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3월호(27)
-
FITNESS 1 2024.3
FITNESS 1 PROLOGUE 피트니스 원은 경사지에 위치한 이형의 대지 안에 피트니스 센터, 실내 테니스장, 실내 골프연습장 등의 운동 공간을 계획하는 프로젝트이다. 본 계획에서 해결해야 하는 주요 조건들은 ▲비정형의 대지경계선을 고려한 효율적인 건축 영역 확보 ▲실내 스포츠 공간이라는 프로그램의 특수성을 고려한 넓은 기둥 간격 및 높은 층고의 적용 ▲산지와 학교 및 아파트로 둘러싸여 있는 복합적인 대지의 주변 환경이었으며, 해당 조건들을 고려하여 계획의 주안점을 정리했다. 다양한 건물의 얼굴 비정형의 대지경계선 내에서 최적의 건축 가능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좌측 입면을 세 개의 매스로 분절하고, 우측 입면을 두 개의 매스로 분절했다. 학교 체육관에서 바라보는 좌측 입면의 형상은 거대한 위압감보다는..
2024.03.31 -
KL 빌딩 2024.3
KL Building 건축주는 남산 힐튼호텔에서 남산순환도로로 올라가는 길목에 위치해있던 ‘나오스노바(Naos Nova)’를 기획하고 건축해 운영했던 디자이너이다. 이 프로젝트의 이름인 ‘KL’은 건축주의 이니셜에서 가져왔다. 나오스노바(Naos Nova)는 그리스어와 라틴어를 결합하여 만든 ‘새로운 신전’이라는 의미를 지닌 건축물로, 2000년대 초반 건축주의 이상을 구현한 복합문화공간이었다. 용도와 배치계획 서초동의 법조단지에 위치하여 법률사무소의 임대를 목표로 계획했으며, 되도록 지하1층 로비, 루프탑 등의 공용공간은 추후 건축주의 문화활동 등에 활용될 수 있도록 고려했다. 대지는 서울법원청사 단지의 남측으로 접해있고, 법원로4길(4M)의 막다른 도로에 위치한다. 북측은 높이 4미터의 옹벽으로 막혀..
2024.03.31 -
M빌딩 2024.3
M BLDG. 기억의 씨앗 우리는 순수한 대지를 처음 맞이할 때의 순간의 느낌이,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종료된 후에도 오랜 시간 동안 가슴과 뇌리에 남는 경험을 하게 된다. 그 느낌을 프로젝트의 씨앗으로 삼고, 수많은 질문과 그에 대한 답을 하는 합리적·이성적 활동을 자양분으로 삼아 뿌리를 내리게 하고, 성장하게 하고, 성숙케 하여, 비로소 열매를 맺게 한다. 1년, 2년… 그 이상의 긴 시간 동안 자연과 대지, 또 건축의 형태·공간과 그 안에 담길 삶의 소중한 이야기들을 비롯한 유무형의 가치들을 불확실성의 긴장상태에서 조심스레 어루만진다. 관계인들과 간단없이 교감하고, 투쟁하고, 지켜내고, 조율해 나가는, 인내를 기반으로 하는 여정이 바로 건축이 갖는 궁극의 가치인 ‘과정의 미학’이라고 ..
2024.03.31 -
페스티벌 오브 라이츠 일산사옥 2024.3
Office building for Festival of Lights 페스티벌 오브 라이츠 일산사옥 (Office building for Festival of Lights) “창고처럼 보이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공연전문 조명회사 설립 10년 만에 사옥을 추진하는, 건죽주와 첫 상담에서의 강력한 요구사항이었다. 이후 몇 차례 건축주와 상담을 하고 나서, 제한된 예산을 고려해 창고보다는 부속 사무실의 형상과 공간에 집중할 것을 제안했다. 건축주는 깊은 고민 끝에 다시 “창고처럼 보이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요청했다. 건축사들은 ‘집은 집답게, 학교는 학교답게, 교회는 교회답게’라는 건축의 합목적성에 대한 격언을 디자인 윤리처럼 여기지만, 건축사는 건축주의 진실한 요청사항에 응답해야 한다. 한국에서 창고 건물..
2024.03.31 -
U2 OFFICE 2024.3
U2 OFFICE 도시의 풍경 양재천에 서서히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오래된 도시의 모습에서 새로운 방향으로 도시와 건축이 어우러지고 있다. 우리가 만난 대지도 기존 도시가 가지고 있는 정리되지 않은 모습으로, 전선이 많은 전봇대가 두 개나 있었으며 인접 대지에는 다세대 주택과 임대 상가가 인접해 있었다. U2 프로젝트는 도시의 변화에 어울리는 건축으로, 도시에 새로운 활력을 넣어주는 건축으로 진행하고자 했다. 건축주와 다른 생각을 제안하다 건축주가 원하는 건축 방향은 오래전부터 구체화되어 있었다. 1층은 상가 및 주차장으로, 2층부터는 임대 세대로 원룸과 투룸으로 진행해 수익을 창출하고자 했다. 그대로 진행하면 건축 방향이 양재동에 부합하지 않을 것 같아 건축주의 생각에 반하는 제안을 하게 되었다. 결..
2024.03.31 -
서울식물원 2024.3
Seoul Botanic Park 해 질 무렵 서울식물원에 갔다. 이곳은 서울의 서쪽 끝자락에 있는, 마지막까지 논농사가 지어졌던 마곡지구의 중심 공원이다. 대규모 R&D센터 중심의 택지 개발로 많은 기업의 사옥이 들어온 마곡지구의 중심에서 한강으로 이어지는 504,000제곱미터 면적의 공원 내 식물원이다. 4개의 구역으로 나누어진 서울식물원을 거닐다 보면 특히 면적 7,602제곱미터에 지름 100미터의 오목한 꽃 모양의 온실이 눈에 들어온다. 형태를 보여주는 철골구조를 외부로 노출해 곡선의 구조미를 표출하며, 건축구조의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차가운 철골과 유리 외피의 온실이 해 질 무렵 노을빛 따듯한 주변의 수목과 어울려 대비적이면서도 조화로운 모습으로 건축의 아름다움을 더욱 드러낸다. 사진·글. 정익..
2024.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