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득수(10)
-
살아 숨 쉬는 건축여행 ⑧한국건축 태동의 주역-예산지역건축사 김세환 활동 2023.1
A living and Brenthing Tourism for Architecture ⑧ Architect, Kim, Se-hwan, From Yesan, Who Pioneered Korean Architecture 1. 해방 이전과 이후 근현대건축과 작품활동(1950~1970)을 중심으로 (1) 해방 이전 한국의 건축근대사는 일제강점(1910)이후 해방(1945)까지 조선총독부 주관 하에 관청, 학교, 은행 등 새로운 건축문화와 기술에 적응하면서 건설 관련 기관과 일본 건축사 그리고, 선교사가 주도하에 르네상스양식, 서구식 건축물들이 점차 확산되었다. 그러나 개항 이후, 상공학교(1906), 공업전습소(1907) 등이 설립되었음에도, 실제적으로 박길룡, 김윤기, 홍윤식 등과 같은 근대식 건축교육을 받은..
2023.01.19 -
살아 숨 쉬는 건축여행 ⑦일제강점기 시대 예산의 근대건축물 역사 2022.12
A living and Brenthing Tourism for Architecture ⑦ Modern Architecture in Yesan Ci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1. 서구식 근대건축물 등장 오랜 쇄국 끝에 아무 수용태세도 갖추지 않은 채 타율적으로 유입되는 서구 건축 을 받아들여야 했고, 일본의 점령으로 양풍건축도 일본을 통하여 이루어졌다고 본다. 개화 후 기술을 경시하는 풍조와 전문교육을 억제했던 일본의 식민지 교육 정책에 의해 전문교육을 받은 한국인이 일가를 이루어 창작조물을 하게 된 것은 1920년대 말의 일이다. 이러한 일본의 세력에 의해 주권과 영토를 일제에게 빼앗긴 후 병자수호조규(강 화조약)에 따라 부산(1876년), 원산(1880년), 인천(1883..
2022.12.23 -
살아 숨 쉬는 건축여행 ⑥예산 시가지 발달과 예산의 발전 2022.11
A living and Brenthing Tourism for Architecture ⑥ Yesan Urban Development and Yesan Development 1. 농산물의 집산지 및 화교 일본인 상업활동 내포지방 예산에서, 상업적 농업의 발전과 미곡을 중심으로 한 농산물의 상거래는 내포지방의 지주들이 화폐경제에 눈을 뜨게 한 동기가 되었는지도 모른다. 그래서 작은 농촌 소읍인 예산에 충남산업주식회사가 설립된 것으로 본다. 또한 예산은 인천과 군산에 수송될 농산물의 집산지라는 지리적인 면에서 화교들의 상업활동에 일대 거점이 되는 요인이 되었다. 이때 청일전쟁이 발발되자 인천에 일본군의 병참본부가 서게 된다. 이에 인천 재유화교에 대한 박해가 심해지자 인천을 피하는 화교들의 상업활동 거점인 예..
2022.11.10 -
살아 숨 쉬는 건축여행 ⑤예산지방의 발전과 시가지형성과정 2022.10
A living and Brenthing Tourism for Architecture ⑤ Development of Yesan Local Area and Urban Formation Process 1. 지도상의 변천과정 ‘예산’ 조선시대 후기의 도시(고을, 읍)들은 규모면에는 대도시와는 비교가 안될 정도로 작아 대도시처럼 시가지가 둘러싼 내부를 채워가면서 시가지의 외곽경계가 위요의 경계가 되는 것은 아니었다. 시가지 확산은 중심확산, 앞방향확산, 선형확산(중심, 선형확산 1방향, 선형확산) 중심에서 양방향, 시가지 이동, 무변화, 기타 등으로 8가지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른 유형이 있을 수도 있지만, 예산의 경우는 그림과 같이 유형 4인 선형확산-1 방향에 해당하는 것으로 구시가지 1910년대 구..
2022.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