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건축사(538)
-
사업주를 위한 연차휴가 사용촉진제도 2023.6
Annual leave promotion system for the employers 상시 5인 이상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주는 근로자가 일정한 요건을 갖춘 경우 연차휴가를 부여해야 하고, 근로자가 발생한 연차휴가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근로를 제공한 경우에는 연차휴가 청구권이 소멸된 시점에 근로자에게 미사용한 연차휴가일수에 해당하는 연차휴가 미사용수당을 지급해야 한다. 다만, 사업주가 「근로기준법」 제61조에 따른 연차휴가 사용촉진을 한 경우 근로자가 사용하지 아니한 연차휴가에 대한 금전보상의무가 면제되므로 사업주는 연차휴가 사용촉진 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근로자가 최대한 연차휴가를 사용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번 인사노무상식 시리즈에서는 연차휴가 사용촉진제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연차..
2023.06.21 -
건축법상의 건축허가와 개발행위허가와의 관계 2023.6
The relationship between building permits and the developmental act permit under the Building Act Ⅰ. 글의 첫머리에 토지는 다른 토지와 연접되어 있기 때문에 개별적인 토지의 이용은 연접 토지의 이용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토지를 개발하는 경우에는 도시 전체의 토지이용계획과 저촉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토지개발행위는 토지의 효율적 이용을 도모하고 도시관리계획의 범위 안에서 허용되어야 한다. 토지개발행위는 지역 특성에 따른 적정 규모, 기반시설 확보 여부,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고려하여 허가되어야 한다. 시장 군수 등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과 개발행위허가운영지침에서 위임하거나 정한 범위 안에서 도시..
2023.06.21 -
용어@ 건축 09 도구 2021.9
Term@ Architecture 09 Tool architectural terms 건축용어 우리나라 건축용어 중에는 왜 그렇게 표현하는지 어원을 알 수 없는 것들이 많습니다. 이 연재에서는 필자가 이해하기 어려웠거나 호기심이 크게 생겼던 표현들을 소개하고, 그 어원과 출처를 추적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독자들과 함께 보다 적절한 표현은 무엇일지 고민하는 계기를 갖고자 합니다. 김홍도의 ‘기와이기(집 짓기)’ 그림을 보다가 충격을 받았던 기억이 있다. 어린 시절부터 동네에 버려진 나무로 팽이, 총, 활과 화살, 아이스하키 채, 모형 배 등을 만들면서 아버지의 창고에서 여러 도구들을 몰래 꺼내 사용했고, 건축사사무소를 운영하며 건설 현장에서 다양한 도구와 장비를 어깨너머로 보아 왔다. 최근까지도 일련의 파..
2023.02.09 -
북한건축 워치 01Ⅰ 북한의 건축설계 2021.3
North Korean Architecture Watch 01 1. Architectural Design in North Korea 연재를 시작하면서 2010년 이후 악화일로를 걷던 남북관계가 2018년 남북정상회담 등으로 인하여 개선 가능성이 커지면서 공공기관과 기업에서 대북사업 TF팀을 만들거나 정비하였다. TF팀을 만든 것으로 알려진 건설사는 삼성물산, 대우건설, 포스코 건설, GS건설, 롯데건설 등(북미정상회담, 건설사 잇따라 대북 TF 구성…통일건설포럼·세미나 등 러시/ E-대한경제, 2018-06-14)이었으며, 정림, 희림 등 대형건축사사무소도 북한사업관련 TF팀을 만든 것으로 알려졌다. 건축・건설업계는 오래 전부터 북한개발에 큰 기대를 가지고 있다. 남한의 SOC(사회간접자본)와 주택시장이..
2023.02.01 -
운칠기삼 2020.12
A little bit of skill and a lot of luck 맬콤 글래드웰의 는 ‘1만 시간의 법칙’으로 유명한 책이다. 어떤 분야든 하루에 3시간, 10년 동안 연습하면 대가가 될 수 있다는 이론이다. 물론 재능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재능을 갖춘 사람들의 경쟁에서는 재능보다 연습의 양이 성공을 보장한다. 이 이론은 신경과학자 다니엘 레비틴이 연구한 결과인데, 맬콤 글래드웰의 를 통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재능도 중요하지만 ‘노력’이야말로 성공의 열쇠임을 강조하고자 할 때 사람들은 흔히 와 1만 시간의 법칙을 언급한다. 는 세계적인 베스트셀러지만, 늘 이렇게 인용되는 걸 보면 이 책을 정말로 읽은 사람이 많지 않은 것 같다. 에서 내가 느낀 건 재능과 노력도 중요하지만 진정한 성공의..
2023.01.27 -
[건축비평] 승효상과 함께, 건축의 테이블에 둘러앉다 2019.11
Architecture Criticism Sitting with Seung H-Sang; Around the Table of Architecture 휴머니티란 결코 홀로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며 공공에 작업을 내어놓는다고 해서 얻을 수 있는 것도 아니다. ‘공공 영역으로의 모험’에 자기의 삶, 자기 자신을 던졌을 때만 얻을 수 있는 것이다. -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 「칼 야스퍼스 찬사 Karl Jaspers: A Laudatio」, 1958 승효상의 건축에 대한 이 글을 한나 아렌트의 인용구에서 시작하려 한다. 아렌트와의 연결 고리는 필자의 발상이 아니라 승효상 자신이 제시한 것이다. 최근 몇 년간 건축과 도시 정책 영역의 공인으로 활동하면서 그 명분으로 스스로 취한 아렌트의 말이다..
2023.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