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평 농어촌 단독주택 2025.9

2025. 9. 30. 15:06회원작품 | Projects/House

Hampeong Sea Village House

 

 

 

 

대지의 풍경
첫 대지를 마주한 순간, 바다를 향해 펼쳐진 푸른 초원이 매우 인상 깊었다. 저 멀리 수평선이 펼쳐진 바다가 있었지만, 일반적인 바다 풍경과는 달랐다. 다도해상이 마치 바다 위에 얹힌 산처럼 바다의 끝을 감싸 안고 있었다. 대지는 마을과 일정 거리 이상 떨어져 있었지만, 섬들로 둘러싸인 바다 풍경 덕분에 고립된 느낌보다는 포근하고 안온한 인상을 주는 땅이었다.

여러 개의 채로 나뉘어진 평면
설계를 시작하기 전, 클라이언트와의 인터뷰 자리에서 주거의 각 기능에 따라 공간을 명확히 구분해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거실과 주방조차도 서로 가까이 배치되돼, 소리와 냄새, 시각적으로는 서로 차단되기를 바란다는 요구였고, 이 조건은 오히려 함평 주택 전체의 큰 틀을 설정하는 기초가 됐다. 주변에 이웃한 집이 없고, 넓게 밭으로 펼쳐진 둥근 언덕배기 대지 위에 도심의 집처럼 우뚝 솟은 건물을 짓기보다는, 땅에 낮게 붙어 여러 개의 채가 자연스럽게 툭툭 놓인 모습을 상상했다.
그렇게 집을 세 개의 채로 나누었다. 현관과 손님방이 있는 거실채, 식당이 있는 주방채, 그리고 현관에서 가장 안쪽에 배치된 안방채로 구성했다. 아이들 방은 거실채 위에 올려 중심을 잡았다. 처음 구상한 모습은 단층 주택이었지만, 건폐율 제한과 2층 다락방을 꿈꾸는 아이들의 로망을 반영해 거실채는 2개 층으로 계획했다.

원경과 근경
각각의 채에서는 멀리 펼쳐진 바다의 원경을 조망할 수 있고, 반대편으로는 마을과 산을 바라볼 수 있다. 거실채와 안방채와 맞닿은 뒷마당에는 낮은 담장을 두고, 그 안에 조경을 적절히 계획해 근경의 풍경을 연출하고자 했다.

콘크리트구조 - 기단에서 담장까지
주변에 벌레가 많은 시골집의 특성을 고려해, 기단은 콘크리트 매트기초 지중보 구조로 계획하고 지붕보 길이를 조절해 땅에서 60센티미터 이상 띄웠다. 이 기단은 집의 외벽에서 적게는 60센티미터, 많게는 2미터까지 돌출되어 뒷마당의 툇마루가 되기도 하고, 식당 앞의 외부 테라스가 되기도 한다. 또한 기단 일부는 건물 1층 벽 높이까지 올려져 현관이 있는 앞마당의 담장(벽)이 되며, 일부는 뒷마당의 낮은 담이 되기도 한다.

목구조 - 의도된 장식
코로나 이후 급격히 상승한 공사 단가로 인해, 이 집의 구조는 다른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용이 적게 드는 경량 목구조로 결정됐다. 기둥과 보를 조립하는 중목 구조와 달리, 경량 목조는 벽식 구조이기 때문에 목구조체가 석고보드 벽체에 가려져 실내에서 구조체를 시각적으로 느낄 수 없다. 기본 구조는 벽식 경량 목조를 따르되, 각 채마다 적절히 기둥과 보를 혼합해 실내에서도 목구조체가 보이도록 설계했다. 이를 통해 중목 구조처럼 보이는 집의 형태를 구현했다.

석양이 지는 때의 집의 조감도
항공 배치도
저녁의 집
현관 진입로
복도

 

The Landscape of the Site
The moment we first encountered the site, we were struck by the expansive green field stretching toward the sea. Although the horizon extended far out into the ocean, it wasn’t the typical seaside view. The coastal archipelago embraced the edge of the sea like mountains laid gently atop the water. Though the site was far from the nearest village, the view of the sea surrounded by islands gave it a warm and calm character, rather than a sense of isolation.

Planes Divided into Multiple Zones
Before beginning the design, we interviewed the client, who requested that each residential function be clearly separated. Even the living room and kitchen were to be placed close, yet visually and physically isolated from each other in terms of noise, smell, and sightlines. Rather than erecting a single, prominent structure atop the rounded hill surrounded by fields and with no neighboring houses we envisioned a low-lying composition of separate volumes gently placed on the land.
Thus, we divided the house into three volumes: a living area with the entrance and guest room, a kitchen volume for dining, and a private bedroom volume located at the far end from the entry. The children’s rooms were placed above the living area to serve as a central anchor. Though the initial concept was a single-story house, the site’s coverage limitations and the children’s dream of having attic spaces led us to plan the living area as a two-story volume.


Close-range and Distant Views
Each of the separate zones offers a distant view of the sea in one direction and a view of the village and mountains in the other. The backyard, nestled between the living and bedroom volumes, was enclosed with a low wall and carefully landscaped to create a pleasant close-range view.

Concrete Structure - From the Base to the Wall
Taking into account the rural setting and its abundance of insects, the base was constructed as a raised concrete mat foundation with ground beams, elevating the house 60 centimeters above the ground. This concrete base extends beyond the exterior walls by as little as 60 cm to as much as 2 meters, forming a backyard veranda, a terrace in front of the dining area, and even becoming a wall or fence around the front and rear yards by rising to the full height of the first floor in certain areas.

Wooden Structure - Intentional Decoration
Due to the sharp increase in construction costs after COVID-19, we selected lightweight wood framing as the primary structure an economical alternative to other structural systems. Unlike post-and-beam wood structures, this wall-based system typically conceals its framing behind gypsum board walls. However, we intentionally blended post-and-beam elements into each volume so that the wooden structure remains partially visible indoors. This allowed us to achieve a spatial atmosphere reminiscent of traditional heavy timber structures while staying within a practical budget.

 

주방채
거실채에서 바라본 바다의 풍경
거실채 2층 다락





함평 농어촌 단독주택
설계자 | 신진아 _ 건축사사무소 SINTIM
건축주 | 남기세, 이민주
감리자 | 신진아 _ 건축사사무소 SINTIM
시공사 | 정영훈, 배규봉 _ (주)제이에스종합건설
설계의도 구현 | 건축사사무소 SINTIM
대지위치 | 전라남도 함평군 손불면 석창리
주요용도 | 단독주택(농어촌단독주택)
대지면적 | 610.00㎡
건축면적 | 121.50㎡
연면적 | 148.82㎡
건폐율 | 19.92%
용적률 | 24.40%
규모 | 2F
구조 | 철근콘크리트구조, 경량목구조
외부마감재 | 
외벽 _ 외단열 STO마감
지붕 _ 지정 회색 칼라징크마감
기단 _ 콘크리트 폴리슁 위 하드너 마감
내부마감재 | 강마루, 실크벽지, 타일
설계기간 | 2022. 09 - 2023. 01
공사기간 | 2023. 05 - 2024. 02
사진 | 진효숙
구조분야 | 보브프레임
기계설비·전기분야 | (주)정찬



Hampeong Sea Village House
Architect | Shin, Gina _ SINTIM Architecture
Client | Nam, Kesei / Lee, Minju
Supervisor | Shin, Gina _ SINTIM Architecture
Construction | Jung, Younghoon _ JS Construction
Design intention realization | SINTIM Architecture
Location | Seokchang-ri, Sonbul-myeon, Hampyeong-gun, Jeollanam-do
Program | Detached House
Site area | 610.00㎡
Building area | 121.50㎡
Gross floor area | 148.82㎡
Building to land ratio | 19.92%
Floor area ratio | 24.40%
Building scope | 2F
Structure | RC, Light frame wood structure
Exterior finishing | STO Exterior Insulation Finish System
Interior finishing | Wood Film Floor, silk wallpaper, Tile
Design period | Sep. 2022 - Jan. 2023
Construction period | May 2023 - Feb. 2024
Photograph | Chin Hyosook
Structural engineer | Bov Frame
Mechanical·Electrical engineer | Jungchan corporation

'회원작품 | Projects > Hou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유화원(臥遊花園) 2025.9  (0) 2025.09.30
대곶주택 2025.9  (0) 2025.09.30
갯골자연휴양림 2025.9  (0) 2025.09.30
제주 바윗집 2025.8  (0) 2025.08.31
양평 패시브주택 2025.7  (0) 2025.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