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석헌(3)
-
남산주택 2024.1
Namsan House 대지의 이해 건축주는 몇 개의 집과 땅을 보고 지금의 집을 선택했다. 교통이 불편한 것을 감안하고 서울 한복판의 남산과 숲세권을 갖는 장소로 생각한 것이다. 5분 거리에 남산 산책로가 있는 이태원에 속해 있다. 대지는 동측 4미터 도로에 접한 12.3미터×7.8미터 크기를 갖는다. 동과 서측으로 긴 대지 형상이다. 대지의 경사는 남측에서 북측으로 올라간다. 동측을 제외한 서남북에 이웃한 건물이 위치한다. 동서방향으로 긴 대지는 북측일조사선이 건물 방향으로 더 많은 영향력을 끼친다. 대지의 큰 장점은 서울을 한눈에 내려다보는 도시풍경이다. 건물 높이로 환산하면 3층부터 남산의 남측 서울 풍경이 내려다보인다. 북측에 위치한 남산은 남측의 풍경과 함께 가까운 곳에서 자연을 선물한다. 그..
2024.01.31 -
삶가구주택 2021.10
3-Family House 시작 : 틔움건축이 생각하는 건축 주거형태는 바뀌고 있다. 미래가치 투자를 위한 부동산에서, 현재 생활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건강한 소비문화로 변화되고 있다. 대표적인 주거문화인 아파트에서 발현되기 힘든, 개인에게 맞춤화된 거주공간을 찾는 요구 또한 많아졌다. 틔움은 건강한 주거, 사람에게 맞추어진 주거문화를 생각한다. 보편적인 가치를 만족하는 합리적인 공간을 바탕으로 거주자의 요구를 반영한 생활공간을 지향한다. 만남 : 건축주와 틔움의 시작점 아파트에 길들여진 사람들, 과거와 달리 편리한 주거형태를 맛본 사람들에게 단독주거란 어떤 공간일까? 보편적 기준에 맞추어진(일정 기준 이상이 되는) 공간보다 나은 주거는 무엇일까? 틔움건축은 이렇게 생각한다. 그 답은 일반적인 공간에서 발..
2023.02.10 -
lll:결~집 2021.8
lll: layered 정면에서 바라보는 첫 모습은 세로로 긴 복층형 로우하우스(row house)처럼 독립된 집의 집합체를 그렸다. 정면 도로에서 바라볼 때, 세 개의 집이 붙어 있는 모습이다. 왼쪽부터 차례대로 직사각형 집과 두 개의 사다리꼴형 집이 보인다. 두 개의 사다리꼴 집 사이에는 외부로 돌출된 작은 계단실이 있다. 계단실을 기준으로 두 개의 사다리꼴 집은 10도 벌어져 있다. 보는 시점에 따라 집의 정면이 다르게 보이는 이유이기도 하다. 세로로 보이는 집의 1층과 2층 사이에 가로로 긴 보이드를 적용, 상층부와 저층부를 나눴다. 이러한 건축적 비례와 리듬을 통해, 수평성이 강조된 저층부와 공중으로 부유하는 상층부가 형성된다. 외부 계단실은 세로로 긴 보이드가 적용된다. 이는 수직동선의 시야 ..
2023.02.08