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클 | Article/포토에세이 | Photo Essay(192)
-
포르투갈 코스타노바 2021.7
Portugal Costanova 길쭉청년 한정훈 디자인헌터스 대표/ FlyingArtist 대표이사
2023.02.07 -
사라지는 마을 _ 대전 철도관사마을
Disappearing village Railway official residence village in Daejeon 도시는 시간과 함께 흔적을 남기며 유기적으로 변화한다. - 시작과 성장 그리고 쇠퇴와 소멸 도시 속에 남겨진 역사적 존재물을 어떻게 대할 것인가? - 문화유산을 대하는 태도와 방법 이 모든 과제를 다양한 모습으로 접근하여 진행 중인 마을. - 재개발 그리고 보존과 재생에 관한 갈등 이는 대전역 인근에 위치한 소제동 철도관사마을에 관한 이야기이다. 현재 철도관사마을(대전시 동구 소제동 일원)에는 총 1,312세대 2,052명의 주민이 살고 있으며 총면적은 360,000제곱미터이다. 100년 전의 도시구조와 그 당시의 옛 마을과 가옥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어 마치 과거의 시간으로 돌아..
2023.02.07 -
비 내리는 거리에서 2021.6
On a rainy street 글.그림 임진우 (주)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디자인총괄사장
2023.02.06 -
사라지는 마을돌산마을 2021.6
Disappearing village Dolsan Village 가난이 머물다 간 흔적은 마음을 멍들게 할 때도 있지만 한참을 오다가 뒤돌아보면 전이되어버린 좁쌀 같은 생의 암 덩어리를 향한 치유의 손길 빈 신작로 길 위를 구르는 바람 소리에 가만가만 물어보면 가난처럼 귀한 유산도 없단다 -이충재 詩, ‘가난 유산’ 中 전체 5만 5,000제곱미터 산기슭에 300여 채의 무허가 촌락, 부산의 대표적 빈민가인 문현동 돌산마을(부산시 남구 돌산1길 16)이 60년의 세월을 뒤로 한 채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이곳은 황경산 끝자락에 자리 잡고 있어 황령마을이라 불렸고, 돌들로 형성된 절벽 중간에 주거지가 형성되면서 돌산마을이라 불렸다. 일제 강점기부터 형성된 공동묘지 터에 한국전쟁의 피난민들이 모여 만든 주거..
2023.02.06 -
정신착란증 혹은 풍부한 도시미의 뉴욕 2021.5
Delirium or the rich beauty of an urban city, New York 뉴욕을 걷는다. 빽빽이 솟은 고층 건물 사이로 햇살이 어렵게 비친다. 도시를 서쪽으로 가로질러 작은 언덕을 넘을 때면 멀리 뉴저지가 보이는 허드슨강이 쫙 펼쳐진다. 열린 시야와 푸른 물색에 감동을 받고 다시 한 블록 북으로 올라 동쪽으로 다시 도시를 걷는다. 복고클래식과 모던, 포스터모던과 네오모던이 상업주의, 도시 민주주의를 거쳐 절제된 개성의 도시 맨해튼을 걷는다. 뉴-암스테르담(New Amsterdam)에서 시작해서 뉴-욕(New-York)이 된 이 도시는 이제는 새롭지 않다. 돌연변이의 도시가 현대 도시의 전형이 되었다. 공공미술가인 비토 아콘치의 디자인의 건축 작업을 하던 시절에 출장을 가서 배터리..
2023.02.03 -
사라지는 마을삼덕(三德) 2021.5
Disappearing village Samdeok 명칭 유래 삼덕(三德)마을은 천주교의 정신이라 할 수 있는 세 가지 덕목인 믿음[信], 소망[望], 사랑[愛]이라는 뜻에서 이름 지어져 ‘신망애(信望愛)’라는 석 자로 요약된다. 형성 및 변천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이천리에 위치한 삼덕마을은 1961년 2월 5일 국립용호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음성 한센인의 자립촌으로 조성되었다. 음성 한센인의 자립을 위해 용호동 본당(꼰벤뚜알 성 프란치스코 수도회)이 자체 기금으로 당시 동래군 일광면 이천리 임야 약 1만 3884.30제곱미터(4,200평)를 구입하고, 추가로 부지 1,537.19제곱미터(465평)를 매입하여 택지를 조성하였다. 같은 해 3월에는 정부 지원을 받아 건평 약 20제곱미터(6평) 규모의 주..
2023.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