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공모(22)
-
[설계공모] 고양창릉 A-2, A-5BL 공동주택(2024. 6.) 2024.7
Goyang Changneung A-2, A-5BL Housing 설계자 최기철 · 박승만 _ Choi, Ki-cheol · Park, Seung-man (주)토문 건축사사무소 _ Tomoon architects & engineers A-2BL ‘이웃과 함께 아이가 자라는 자연친화적 단지’ 단지를 관통하는 공공보행통로는 풍부한 자연요소와 생활가로의 커뮤니티 요소를 조화롭게 엮는 중요한 수단이며, 스쿨파크로 향하는 등굣길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 길을 활용해 주변의 풍부한 자연환경을 유입시킬 열린 통경과 연속적인 경관을 계획하고, 이를 중심으로 퍼져나가는 다양한 가로형 커뮤니티 계획을 통해 지역과 소통하며 ‘이웃과 함께 아이가 자라는 자연친화적 단지’를 제안했다.A-5BL ‘세대 간 품어주며 조화를 이..
2024.07.31 -
[설계공모] 남양주 왕숙2 A-11BL 공동주택(2024. 5.) 2024.7
Namyangju Wangsuk2 A-11BL Housing 설계자 최기철 · 박승만 _ Choi, Ki-cheol · Park, Seung-man(주)토문 건축사사무소 _ Tomoon architects & engineers남양주 왕숙 2지구는 4개의 근린주구를 형성하고 있다. 각 근린은 초등학교를 비롯한 공원을 중심으로 구성돼 있어, 독립적인 존재가 아니라 통합된 생활권을 형성하고 있다. 이 중 우리 단지가 속한 근린주구는 단독주택지를 포함한 7개의 거주단지로 이루어져 있다. 이 단지는 남동측의 그린네스트와 연계되는 생활가로로의 열린 단지 계획을 통해 주변 다른 단지와의 소통을 강조하고 있다. 이 아파트 단지 조성을 위한 공모주제는 ‘도시와 소통하는 열린 아파트 단지 조성’이었다. 이를 위해 ..
2024.07.31 -
평촌도서관 _ 2022. 5
PyeongChon Library 평촌일상 / 평촌일상에 특별함을 더하다 평촌도서관은 안양의 기존 10개 시립도서관 중 지역중앙관으로 거듭남으로써, 현대인의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수용하는 열린 도서관을 추구한다. 공공도서관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정보 제공에 중점을 두던 과거의 역할을 넘어 전시·문화강좌·여가활동 등 복합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시설로서, 일상 속에 문화가 있는 생활 밀착형 공간을 제안했다. 도서관의 1층은 시민들이 모여서 쉬고, 이야기를 나누고, 생각을 공유하며 교육과 창작활동을 하는 시민중심공간을 만들고, 도서관의 2층은 전 세대가 시간을 공유하며 책을 통해 과거를 배우고, 현재를 경험하며, 미래를 준비하는 영감의 공간으로 조성하였다. 인접한 평촌공원과 열린 조망 환경을 적극적으로 활용하..
2023.02.20 -
전주 독립영화의 집 _ 2022. 3
The place of jeonju indie film 전주부원_(全州府圓);전주만의 향음을 담은 정원 전주는 옛스러움과 개인의 창의가 공존하는 도시이며, 이는 독립영화의 자유로운 표현과 닮아있다. 우리는 창조적이고 다양한 표현을 위한 토대를 폴리의 형태로 대지에 펼쳐 그 뜻을 계승하고자 했다. 대지는 구도심에 위치해 오랜 시간 도심과 단절되어 왔고 현재는 도시에 환원되어 주차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우리는 이곳에 담긴 영화거리의 추억, 전주 라운지와 부성의 기억에, 다양한 장면들을 더한 하나의 시퀀스를 만들어 전주만의 향음(鄕音)을 담은 도심정원, 전주부원(全州府圓)을 계획했다. 먼저 비워진 대지에 도심정원을 계획해 시민들의 기억 속 열린 공간에 계절을 담고, 그 위에 시네라키비움의 프로그램으로 정원을 ..
2023.02.19 -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_ 2022. 4
The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in Gyeongsangbuk-do Beyond Horizon _기술의 융합, 자연과의 소통 경상북도 농업기술원은 급속하게 변화하는 산업 기술의 융합, 혁신의 시대에 맞는 최첨단 농업기술의 연구·교육시설을 목표로 한다. 대지는 상주시의 드넓은 평야에 위치하며, 낙동강과 주변 산세의 지형과 조화를 이루는 장소이다. 새로운 농업기술원은 단절된 자연의 흐름을 복원하고, 경작지의 그리드를 대지 내로 유입하여 지형의 맥락과 그리드 패턴의 유기적 결합을 통해 주변 맥락과 조화로운 단지를 완성하고자 했다. 전통건축의 수평성을 차용함으로써 건축물에 강한 기념성을 부여하여, 학문이 교류되는 서원의 마당을 모티브로 한 비움을 통해 전통의 ..
2023.02.19 -
[설계공모] 해운대호텔 2022.1
Haeundae hotel Construction Design Competition Haeundae Journey : 해운대와 마주하다 주어진 대지는 해운대 바닷가에 인접한 최상의 위치이지만, 사업부지 주변을 에워싼 건물들에 의해 남측의 바다를 향한 조망이 일정높이까지 막혀있는 입지조건이었다. 객실로부터의 오션뷰 확보를 위한 배치계획이 무엇보다 중요했으며, 바닷가에 인접한 부지의 지질적 특성을 고려하여, 지하층을 최소화하고 지상주차장을 계획함으로써 모든 객실에서 바다를 향한 조망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해운대에서도 가장 유동인구가 많은 스팟(spot)에 위치한 입지적 특성을 고려하여, 저층부는 가로활성화를 위한 문화공간(아트그라운드) 및 리테일 시설을 마중공간으로 계획했으며, 가로경관을 고려한 ..
2023.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