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월호(26)
-
완산뜨락 주민소통방 2023.10
Wansantrak Community Center 잠시 멈춤, 모두의 횡단보도 ‘완산뜨락 주민소통방’ 도시의 기억_낮은 문턱의 공공건축, 공공의 뜰 ‘완산뜨락 주민소통방’은 마을의 골목 모퉁이를 환히 밝히는 만남의 공간이자 쉼터로, 이웃의 삶을 나누는 공간을 그리며 설계했다. 이웃 간의 만남 빈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건축적 장치를 고민했다. 작은 공공건축물로서 외부에서 더 쉽고 친근하게 접근하고, 내부의 공간이 충분히 관찰되는 것이 건물의 주요 개념이 되었다. 건축공간을 확장하고 골목길에 아이덴티티를 부여하는 골목길 디자인을 함께 제안했다. 골목길 디자인을 통해 건축과 마을이 친밀히 엮이며 생동감있는 흐름을 생성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건축물의 도입부와 색채를 통일해 마을의 길과 건축물이 자연스럽게..
2023.10.31 -
고창군청 등나무숨 카페 2023.10
cafe Rattan SUM 관공서에 가면 로비에 카페가 있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간단한 회의도 하고, 동료를 만나 담소를 나누는 등 카페는 이용자에게 장소를 제공하는 동시에 지역의 일차리 창출 기능을 담당한다. 고창군에서는 이러한 용도를 더욱 확장해 군청을 이용하는 이용자뿐만 아니라 주변의 주민들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카페의 위치를 외부로 이동하고자 했고, 자주 이용하고 있는 등나무쉼터와 연계된 카페를 고민하게 되었다. 발주처에서 최초 제시한 방향은 기존 등나무쉼터 공간 자체를 감싸는 형태로 건축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거듭된 회의와 설득 과정을 거치면서, 나무의 생장 환경과 내부 공간 활용의 합리성을 고려해 기존 등나무쉼터 공간 옆에 카페를 짓고 내·외부 공간을 확장하여 이용하는 것으로 ..
2023.10.31 -
춘천 지역먹거리 직매장 2023.10
Chuncheon Farmers Market 춘천 지역먹거리 직매장은 설계공모로 시작된 프로젝트이다. 공모에서 목구조를 요구한 것은 아니었으나 평소 공공건축에 현대식 목구조가 적용되어야 한다는 생각이 있었고 ‘먹거리 직매장’이라는 쓰임과도 적합하다 판단하여 목구조건축물을 제안하게 되었다. 소프트웨어 + 하드웨어 여러 공공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아쉬웠던 부분 중 하나가 형식은 공공건축이나 결과적으로 ‘주인 없는 건물’이 되는 경우이다. 설계자가 이러한 문제의 근본을 해결할 수는 없겠지만 차선책으로 설계 초기부터 운영자와의 협의를 요청했고, 공사감독관들의 협조로 운영자와의 만남이 여러 차례 이루어져 실제로 필요한 기능과 공간구성을 함께 논의하면서 건축물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었다. 건축계획 소규모 단층 주택이..
2023.10.31 -
계절의 흐름 속에서 본 구룡사 2023.10
Guryongsa Temple seen through the flow of seasons 오랜 시간 동안 카메라를 들고 원주 치악산 구룡사를 방문해 왔다. 구룡사는 각 계절마다 다양한 옷을 입고 방문객을 맞이한다. 그곳에서 자연의 아름다움과 변화를 직접 체험하고, 시간의 흐름 속에서 계절별 변화를 사진으로 남겼다. 사진은 그 자체로 기억의 조각이면서 다채로운 시간과 공간, 그리고 추억과 오감을 자극하는 표현의 도구다. 오랜 시간 정성을 들여 촬영한 이 사진들은 구룡사의 아름다움과 계절변화를 직접 목격한 경험을 영원히 기억하게 해준다. 이 사진을 통해 우리 모두 자연과 인간, 그리고 시간에 대해 깊이 성찰하고, 바쁜 일상 속에서 잠시나마 주변을 둘러볼 수 있는 여유를 가질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사..
2023.10.31 -
건축, 환경을 만들고 미래를 창조하다 ⑥ 욕망의 절제와 균형, 좋은 도시의 조건 2023.10
Creating architecture, environment, and the future ⑥ Moderation and balance of desire, conditions of a good city 도시에서는 개인과 개인의 욕망이 충돌할 수밖에 없다. 욕망은 인간 자체가 가지고 있는 본능 중 하나다. 따라서 사람이 모이면 당연히 욕망의 충돌이 생기고, 이성의 존재인 인간은 욕망을 다양한 방식으로 조절하고 합의하면서 상호 균형을 이루는 것이다. 도시는 이런 욕망의 절제와 균형이 발현되는 곳이다. 근대 이전의 사회는 철저한 힘의 논리로 통제되었다. 건축은 그런 통제의 한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상징이나 규모, 형태나 색상 등은 권력의 도구로 이용되었다. 예를 들면 강력한 왕권 국가의 수도였던 베이징은 황제..
2023.10.31 -
도시의 정체성 <PARTⅡ> ④ 서울의 도시 어휘들 Ⅳ 2023.10
Identity of the City ④ Urban lexicons of Seoul Ⅳ ■ 도시 어휘 8 _ 실리적 개입들 Practical interventions 도시의 변화는 여러 이유로 발생한다. 서울은 변화를 주도한 주요한 요인 중 하나인 부동산 시장이 어떻게 도시의 물리적 형태를 만들어내는지, 도시적 현상과 어떻게 관계하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도시 중의 하나이다. 특징 물리적 공간으로서 도시 서울은 수익창출을 위한 도구로 도시 경제 메커니즘의 중요한 요소로 고려된다. 서울의 물리적 공간들은 공공재로서 고려되어야 하는 공공의 이익보다는 개별 토지들의 사적인 이익을 우선으로 하는 개별 토지들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개발사업의 대상이다. 공간들은 도시 맥락에 대한 고려보다는 경제적 가치의 관점에서 ..
2023.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