이 대지를 헌납하였다. 기능은 일인용 숙소와 식당 그리고 40명 정도 수용 가능한 작은 채플로 구성되어 있다. 당초 중정은 정원으로 조성할까 하다가 연로한 노인들에게 공연한 일거리가 될까 우려하여 연못으로 변경하였다. 연못 한 쪽 구석에..
2023.02.23 -
성동아이사랑복합문화센터 2022.1
Lovely Children Cultural Complex 성동아이사랑복합문화센터는 주변 지역의 오브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어린이의 꿈과 창의력을 키우는 ‘어린이 복합 문화 센터’로서의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가파르고 좁은 경사지에 세워지는 성동아이사랑복합문화센터는 ‘MOM 존’과 ‘KIDS 존’으로 조닝이 나누어지고 낮은 레벨에서부터 높은 레벨까지 앞마당, 안마당, 뒷마당이 건축물과 교대로 반복되는 형식을 갖춤으로써, 내·외부공간의 조화를 이루고 있다. 한편 이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데 있어 세 가지의 중대한 문제가 있었는데, 첫째는 기존 후면의 도로였던 곳이 대지로 변경되고 대지의 일부는 다시 도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도로의 경사도를 17퍼센트 이하로 조정하는 것이었다. 둘째는 굴토 작업 ..
2023.02.15 -
서대문구 육아복합지원센터 / 가재울 어린이집 2021.11
GAJAEUL Kindergarten 이 세상에 새로운 생명의 탄생은 축복이다. 따라서, 기성세대는 새롭게 태어난 생명에게는 무엇이든 다 해주고 싶은 마음이 생겨난다. ‘새로이 세상을 경험하는 영·유아기의 아이들에게 어떤 공간이 가장 좋을 것인가’에 대한 질문이 이 건축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큰 주제가 된 것은 당연한 일이다. 인간은 오랜 수렵생활과 농경생활을 통하여 자연과 친숙한 존재로 DNA가 발달해 왔다. 도시생활에 적응해 살아가는 현대인에게도 내재된 근원으로서, 자연에 대한 경험은 필수적 생활 요소가 된다. 새로이 태어난 영·유아기 어린이들에게 가장 중요한 신체 경험인 자연과의 상호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 이 프로젝트의 근원적 개념이다. 다행히 사이트는 한 면을 도시가로에 접하고 있고, 반대측 ..
2023.02.13 -
화성시 시립 향남공원어린이집 2020.5
Hwaseong Hyangnam-Park Daycare Center 대지는 화성시 향남2지구 택지개발지구의 공원에 위치하고 있으며, 어린이집을 건축하기에 비교적 여유로운 큰 땅이었다. 바로 근처에 아름다운 자연과 옥외놀이터가 있기 때문에 내부는 온전히 교사와 아이들의 생활공간으로 인식했다. 1층의 공용홀은 어린이집의 중심이며 모두의 공간이다. 2층과 시각적·공간적으로 연결되고, 동선의 중앙에 있어서 서로 만나고 소통을 유발하며, 동시에 강당으로 확장된다. 2층의 조망데크는 공원으로 열린 놀이공간이며, 놀이터로 연결되는 계단이 있어, 어린이집과 외부공간의 매개공간이 된다. 어린이집의 내부를 구성하는데 있어 건축적으로 집중한 것은 공간의 켜를 만드는 것이었다. 시창을 통해 보육실에서 옆 보육실 내부와 상상의..
2023.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