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시설(24)
-
군자동 복합청사 2022.6
Gunja-dong office comaplex 대상지는 저층의 주거건물이 군집을 이루고 있는 주거 밀집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새롭게 조성되는 군자동 복합청사는 기존 청사가 가지는 경직된 이미지와 달리, 마을과 조화되고 지역민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열린 청사라는 개념으로 계획하였다. 프로그램의 성격과 법규적인 제약, 그리고 도로에서의 접근성을 고려하여 매스의 볼륨을 적절하게 분절하였으며, 모든 층에 주민들을 위한 프로그램이 있는 공간을 구성하였다. 청사라는 건축물의 상징성과 주변과의 조화를 고려하여 벽돌을 주요 외장재료로 사용하였다. 또한, 단순한 매스 구성과 풍부한 외부 녹화 공간 계획을 통해, 건물 사용자들의 편의와 외부와의 시각적·공간적 연계를 고려하였다. 지하층은 이형의 땅 모양이지만, 가용할..
2023.02.20 -
중화2동 복합청사 _ 2022. 4
Junghwa 2-dong Complex building 배치계획 대지는 중화1재정비촉진구역 계획에 따른 향후 조성 예정인 공원과 광장의 중간에 위치한다. 본 배치계획의 주안점은 공원 및 광장과 연계된 주민생활형 공간을 만드는 것이다. 본 대지는 중랑역로와 봉화산로가 만나는 모서리에 위치하는데, 대지의 모서리를 비움으로써 기존의 작은 광장을 크게 확대하여 주민들의 각종 행사와 활동들을 가능하게 했다. 또한 광장에 면하여 플라자 스텝(PLAZA STEP)을 계획함으로써 각종 행사가 원활하도록 하였으며, 도로에 면한 건축선후퇴공간에는 보행로와 보행자를 위한 편의시설을 계획하여 주변 환경과의 연결이 매끄럽도록 하였다. 공원에 면하여 부출입구를 계획하여 건물로의 접근성을 높였으며, 파크 스텝(PARK STEP)..
2023.02.20 -
성수동 정암빌딩 2022.4
Seong-su Jeong-Am Building 성수역에서 북측으로 연결된 아차산로7길이 끝나 광나루로를 만나는 모서리 땅에 위치한 대지는 남측에 성수동의 전형적인 소규모 블록 컨텍스트를 마주하고 북측으로는 송정제방공원을 낀, 중랑천을 넘어 답십리까지 열린 오픈뷰가 인상적인 사이트이다. 정방형에 가까운 비례의 정연한 매스 입면은 업무시설로서 필수적인 정면성을 확보하며 전면도로에 대응하기 위해 한 개 층을 띠워 부유하도록 계획되었고, 부분적으로 분절되어 셋백된 상층부의 테라스들은 북측으로 열린 오픈뷰를 끌어들여 상층부 외부공간으로서 기능하며 입면에 생기를 부여하도록 계획되었다. 건물의 매스는 크고 작은 두 매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데 남측에 위치한 작은 매스는 계단실, 화장실, 엘리베이터를 하나로 묶은 편심..
2023.02.18 -
국가재난대응시설 _ 2022. 2
National Disaster Preparedness Facility 불자동차 없는 119 소방서 세종시 국가재난대응시설은 119 소방서와 그 기능과 목적이 유사하지만, 불자동차나 응급차량 대신 작전지휘 및 긴급구조 통제활동을 위한 특수차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정 지역이 아닌 전국 현장을 지원하는 시설이다. 주 기능은 작전지휘 및 긴급구조를 위한 신속출동 영역과 긴급구조통제단 영역, 그리고 화재 조사/분석 및 정보통신 영역, 출동대기 및 부대시설 영역으로 구성된다. 일상 속으로 들어간 비 일상의 공간 시설의 기능이 지역주민과 함께 하는 생활SOC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대지의 위치가 단독주택지와 인접하고, 주민 산책로 변에 있다. 그뿐만 아니라 주변 고층 아파트 군에 사방이 시각적으로 노출되어 있어서..
2023.02.18 -
레시오빌딩 트리폴리 2022.1
Ratio Building Tri_poly 새롭게 등장한 부동산 소비 경향 중에 영끌세대라는 말이 있다. 부동산을 소비하는 요즘 풍조를 일컫는 신조어이다. 영끌세대는 미래에 대한 두려움이 만들어낸 이 시대의 불안감의 표현이다. 비단 어제오늘의 이야기는 아니지만, 영혼까지 끌어 쓴다는 신조어가 생길 만큼 상황은 심각하고, 문제의 세대 범위는 넓어졌다. 삶의 모습을 담는 ‘건축공간’은 이러한 시대에 오로지 ‘부동산’으로만 인식된다. 기계적 계량으로 평가되는 부동산의 개념에서, 진정한 건축공간은 자리할 곳이 없다. 이러한 삶의 모습은 도시공간에 그대로 이식되어 차가운 도시 풍경을 만들고 있다. 최소한의 여유조차 허락하지 않는 삶의 결과인 것이다. 문을 닫고 타인의 간섭에 벽을 세운 우리의 모습이 그대로 건축화..
2023.02.15 -
지타워 2021.5
G-TOWER 사람과 자연, 문화가 자유롭게 소통하는 G-Tower 사업지는 1960년대 구로공단(現 서울디지털국가산업단지) 입주기업에 공업용수를 공급하는 옛 정수장이다. 2005년 공업용수 공급 중단으로 폐쇄되었다. 이후 변모하고 있는 서울디지털산업단지 환경에 걸맞은 시대적 요구에 따라 구조고도화사업 대상 부지로 선정, G밸리 舊 정수장 부지개발 민간사업자 제안 공고로 개발계획이 이루어졌다. G-TOWER는 기존 사업지(舊 정수장 부지)로 인해 단절되어 있던 보행동선을 남북/동서 간 내· 외부연결통로 계획으로 지역 간 소통의 공간을 조성하고자 하였으며, 지상 오픈스페이스 최대 확보를 통한 풍부한 녹지공간계획으로 지역주민에게 휴식과 문화의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대지 접근성을 극대화하는 디자인에 중점을 두..
2023.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