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5월호(25)
-
TIRA 사옥 2020.5
TIRA office 단순함에 깃든 존재감 70~80년대부터 있던 오래된 구옥들 사이로 새로이 리모델링하거나 신축한 건물들이 곳곳에 자리한 동네. 사이트는 조용한 기존 주택들이 있는 주거지역에 소규모 회사들이 들어오면서 각기 나름대로의 폼을 재며 새것과 옛것이 공존하고 있는 그런 곳이었다. 그로 인해 동네는 혼재된 듯 조화롭고 동적인 듯 정적인 특이한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었다. 우리는 이 동네에 동화 되지만 제 나름의 존재감을 가진 건축물을 만들고 싶었으며, 그 결과 공중에 부양된 박스형 건축물을 제안했다. 대지로 통하는 주 도로에서 보면 이 건축물은 주변 건축물들의 배경이 된다. 드러내기보다는 주변에 묻어나며 동화되고 싶은 의도가 들어갔기 때문이다. 그렇게 길을 따라 건축물의 주출입구에 다다르면 공중 ..
2023.01.13 -
의정부 미술전문 공공도서관 2020.5
Uijeongbu Art Public Library 지역사회의 도서관 의정부 미술전문 공공도서관은 국내 최초이자, 의정부시의 랜드마크로서 민락2지구의 교육, 문화, 평생학습은 물론 선진 도서관문화를 리드하려 한다. 전문미술관과 도서관이라는 각각의 상충된 두 영역을 어떻게 하면 잘 융합시킬 수 있을지에 대한 질문이 이 프로젝트의 첫 번째 키워드였다. 하나의 공간 속에 도서관과 미술 두 개 영역이 공존하고 있어 자연스러운 화합을 통해 민락2지구 자연 속의 오브제가 되고, 책을 펼치듯 열린 평면 구성으로 문화 지식 예술은 주변으로 확장되어 적극적인 소통을 이루고자 했다. 도서관의 솔리드한 중심 코어는 관리운영의 중심이자 시각적 정보전달, 상호교류의 중심공간으로 작용하기를 바랐다. 도서관 풍경 첫째, 지역주민의..
2023.01.13 -
삼연재 2020.5
SAM YEON JAE 2017년 하동 화개골에서 설계와 시공을 같이 하는 첫 프로젝트인 주택(월계재)을 하며 동네 주민이던 부부를 만났다. 공사 중 남편으로부터 이런저런 도움을 받으며 식사와 음주가 계속될수록 우리들의 관계는 깊어져 갔다. 월계재 준공준비로 한창일 때 그들은 우리를 강 건너 농로를 따라 올라가 가장 끝집을 지나야 보이는 녹차밭으로 데려갔다. 2015년, 자신들의 도시생활을 정리하고 내려온 이곳에 땅을 구입했으며, 이제는 집을 짓고 싶다 했다. 그때가 2017년 겨울이었다. 그곳은 약 4미터의 레벨차가 있는 공간이었으며 건축사로서의 욕심을 발동하게 하는 대지형태였다. 지하 같지 않은 지하를 지나 집으로 진입하는 공간을 그려보았다. 부부의 요구사항은 명확했다. 하나, 부부만 생활하게 될 공..
2023.01.13 -
3기 신도시 기본구상 및 입체적 도시공간계획 공모 2020.5
Basic Conception & 3D Urban Spatial Planning Design Competition for The 3rd New Town
2023.01.13 -
텅 빈 미학이 존재하는 몽골, 그 광활함 2020.5
Mongolia where empty aesthetics exists, its vastness 수도인 울란바토르에서 장장 3,000km를 지난 여정을 통해 느낀 몽골은 광활한 대지, 그야말로 가도 가도 끝없는 텅 빈 공허함의 극치였다. 대평원의 공허함으로 가득한 생소한 여행이면서 무어라 표현할 수 없는 꽉 찬 이야기들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던 탐험이었다. 우리 일행이 탐방하였던 시기는 몽골의 국가적 행사인 나담 축제 마지막 무렵이었다. 몽골사람들이 들뜬 기분 탓에 우리 일행의 차량을 들이 받는 사고가 있었지만 천만다행으로 크게 다친 사람은 없었다. 사실 차량 한 대를 폐차시킬 정도로 아찔한 사고기는 했다. 하지만 일행들이 한마음으로 서로를 의지하며 어려움을 겪어낸 덕분에 무사히 돌아올 수 있었다...
2023.01.13 -
불멸의 건축 04광화문(光化門) 2020.5
Immortal architecture 04Gwanghwa-mun 건축법에서 재축(再築)이란 ‘건축물이 천재지변이나 그 밖의 재해(災害)로 멸실된 경우 그 대지에 다시 축조하는 것을 말한다’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필자는 신축, 재개발, 재건축 등 새로 짓는 것이 건축의 주류인 상황에서 재축된 건축물들을 소개하고 건축의 의미를 돌아보고자 이 연재를 준비했습니다. 서울의 상징물은 무엇일까? 생각나는 것은 많은데, 쉽게 한 가지를 정하기 어렵다. 워낙 다양해서 그 ‘다양성’이 ‘서울의 상징’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서울은 25개 자치구에 1,00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살고 있고, 권역별로 서로 다른 생활권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저마다 생각이 다를 수 있다. 서울을 20여 개 전철 노선과 BRT로 수도..
2023.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