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공모(22)
-
[설계공모] 고양시 신청사 2022.1
International Design Competition for The (NEW) GOYANG City Hall Campus within community platform 고양 시민을 위한 공간 – 캠퍼스 커뮤니티 플랫폼 대상지에 자리 잡는 신청사는 다양한 성격과 규모의 공간이 활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들로 조성했다. 각 프로그램들은 동쪽의 근린주거지역, 북쪽의 구도심 그리고 남서쪽으로 향한 대장천의 주변 환경이 연결되어 융화되도록 하였고, 거대한 매스로 프로그램들이 합쳐져 있는 청사가 아닌 여러 개의 볼륨으로 이루어진 캠퍼스 청사를 계획했다. 증축 빌딩을 제외한 5개의 빌딩 볼륨은 개별 성격을 가지고 서로의 관계에 따라 배열되고, 각 건물 매스를 통한 비례를 구성하여, 휴먼 스케일 중심으로 디자인했다...
2023.02.15 -
과천 과천지구 도시건축통합 마스터플랜 설계공모 2020.4
Design Competition for Gwacheon District Urban Architecture Integration Master Plan in Gwacheon
2023.01.12 -
제주장애인종합복지회관 _ 2018. 6
Jeju general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이도이동 대지는 제주의 구도심인 광양로터리의 이면에 위치한 상업지역과 주거지역의 경계에 있다. 독사천 방향으로 파사드를 두고 조망과 오픈스페이스를 적극적으로 계획하여 독사천 복원의 도심재생에 적극 대응했다. 탐라장애인복지관과 마주하여 출입구와 보행회랑으로 장애인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주차장과 오름마당으로 버퍼존을 형성하여 주거지역과의 상생을 도모했다. 쉼팡과 독사천 1층과 2층의 로비를 경사로와 계단을 이용하여 복층화하여 ‘쉼팡’이라 이름한다. 지상 주차장설치로 인한 내부공간의 협소함을 극복하고 공간의 확장과 다양한 프로그램의 수용이 가능한 복합공간이다. 오픈스페이스의 유기적 연결과 유니버셜 디자인 중앙의 아트리움은 내부의 ..
2023.01.04 -
[설계공모]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설계공모_INTERNATIONAL DESIGN COMPETITION FOR NEW GWANGHWAMUN SQUARE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1-67, 1-68 일대 예정 공사비 ┃ 60,000 백만원 예정 설계비 ┃ 2,764 백만원 설계범위 ┃ 사업범위_설계공모를 통해 당선된 설계자가 공사시행을 위해 실제로 설계하는 구간으로, 현재 광화문광장과 세종대로, 사직-율곡로 등 도로를 포함하여 총 면적 약 126,100제곱미터에 달하는 지역 / 계획범위_사업범위와 접한 주변 지역으로 북쪽으로는 경복궁 남측담장, 남쪽으로는 삼 청동천과 백운동천 합수지점, 동쪽으로는 삼청동천(현 종로1길), 서쪽으로는 백운동천(현 새문안로5가길)을 포함하는 지역과, 정부청사, 의정부 터 및 세종대로 하부 지하공간 공모방식 ┃ 국제설계공모 심사위원장 ┃ 승효상 건축사(주. 종합건축사사무소 이로재) 심사위원 ┃ 유홍준 명지대학교 석좌교..
2022.12.14 -
[설계공모]공립어린이집 및 감성체험장 _ 2018. 10
대지는 마을 입구에 위치해 있고, 4면이 도로로 둘러싸인 곳으로 북서측에는 향적산과 대지의 동측에는 도곡천이 위치한다. 우리는 같은 부지 내의 어린이 집과 감성체험장을 조화롭게 구성하여, 주 이용대상인 어린이의 창의성을 향상 시키는 공간을 마련하고자 했다. 또한, 창의적인 공간 연출과 경제성까지 갖춘 균형있는 공간을 짓고자 했다. 먼저, 대지 주변의 자연을 향해 열린 조망을 갖도록 매스를 구상했으며, 부정형 형태의 대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다양한 외부공간을 계획했다. 대지 중심에 위치한 하늘마당을 중심으로 다양한 외부공간(둥지놀이터, 은하수 마당, 왁자 지껄 놀이터)과 유기적으로 연계되기도 한다. 체험장은 이동동선을 연속하는 순환방식으로 구상하여, 단순하면서도 아이들 의 인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했다...
2022.12.12 -
[설계공모]창동·상계 창업 및 문화산업단지
Changdong-Sanggye Establishment & Cultural Industrial Complex Conversion Platform 조각난 도시공간을 연결하기 위해 열린 공간를 제안한다. 복합환승 센터와 서울 아레나를 연결하는 지 하 선큰 계획, 지하통합개발 및 차로 지하화를 통한 보행광장 조성 및 남측 기존 상업시설 군 연계계획, 폐고가 재생을 통한 입체보행로 계획, 창동 도시 재생구역을 순환하는 도로 체계 제시를 통해 도시를 단 계적으로 연계한다. 열린 벽(open wall) 내부에는 문화와 창업을 담은 다양한 공유공간들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기 존의 획일화된 구분(sorting)된 프로그램의 분리에서 벗어나, 이용자 동선 중심의 라이프 스타일과 연결 된 프로그램 배치로 새로운 ..
2022.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