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9)
-
에멜무지로 2019.2
Emelmujiro 용촌동 정방마을의 고즈넉하고 정감어린 마을 한 귀퉁이에 세어하우스 ‘에멜 무지로’가 자리잡았다. 실험과 모험으로 시작된 작은 일탈이 시초였다. 첫삽을 뜨고 완공까지 모든 디테일한 부분을 건축주와 상의하며 작은 공간까지 내용 있는 건물을 만들고자 했다. 1층에 거실과 식당을 열린공간으로 배치하여 소규모 갤러리나 하우스콘서트 등 함께 삶을 나누는 공간을 마련하고, 2층은 각자의 삶을 돌아보며 잠시 머무 는 개인적인 공간을 만들어 필요로 하는 이의 편안한 쉼터를 만들고자 했다. 공간의 효율성과 함께 내부 단차, 복층 공간, 외부 테라스 등을 두어 작지만 다 양한 표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했다. 세로로 긴 창문으로 들어오는 한줄기 빛을 보노라면 누군가에게 들릴지도 모를 기도 한 줌을 올..
2022.12.14 -
천연기념물센터 전시관 리노베이션 2018.10
National Heritage Center Renovation 대전 한밭수목원 인근에 위치한 천연기념물센터는 자연유산에 대한 연구결과물인 공룡알, 발자국 등 의 화석과 박제, 존도리소나무 등의 식물표본 등이 전시된 곳으로, 전문연구자와 청소년의 학습에 도움 을 주고 있으며, 체험 검색키오스크, 영상실 등을 통하여 독창적인 체험학습기회를 제공하는 시설이다. 2007년에 전시관이 개관되고, 2015년 연구동이 신축되면서 일부 기능이 이전됐다. 기존 전시관 중 사무 및 식당, 로비 부분의 구조체를 일부 철거하고, 향후 늘어날 전시에 유연하게 대처 할 수 있게 높이와 폭이 다른 두개의 입방체와 그 사이를 연결하는 라운지 공간을 구성했다. 리노베이션 프로젝트를 통해 기존 1개층 내에서 이루어지는 단순하고 확장성..
2022.12.08 -
공원을 품은 집 2018.06
House with a garden 건축주는 빛이 잘드는 거실이 있는 주택을 원했다. 3면에는 인접한 주택들과 동쪽으로는 도로 건녀편에 근린공원이 있는 대지로, 주변 환경과 잘 어울리면서 거주자의 프라이버시를 고려해 야 했다. 동쪽의 근린공원 쪽으로 거실과 주방이 있는 공용공간과 안방공간으로 구성된 별채 사이로 중 정형의 아늑한 마당을 가진 배치를 계획했다. 외장 재료는 유지관리가 편하며 건물의 형태에 잘 어울리도록 청고벽돌과 백고벽돌을 이용했 다. 본채는 거실과 주방, 2층의 방이 있으며, 별채는 부부가 사용하는 안방과 드레스룸으로 이 루어져 있다. 모든 실에 큰 창문을 배치해 공원의 사계절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남쪽에 위치 한 별채는 단층으로 낮추어 중정에 빛이 충분히 들어올 수 있도록 고려했다..
2022.12.02 -
원신흥동 근린생활시설 2018.04
Wonsinheung-dong Bldg 본 건물은 건축주가 본인 회사의 사옥을 입주 시키고 커피숍을 직접 운영할 생각을 가지고 시작한 프로젝트다. 커피숍 브랜드는 이미 결정이 돼 있었고, 건축주는 값비싼 땅 이지만 과감히 지상의 주차장을 최대한 확보해 주길 주문했다. 층별 조닝은 1, 2층을 한 공간으로 오픈하여 커피숍으로 쓰게 하였고, 3층은 임대 공간, 4층은 사옥으로 구성했다. 수평적으로는 코어를 북측에 길게 배치하여 불리한 외부조건을 차단하고 남측 전망을 확보했다. 자칫 단조로울 수 있는 볼륨을 여러 형태의 발코니를 두어 변화가 있게 했으며, 동측 길 건너 소나무 조경을 메인 뷰로 정하고 적극 개방시켰다. 입면의 재료는 세월의 때가 자연스럽게 묻을 수 있는 송판노출콘크리트, 마천석 버너구이, 고벽..
2022.12.01 -
상대동 협소주택, 더테라스 2018.04
The Terrace 어느 날 단란한 가족이 사무소를 찾았다. 아이들에게 유년의 추억을 선물해주고 싶은 마음에 아파트 생활을 접고 집짓기를 결심했다는 건축주부부는 1층 카페가 있는 예쁜 주택을 원한다고 했다. 이미 인접대지에 꽤 잘 된다는 두 개의 카페가 있었다. 연달아 카페가 입점하면 도심과는 또 다른 이색적인 카페거리가 될 것 같았다. 자연녹지지역에 속한 자그마한 대지는 대로변에 아주 길게 접해 있고, 도로쪽으로 가파른 내리막경사를 갖는 사다리꼴이다. 대지 뒤로 소요폭 미달의 도로가 접해있어 도로확폭 공제를 하고 나니 더 좁아졌다. 대지면적은 190제곱미터 남짓, 여기에 지을 수 있는 건축면적은 36제곱, 나머지는 연면적 면적이였다. 대지의 대부분을 주차장과 주택마당을 제외하고 용적율에 포함되지 않는..
2022.12.01 -
화암동 주택 2018.04
Hwaamdong House 화암동 232 이 대지는 북측과 서측에 이웃 주택이 자리하고 남동측에 작은 도로를 맞댄 이형적 다각형 컨텍스트를 지니고 있다. 대지의 독특한 형태를 활용한 ‘ㄱ’자 형태의 매스와 그것에 안긴 형태의 정원을 배치하면서 거실과 안방에서의 조망을 확보하였다. 서측에는 안방과 방, 드레스룸, 욕실 등 정적인 공간, 동측에는 거실과 주방과 같은 동적인 공간을 배치하고 현관과 계단을 통해 각각의 영역을 분리시키고 각 방의 프라이버시를 확보하면서 거실과 주방이 함께 최대한정원을 바라볼 수 있도록 했다. 거실과 2층 가족실, 주방 상부의 다락의 상호 공간들은 거실이 소통의 매개체이며 오히려 주공간은 2층의 가족실과 특이한 다락을 위하여 포진한다. 아울러 다락이라기 보다 들려진(띄워진) 레벨..
2022.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