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수 건축사사무소(7)
-
화조풍월(花鳥風月) 2024.12
Hwajopungwol 자연을 구획하다 화조풍월은 집 안팎으로 변화하는 자연을 담아내기 위한 다각적인 시도의 결과이다. 집과 자연이 맞닿는 접점을 넓히기 위해 외부 공간 역시 집의 방과 같은 개념으로 인식하고 전체 대지를 활용하여 배치가 아닌 평면 계획을 하는 방식으로 작업을 진행하였다. 화조풍월은 빛과 그림자, 소리, 계절, 시간 등의 비 물리적인 요소들을 물성을 이용해 자연의 변화를 공감각적으로 느낄 수 있는 공간의 분위기를 만들고자 하였다. 넓은 땅에서 집과 자연이 많이 닿을 수 있도록 낮게 펼쳐진 단층으로 계획하였다. 넓은 대지의 중심에 가족의 상징적 공간이 되는 큰 지붕을 계획하고, 그 지붕을 중심으로 주변 환경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내•외부의 공간이 확장된다. 내·외부로 크게 비워진 공간을 ..
2024.12.31 -
필로미 빌딩 2024.4
Fillome bldg. 필로미 빌딩은 노모가 서울 상경 후 처음으로 자리 잡고 산 지 50년이 지나 두 딸에게 땅을 물려주며 시작된 프로젝트이다. 어머니가 처음 자리 잡았을 때는 공장 뒤 인적이 드문 어두운 기억의 공간이었다고 한다. 지금은 성수동에서 가장 사람들이 많이 오고 가는 너무나도 큰 변화의 장소이다. 땅은 약 142제곱미터(43평)의 세 면이 도로로 둘러싸인 협소한 삼각형 대지이다. 중공업 지역의 용적률 400% 확보, 임대형 상가와 세 가족의 주거가 복합된 프로그램, 자연 채광을 고려한 배치, 큰 도로변에서의 건물의 정면성, 성수스러움 등 좁은 대지에 담아내야 하는 조건의 복합도가 높은 프로젝트이다. 숙명의 필로티 좁은 대지의 1층은 계단실을 제외한 대부분이 법정 주차로 채워진다. ..
2024.04.30 -
핀오크 백암 2022.9
Pinoak Baegam 핀오크 백암은 용인 근교에 위치한, 문화와 자연이 함께하는 상업 공간이다. 약 8600제곱미터(2,600평) 규모의 대지에 세 개의 동이 자리 잡고 있다. 단지 진입부에 위치한 온 더 테이블은 다양한 F&B로 구성된 식문화 중심의 상업공간이고, 정원생활바이오랑쥬리는 체험 또는 교육, 판매가 이루어지는 실내 외 가드닝 공간이다. 시간 정원은 일러스트레이터 작가 세 명의 전시공간과 작업실을 기반으로 한 카페 및 렌털 스튜디오이다. 핀오크 백암은 대지를 둘러싸고 있는 자연과 건물, 건물 사이의 정원을 매개로 한다. 주변 자연과 대지에 조성되는 계획된 자연과의 관계, 자연과 건물의 관계 맺는 방식에 대한 고민의 결과이다. 거대한 매스가 자연과 관계 맺는 방식은 건물이 자연을 담는 배경으..
2023.02.23 -
송학리의 생각 2021.11
Saenggak of Songhak-ri 마을의 시작 ‘한 아이를 기르는데 온 마을이 필요하다’ 양평 송학리의 생각은 아이들이 살아가야 할 좋은 환경에 대한 고민을 나누는 부모님들이 가치를 공유하며 아이를 함께 키울 수 있도록 만든 마을 공동체이다. 자연 친화적 교육을 지향하는 유치원에 다니는 일곱 가족의 아이들에게 부모들의 도움 없이도 자연스럽게 친구 집에 놀러 갈 수 있는 동네 친구를 만들어주자는 생각에서 시작되었다. 예산과 취향이 다른 가족들이 함께 집을 짓고자 했던 것은 집을 짓는 과정을 통해 집집마다의 이야기를 나누고 서로를 좀 더 이해하는 시간을 가지고자 했던 것이다. 다른 조건 속에서 구현된 통일성과 다양성 대지의 평균 면적은 약 265제곱미터(80평형) 정도였고 단독주택 용지로는 크지 않은..
2023.02.13 -
N주택 2021.6
N House 열린 대지에서의 단독성 내곡동 주택은 LH에서 개발한 공공주택지구에 속하는 몇 안 되는 단독주택용지이다. 대규모의 아파트 단지에서 내려다보이며, 마을로 이르는 길과 대규모 아파트 단지의 입구로 이어지는 길이 만나는 대지의 위치는 도시적 맥락에서 단독 주택이 입지하기에는 너무 공공적 성격이 강하다. 이러한 대지 조건에서 단독 주택의 단독성을 확보하는 것은 프로젝트의 중요한 시작점이 되었다. 단독주택에서 외부와 가장 직접적인 접촉이 있는 마당은 대지에서 외부와의 간섭이 최소인 대지의 중심에 자리 잡고, 그 주변을 내부 공간이 에워싼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집의 내부와 도시를 향한 외부는 이원화된다. 도시로 열린 북측은 무채색의 검은 벽돌로 닫아냄으로써 도시에 또 하나의 배경을 더한다. 형태와 ..
2023.02.06 -
이이헌(怡里軒) 2021.2
IIheon 모퉁이 열린 집 이이헌은 큰길과 멀지 않게 이어진 막다른 사잇길에 위치하며, 저층의 임대 상업공간과 상층부의 주거 공간이 복합된 건물이다. 이면 도로에 위치한 1, 2층의 임대 상업 공간이 큰 도로에서 잘 인지될 수 있도록 건물의 모퉁이를 적극적으로 열었다. 1990년대 무렵 같은 형식으로 지어진 다가구주택이 이어진 골목길에서 크게 열린 모퉁이는 생경한 풍경을 연출해 시각적인 구심점이 된다. 큰 도로와 시각적으로 연결된 모퉁이에 있는 외부 계단은 2층 상업 공간으로 자연스럽게 동선을 연결한다. 골목길의 연장 저층형 소규모 공동주택은 높은 지가의 도시에서 개성 있는 개인의 삶을 담을 수 있는, 경제적이고 유연한 구조의 주거 형식이다. 이이헌은 세 가지 다른 타입의 단독주택을 수직적으로 연결하는..
2023.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