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9)
-
Interacting Cube 2021.2
LaonYeji 인천시 남구 준주거 지역에 위치한 땅이다. 15미터 전면도로를 접한 좁고 긴 직사각형의 필지이다. 건축주가 요구하는 프로그램은 1,2층에 카페, 3,4층에 근린생활시설, 5층에 주인주택이다. 전면도로에 접한 폭이 좁고 안쪽으로 긴 필지의 열악함을 건축적으로 해결해 주기를 요구했다. 좌우 뒤쪽에 인접필지가 있기에 미래에 건물이 들어서면 필지 주위가 패쇄적으로 되는 것을 걱정했다. 열린 경계의 형태 전면도로가 좁고 긴 대지의 열악함 두고 두가지 질문으로 계획안을 시작했다. 첫째, 어떻게 가로와 열린 관계를 조직할 것인가? / 둘째, 3면이 인접필지로 접한 맥락에서 어떻게 풍부한 내부 공간을 만들 수 있는가? 우리는 가운데 수직 중정을 두고 프로그램적 관계를 조직하면서 길 쪽으로 열리는 형태를..
2023.01.31 -
인천 서창동 A.A.W 2021.1
A.A.W 건축주가 처음 설계를 의뢰하며 희망한 주택은 다양한 변화가 있는 공간에 재미있는 요소가 있으면서, 장아산을 바라보는 아득한 마당을 갖춘 따뜻한 분위기를 주는 집이었다. 또한, 대지 앞 도로에서 바라보는 집의 모습은 프라이버시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창과 외부디자인을 갖추고, 기능적으로는 채광과 환기가 용이하며 철저하게 비를 피할 수 있는 독립적인 주차장이 건물과 잘 어우러진 디자인을 희망했다. 결과적으로 건물배치는 북쪽 도로를 등지고, 남쪽 장아산을 향해 마당을 배치했다. 도로에서 집을 봤을 땐 유니크하고 단단한 요새와 같은 느낌을 주지만, 마당에서 보는 건물은 남동향의 장점과 장아산의 녹지를 담을 수 있는 큰 창을 계획해 햇빛이 잘 드는 풍성하고 따뜻한 분위기를 형성했다. 북쪽 현관 진입로..
2023.01.30 -
인천건축사회관 2020.2
Incheon architect hall 2019 인천건축사회관의 위치는 개항기의 역사와 항구 주변의 근대건축물을 많이 가지고 있고 인근에 차이나타운, 신포국제시장과 문화공간인 아트플랫폼이라는 역사적, 문화적 공간의 가치가 풍부한 곳이기도 하다. 본 회관건물은 인천 개항기의 이케마츠 상점으로 사용되어 오던 목조건축물로 선구점을 거쳐 약 90여 년의 시간이 흘러 인천건축사회관으로 재탄생하게 됐다. 단순한 매스이지만 개항기의 양식을 따르고 있는 목조트러스와 창문의 도르레등, 벽마감까지 그대로 간직한 몇 안 되는 목조 건축물로 그 가치를 잘 살릴 수 있도록 훼손을 최소화하고 복원에 중점을 두었다. 외부는 기존 인천재능대학교 손장원 교수의 제공 이미지대로 복원을 하고, 내부는 목조의 트러스와 화재의 흔적이 잘 ..
2023.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