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6)
-
POLE Factory 2024.12
POLE Factory 폴 공장(POLE Factory)은 기계와 사람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공간 구성을 중심으로 특별한 의미를 담았다. 우리는 고유한 생산 프로세스의 연속성을 유지하면서도 기계와 사람의 공존을 지원하기 위해 공간 배치에 여러 요소를 신중히 고려해 설계했다. 공장동과 부대동의 유기적 연결 일반적으로 공장과 부대시설을 독립적인 동으로 분리하지만, 우리는 24시간 운영되는 특성에 맞춰 폴 공장을 사무, 관리, 휴식 공간을 제조 과정과 밀접하게 연결했다. 이를 통해 작업 효율성과 관리 접근성을 높였으며, 각 공간이 서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동선을 최적화했다. 자연과의 관계 폴 공장은 산들로 둘러싸인 산업단지 내에 위치한다. 공장은 법적으로 조경이 필요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원경과 공..
2024.12.31 -
수퍼빈 아이엠팩토리 2024.6
SuperBin im_factory 아이엠팩토리, 공장 같지 않지 않은 공장, 화성시 우정읍 화산리에 자리 잡은 친환경 재활용 공장의 이름이다. 건축 용도상 자원순환시설, 폐기물 재활용시설인 아이엠팩토리는 폐기물 공장이지만 공장처럼 보이지 않고 오히려 미술관에 가까워 보이는 건축물로 기존의 패러다임을 바꾸고자 했다. 버려지는 쓰레기를 다시 소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선별 수집 시스템과 물류 인프라를 재설계하여, 모인 폐플라스틱이 고품질 플레이크(FLAKE)로 제조돼 이윤이 되는 새로운 방식의 순환경제를 구축하는 새로운 유형의 건축물이다. 디지털 기술이 접목된, 차별화된 친환경 재활용 공장 쓰레기가 돈이 되고 재활용을 놀이라는 일상의 문화로 만들려는 수퍼빈은 쓰레기와 문화라는 소재를 두고 인공지능과 로보..
2024.06.30 -
(주)세이프코리아 사옥 _ 소소원 2024.2
Safe Korea Office Building 대지 읽기와 접근 세이프코리아 사옥의 동북면, 남한강변 여주의 외평리에서 시작한 무태산(해발 200m) 능선은 병풍처럼 서북면으로 원적산(해발 564m), 정개산(해발 433m)으로 이어져 광주 노곡리의 더덕바위산(해발 350m)에서 90도 직각으로 축을 틀어 남동쪽 이천 시청이 들어서 있는 설봉산(해발 393m)까지 이어진다. 세이프코리아 사옥은 원적산을 주산으로 한다. 최근 산수유 축제가 트렌드인 원적산의 직각 축인 남동으로 5킬로미터 완만한 평야 지대를 지나면 다시 해발 50미터 구릉지에 이른다. 이곳 이천 백사면에 세이프코리아 사옥이 터를 잡았다. 이천 평야의 중심 약 12%의 남면 구릉지 햇살 가득한 곳에 위치하며, 사옥의 800미터 서쪽에서 원적..
2024.03.08 -
인천 남동 혁신성장센터 _ 2022. 2
Incheon Namdong Innovative Growth Center 인천 남동 산업단지의 성장을 주도하는 새로운 역할 제시 구 공업단지와 신 첨단산업단지를 이어주는 상징적인 거점시설로서 관문의 역할을 하는 혁신성장센터를 만들고자 했다. 이를 위해 첫째, 주변과의 관계를 고려한 주동배치로 전면가로의 상징성을 확보하는 한편, 보행가로를 활성화하는 저층상가배치를 했다. 둘째, 중앙커뮤니티 시설을 중심으로 각 시설이 명확히 조닝-연결되는 효율적 클러스터형 평면구성을 했으며, 셋째, 주변을 향해 활짝 열린 게이트의 형상으로 구 공업단지와 신 첨단산업단지를 모두 아우르는 지역의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하도록 했다. 상징적인 외부공간과 기업 간의 교류를 위한 열린시설 배치 다채로운 주변 환경에 대응함과 동시에 명확한..
2023.02.16 -
(주)송도산업 동탄사옥 2020.8
Song-Do Industry corp Dongtan Office Building 삼거리의 결점점에 위치한 부지로써 북측에는 산, 남측에는 하천이 자리한다. 또 부지 한면만이 도로와 맞닿아 있고, 동쪽으로는 막다른 길과 공원이 자리한다. 건물의 배치는 차량동선 및 사업 확장에 따른 증축, 주변과의 조화 등을 고려하였고, 녹지축과 하천을 연결하기위해 건축물은 부지 서측에 배치하였다. 설계 주안점은 첫째, 건축 밀도를 높여 최대 용적률에 맞추어 필요 이상의 면적을 확보하는 것이 아닌, 부지에 맞는 효율적인 규모 및 관계성에 초점을 두었다. 둘째, 주변 건물들과 소통하면서 아름다운 자연 풍경과도 조화를 이루도록 계획하였다. 북측에 면한 야산의 녹지축을 건물 중앙의 도입하기 위해 중정형 오픈공간으로 계획하였고 ..
2023.01.18 -
전빌딩 2020.6
JEON BLDG 대지의 기억 본 공장 대지는 80년대에 나름 유명했던 ‘진카트’보일러 공장이었다. 1987년 서울구치소(서대문 형무소)가 경기도 의왕시로 이전되면서 옥사가 철거 되었고, 그 폐기물로서 적벽돌을 매입해서 파주시의 현 대지로 가지고 와 지은 건물이다. 어떠한 의도였는지는 명확히 확인되지 않지만, 그러한 역사적 이야기를 갖는 건물군이 있는 공장대지에 사무동을 짓는 프로젝트이다. 당시 서대문 형무소 적벽돌은 크고 재질도 단단해서 인부들이 해머로 두드려도 잘 부서지지 않았다고 하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1900년대 초 일제 강점기에 항일운동하다 경성감옥에 수감된 우리 선조들이 노역으로 갖은 고초를 겪으며 쌓아올린 벽돌이라기에 답사와 설계·감리를 위해 방문할 때마다 마음 한 켠이 묵직했다. 벽돌과 ..
2023.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