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평군(10)
-
^^하하집 2021.5
^^hahaJip 매스는 서로 기댄 듯 위로하는, 혹은 고스란히 웃는 모습을 상징하는 ^^ 이모티콘을 모티브로 다소 직관적으로 시작되었다. ‘시옷(ㅅ)’자 두 개가 엇갈려 겹쳐진 형태인 ^^하하집은 크게 두 개의 공간으로 나뉜다. 동측면의 긴 ‘ㅅ’자 공간은 거실, 주방/식당, 서재 등 가족이 모일 수 있는 공적공간이고, 서측면의 긴 ‘ㅅ’자 공간은 사적인 침실이 자리한다. 엇갈린 형태는 단순히 공간만 구분하는 것이 아니다. 그 겹쳐진 면에는 층을 연결하는 계단과 서로의 공간을 넘나드는 중첩된 ‘창’이 있다. ‘창’은 서로 다른 공간과 중첩되어 2개, 4개 혹은 6개의 공간을 다른 깊이로 투영한다. 이는 사적인 영역은 보호하되 가족이 서로 대화할 수 있도록 1, 2층의 오픈된 공간을 통해 소통이 가능하도..
2023.02.03 -
오유당 2021.1
Oh U House 吾唯堂_행복한 집짓기_Neuron_Architecture 이런저런 여러 매체로부터 사람의 행복을 위한 이론과 행동 강령이 수두룩하게 쏟아져 나오면서 인간은 반드시 행복해야 한다며 모든 사람을 설득하고 있다. 그와 반대로 또한 과연 행복한 삶을 위한 것만이 인생의 전부일까 하는 의문을 다루는 새로운 이론까지도 등장한 것이 현대 사회다. 그러한 행복이란 것을 다른 사람보다 잘 살고 부유한 것, 타인보다 더 많이 갖고 있다는 것에 대한 비교우위를 느끼면서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지금 우리의 현실 세계에 많이 있다. 그러기 위하여 많은 돈을 버는 것이 곧 행복으로 직결된다고 믿는 사람이 많은 것이 우리의 사회이다. 그러나 건축에서는 특별한 공간에 사람이 있을 때 행복을 느낀다는 것이 뇌에..
2023.01.30 -
방하우스 2020.5
Bang Haus 이 프로젝트는 한 가족의 세컨드하우스로 계획됐다. TOPOLOGY 높고 넓은 대지와 강을 향한 시각적인 축, 그리고 일조의 확보 등이 건축 디자인의 일차적인 지정학적 기준으로 작용했다. 각 공간은 다양한 레벨·각도의 대지 풍경, 강의 풍경을 내부로 끌어드리고 있다. 시각축과 일조축이 다른 대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천창과 고측창등을 곳곳에 두어 빛의 혜택을 종일 누릴 수 있도록 했다. 대지의 주된 풍경은 강이 있는 북쪽인 까닭에 일조와 배치되는 부분이 있다. 때문에 상충되는 두 가지 큰 조건을 대지안으로 받아들이는 공간을 구축하기 위해 고민했다. 논밭으로 구성된 넓은 수평선의 주변대지들과 함께 본디 오랜 시간 자리잡은 건물인 것처럼 건물의 형태를 매만져갔다. TYPOLOGY 3대의 가..
2023.01.13 -
송경제(松經齊) 2020.4
SONGKYEONGJE 오랫동안 서울 아파트에 거주한 건축주는 정겨운 고향에서 삶의 여유와 안정을 찾고자 하는 작은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생각은 실천으로 이어져 건물을 신축해 전원의 삶을 계획하는 데 이르게 됐다. 대지 주변의 소나무와 어울리는 쾌적하면서도 소박하고 정감 있는 작은 주택을 원하는 건축주의 요구를 적극 반영해, 기존 주변 환경을 해치지 않는 자연 속 건축물이 될 수 있도록 여러 대안을 검토했다. 경사진 언덕에 위치한 지형과 기존 수목들 간의 관계 등 여러 조건들을 분석해 건물을 배치했다. 건물명은 주변 소나무와 일체된 건물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마음에서 ‘송경제’로 지었다. various view 대지의 위치는 다양한 시점에서 수려한 자연환경을 볼 수 있는, 경관이 풍부하다는 장점을 지니..
2023.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