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3)
-
제주대학교_1995년 철거된 ‘제주대학교 옛 본관’, 김중업 정신 재현해 되살아나나 2023.8
Can the old main building of the Jeju National University, which was demolished in 1995, revive by reestablishing the spirit of Kim Joong-up? FOCUS - 제주대학교, ‘제주대 옛 본관 복원·재현 공개토론회’ 프랑스대사관과 함께 김중업 건축사의 대표작이지만 1995년 철거된 ‘제주대학교 옛 본관 복원·재현’ 논의가 본격화되며, 재건 작업이 속도를 낼지 주목된다. 김중업 건축사가 설계한 제주대 옛 본관은 국립 제주대학교의 상징이었던 건물로, 르 코르뷔지에의 규칙과 방법이 적용되면서도 지역적인 조건이 배려된 공간성과 장소성이 어우러진 작품이다. 작년 취임한 제주대 김일환 총장이 제주를 대표하는 건..
2023.08.18 -
제주대학교_제주대 구 본관, 제주의 꿈과 희망으로 부활하라 2023.8
The old main building of Jeju University, resurrect as a dream and hope of Jeju 1. 시대성 건축사 김중업과 제주대학교의 인연이 시작된 것은 재정난으로 폐교 위기에 몰렸던 도립 제주대가 1962년 국립대학으로 승격되어 기사회생 되면서부터였다. 김중업 선생은 1963년 서귀포로 이전한 제주대 이농학부를 먼저 설계했고, 연이어 1964년 용담 캠퍼스 제주대 구 본관을 설계했다. 당시 제주도는 4.3사건이 마무리된 지 10년이 지나 겉으론 사회 불안이 진정됐지만, 그 사건으로 인한 희생자가 6만여 명이나 되어 내상이 아물지 못한 채 남아 있었다. 그해 제주도 총 인구가 29만 3천 명이었는데, 해방 후 귀국한 수많은 제주도민들은 아직 안주하지 못한..
2023.08.18 -
제주대학교_제주대학 옛 본관 가치와회복의 의미 2023.8
The value of the old main building of Jeju University and the implication of its recovery 1. 들어가며 필자가 김중업 선생을 알게 된 것은 1980년대 초 대학에서 건축학을 공부하면서였다. 당시 한국 건축계를 대표하는 원로 건축사는 김중업 선생과 김수근 선생이었다. 이들 두 분의 건축작품을 찾아다니며, 심오한 건축공간을 어설프게나마 체험해 보려 했던 기억이 있다. 그 후로도 몇 번 제주를 방문할 기회가 있었고 이러한 인연 때문인지 제주대학에 교편을 잡으며 생활을 하게 됐다. 제주에 생활하면서도 제주대학 옛 본관이 가지는 건축사적 의미를 새삼 느낄 수 있었다. 제주도를 방문하는 타 지역 대학 건축학과 학생들과 교수, 그리고 배낭여행의 ..
2023.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