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 건축사(1542)
-
밀로바니 2018.10
Milovany 밀로바니(Milovany)는 암반이 있는 경사지 조건과 도시의 대로변이 접하는 위치에 다양한 건 축기능이 복합적으로 계획된 프로젝트다. 토목공사의 현실적 난관이 있었지만, 상이한 건축프로그램과 도시속에서의 미적인 부분을 고민 했다. 다양한 용도의 근린생활시설과 주거기능의 공동주택이 한 건물에 계획되었지만, 건물의 정체성은 하나로 통일되도록 디자인했다. 건축의 기하학적 미를 구현한 외관의 견고함은 새로운 건축도시풍경을 만들 것이다. 복잡하고 정리되지 않은 기존 도시풍경에서 밀로바니는 완결된 건축미를 보여주는 하나의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Milovany is a project complexly designed with a variety of architectural functions..
2022.12.08 -
서울하수도과학관 2018.10
Seoul Sewerge Science Museum 서울하수도과학관 설계자 ┃ 오채준 KIRA ┃ (주)이레드림 건축사사무소 건축주 서울시 중랑물재생센터 감리자 한국종합기술 시공사 GS건설(주) 대지위치 서울특별시 성동구 자동차시장3길 64 주요용도 문화 및 집회시설(과학관) 대지면적 790,640.00㎡ 건축면적 43,801.45㎡ (증축: 2,842.09㎡) 연면적 78,106.53㎡ (증축: 2,365.03㎡) 건폐율 5.54% 용적률 7.46% 규모 지하 1층, 지상 2층 구조 철근콘크리트조 외부마감재 노출콘크리트, THK0.7 징크판넬 평잇기 내부마감재 THK30 화강석 버너구이 / 설계기간 2008. 08 ~ 2010. 12 공사기간 2010. 12 ~ 2018. 01 사진 이종윤 구조·기계설..
2022.12.08 -
아미티스 가든 2018.10
Amitis' Garden 기원전 600여년 쯤 바빌론 왕국에 네브카드네자르2세라는 왕이있었다.그는메디아왕국의공주아미티스와결혼했는 데, 산림지대에서 사막으로 시집 와 향수병에 걸린 그녀를 위해 정원을 만들었다. 그 정원은 땅에 만들어진 것이 아니 라 계단식 발코니 같은 구조물에 흙을 덮은 이른바 ‘공중정 원(hanging garden)’이었다고 전해진다. 그 위에서 사람들 이 걸어 다녀도 될 만큼 튼튼해서 보통 지면과 전혀 다를 바 가없었다고한다.또한정원의식물들을지속적으로관리하 기 위해 유프라테스 강에서 수도관을 통해 물을 끌어왔다고 하니, 아마도 당시의 첨단 기술은 모두 동원되었을 것 같다. 사랑의 힘으로 사막 한가운데, 그것도 땅이 아니라 하늘에 걸쳐진 정원을 만든 것이다. 비록 실제 유적이 거의 남..
2022.12.08 -
대한불교조계종 자비선사 템플스테이 호선당 2018.10
Templestay ‘Hosundang’, Jabisunsa,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대한불교조계종 자비선사 템플스테이 호선당 설계자 ┃ 손기찬 KIRA ┃ 건축사사무소 동이 건축주 대한불교조계종 자비선사 / 감리자 손기찬 _ 건축사사무소 동이 / 시공사 대한불교조계종 자비선사 / 설계팀 손다익 / 대지위치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계정길 208 / 주요용도 종교시설 / 대지면적 5,287.00㎡ / 건축면적 240.13㎡ / 연면적 480.26㎡ / 건폐율 4.54% / 용적률 9.08% / 규모 지상 2층 / 구조 철근콘크리트조 / 외부마감재 전통 건벽돌, 한식기와잇기 / 내부마감재 친환경 수성 페인트, 강화마루 / 설계기간 2014. 03 ~ 2014. 12 / 공사기..
2022.12.08 -
[설계공모]남양주 북부장애인복지관
Namyangju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녹지경관의 흐름을 곡선으로 자연스럽게 끌어들이면서, 어머니가 편안하게 품어 감싸고 있는 모습을 상 징적으로 디자인했다. 또 지형차를 활용한 데크를 통해 각층을 자연과 수평적으로 연계하여 녹지가 건 물 내로 흐르도록 계획했다. 대지 내 경사를 활용한 다양하고 입체적인 접근로를 순환형으로 동선계획하여 외부공간과 연계되는 편 리한 환경을 갖추도록 했다. 자연 재료인 나무와 세라믹의 패턴디자인은 자연을 품은 전원형 친환경 복지시설을 계획해서다. 건물 내부는 가변적인 벽체 구성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가능하도록 했으며, 휠체어 이동에 불편함이 없 고 자연스러운 상호관찰이 가능하도록 편의·안전측면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했다. ■ Concept 남..
2022.12.08 -
아일랜드 더블린의 에어비앤비 사무실_헤네흐한 펭 아키텍츠 2018.10
Dublin Airbnb Office, Ireland Architect : Heneghan Peng Architects 이번에 소개할 작품은 아일랜드 더블린에 위치한 에어비앤비-Airbnb-의 사무실이다. 이 는 더블린 및 베를린에 사무소를 두고 활동중인 헤네흐한 펭 아키텍츠-Heneghan Peng Architects-와 에어비앤비 환경팀의 합작으로써 요즘 한창 각광받고 있는 새로운 ‘스마트 오피스’의 개념 및 공간의 전형을 선보였다. 스마트 오피스란 ‘내가 일하는 곳이 곧 사무실’이라는 개념으로 시작된 것으로, 여러 기술 적 바탕으로 가능해졌다. 제 4차 혁명을 지나면서 업무 디바이스의 소형화, 클라우드 시 스템, 사내 인트라넷, 그룹웨어 기반 디지털 업무 증가, 업무자료의 디지털화로 인하여 업 무공..
2022.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