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 건축사(1542)
-
진주 촉석루 2020.2
Jinju Chokseokru (Pavilion) 진주 촉석루를 찾았다. 여행 온 단체 학생들의 재잘거리는 소리가 즐겁다. 루마루에 올라 자리를 잡았다. 난간 너머로 진주 남강이 보인다. 강낭콩 꽃보다 푸르다는 역설된 강조가 생각난다. 이곳에 오면서 촉석문 앞에 있는 변영로의 논개 시비를 보았다. 남강의 물결은 푸르고 게야무라 로구스케를 안고 뛰어내린 논개의 거룩한 분노는 종교보다도 깊고, 애국을 향한 정열은 사랑보다도 강하고, 그 마음은 양귀비 꽃보다 더 붉다. 촉석루의 기둥 사이로 논개의 영정과 위패를 모신 사당인 의기사를 바라본다. 나라를 위한 일념으로 처절한 전투를 벌였던 김시민, 곽재우, 김천일, 최경회의 이름이 장소 곳곳에 흔적으로 남아있는 듯하다. 글. 이관직 Lee, Kwanjick (주)..
2023.01.10 -
01 한국 출신 유럽 건축사의 눈으로 본 건축 법규와 제도 2020.2
건축담론 Architecture Discussion 편집국장 註 이번 호의 건축담론은 우리 건축 환경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분명 우리나라 건축 환경은 다른 나라와 출발이 다른 듯합니다. 좋은 건축(?)에 대한 암묵적 합의나 공동의 인식이 없습니다. 감정의 언어 같은 ‘좋은’ 건축은 ‘경제적으로 값싸게 절약한 것’, ‘일말의 불편함이 없는 것’, ‘십년 동안 청소 안 해도 변하지 않는 것’, ‘모든 사람이 좋다고 하는 것’, ‘백년 가도 무너지지 않는 튼튼한 것’, 통상 이런 건축을 ‘좋은’ 범주에 넣습니다. 하지만, 값싸게 짓는 것은 엉성하고, 모든 사람의 기호에 맞추는 건 불가능하며, 청소와 관리 없이는 십 년도 못 가는 걸 모릅니다. 그런 건 건축을 관리하고, 시공하는 과정의 이야기입니다. 미..
2023.01.10 -
02 건축회사(Architecture Firm)로서의 지속가능성 2020.2
건축담론 Architecture Discussion 편집국장 註 이번 호의 건축담론은 우리 건축 환경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분명 우리나라 건축 환경은 다른 나라와 출발이 다른 듯합니다. 좋은 건축(?)에 대한 암묵적 합의나 공동의 인식이 없습니다. 감정의 언어 같은 ‘좋은’ 건축은 ‘경제적으로 값싸게 절약한 것’, ‘일말의 불편함이 없는 것’, ‘십년 동안 청소 안 해도 변하지 않는 것’, ‘모든 사람이 좋다고 하는 것’, ‘백년 가도 무너지지 않는 튼튼한 것’, 통상 이런 건축을 ‘좋은’ 범주에 넣습니다. 하지만, 값싸게 짓는 것은 엉성하고, 모든 사람의 기호에 맞추는 건 불가능하며, 청소와 관리 없이는 십 년도 못 가는 걸 모릅니다. 그런 건 건축을 관리하고, 시공하는 과정의 이야기입니다. 미..
2023.01.10 -
[건축비평] 인천광역시건축사회관온고지신 ; 시간을 이어가는 건축 2020.2
Architecture Criticism Incheon architect hall 2019 Wen Gu Zhi Xin ; Architecture that continues from the past 대학시절 교양국어를 들었다. 국어라지만 중국고전에서 발췌한 문장이 가득한 한문강독에 가까운 수준의 강의였다. 수강생 200여 명이 대형 강의실에서 듣는 강의라 주목받는 경우도 적어 부담없이 들을 수 있었다. 가끔 일어나는 당황스런 일은 한문을 읽고 그 뜻을 해석하라고 지적받을 때이다. 수강을 준비하면서 모르는 한자를 찾아 읽었고, 지적받으면 직역에 가까운 수준으로 답했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나이가 드니 그때 기계적으로 읊었던 문장이 떠오른다. 그 중에서도 ‘온고지신’은 근대건축을 공부하면서 자연스레 친해져서 한..
2023.01.10 -
인천건축사회관 2020.2
Incheon architect hall 2019 인천건축사회관의 위치는 개항기의 역사와 항구 주변의 근대건축물을 많이 가지고 있고 인근에 차이나타운, 신포국제시장과 문화공간인 아트플랫폼이라는 역사적, 문화적 공간의 가치가 풍부한 곳이기도 하다. 본 회관건물은 인천 개항기의 이케마츠 상점으로 사용되어 오던 목조건축물로 선구점을 거쳐 약 90여 년의 시간이 흘러 인천건축사회관으로 재탄생하게 됐다. 단순한 매스이지만 개항기의 양식을 따르고 있는 목조트러스와 창문의 도르레등, 벽마감까지 그대로 간직한 몇 안 되는 목조 건축물로 그 가치를 잘 살릴 수 있도록 훼손을 최소화하고 복원에 중점을 두었다. 외부는 기존 인천재능대학교 손장원 교수의 제공 이미지대로 복원을 하고, 내부는 목조의 트러스와 화재의 흔적이 잘 ..
2023.01.10 -
언덕위의 집 2020.2
The House on the Hill 양산시 하북면 삼수리는 예부터 지세가 명당이고 큰 인물이 배출되는 역사적인 장소였다. 봉화산, 천막산, 군지산, 선암산, 천성산 등이 그림같이 겹겹이 펼쳐지는 곳이기도 하다. 노부부는 이곳에 터를 잡았다. 부부가 사는 단층 주택 1동, 농사를 짓고 농기구를 보관할 창고 1동으로 이루어진 주택을 지었다. 집은 남쪽의 마당과 풍경을 향해 활짝 열려 있다. 마당 앞으로 그림 같은 산세가 펼쳐진다. 날씨 좋은 날, 노부부가 시간을 가장 많이 보내는 곳은 서재와 연결된 외부 대청이다. 대청 위로 목구조가 드러난 처마는 해를 적절히 가려주고, 비가 오는 날에는 떨어지는 빗물을 보며 쉴 수 있는 아늑한 외부공간을 만들어준다. 외부 공간과 거실, 툇마루에서 연결된 남쪽 마당은 양..
2023.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